서브메뉴

본문

Quality Bible (FMEA 편,탄탄한 제품 설계를 위한 시스템안전분석 가이드,연구원 엔지니어를 위한)
Quality Bible (FMEA 편,탄탄한 제품 설계를 위한 시스템안전분석 가이드,연구원 엔지니어를 위한)
저자 : 송인식
출판사 : 이담북스
출판년 : 2014
ISBN : 9788926864715

책소개

『Quality Bible(FMEA 편)』은 우선 ‘FMEA의 탄생’을 다루고 있으며, Ford사의 매뉴얼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기본적으로 ‘Big 3’, ‘Ford사’, ‘MIL?STD?1629A’를 함께 파악하고 학습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FMEA의 근간이 되는 Design FMEA & Process FMEA를 집중 분석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탄탄한 제품 설계를 위한 시스템 안전분석 가이드

- FMEA의 탄생배경과 발전과정
- 미국의 Big 3, FordㆍGMㆍ크라이슬러 사례를 통해 본 FMEA 사용법
- FTAㆍQFDㆍDRㆍ6시그마 기법들과 연동한 FMEA의 활용
- FMEA의 근간이 되는 Design FMEA & Process FMEA 집중 분석


이 책의 저자 송인식은 2013년 6월 28일자로 「Six Sigma Bible Series」 총 12권을 만 6년 만에 마무리하면서 중간 중간 품질 관련 시리즈인 「Quality Bible Series」를 기획해왔다.

그 첫 대상으로 삼은 품질 분야가 바로 이번에 출간하는 ‘FMEA’다. FMEA를 제일 먼저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저자는 1998년도부터 FMEA를 접해왔고, 또 사내강사와 컨설턴트로써 기업 강의를 해 오면서 한 가지 의문을 갖게 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FMEA의 탄생배경과 발전 과정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럼 왜 탄생배경과 발전과정이 중요한 것일까? 하나의 기법이나 체계를 이해하려면 그것이 어떻게 현재의 상태로 될 수밖에 없었는지 형성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우리에게 쓸모 있는 정보들을 찾아내고 내재화하는, 즉 우리 것으로 체질화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만날 남이 해놓은 결과 모습만 따라하는 시늉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응용력이 떨어지고 우리에게 맞도록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 찾기가 어렵다는 얘기다.

본 책의 구성 중 첫 장에서 ‘FMEA의 탄생’을 다루고 있으며, Ford사의 매뉴얼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기본적으로 ‘Big 3’, ‘Ford사’, ‘MIL?STD?1629A’를 함께 파악하고 학습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이 FMEA를 학습하는 독자들의 기본 탐색자료가 되기를 희망하며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DRBFM(Design Review Based on Failure Mode)등으로의 확산 기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본 책의 구성

Ⅰ FMEA의 개요

1. FMEA의 탄생
1.1. FMEA 탄생의 시간대별 고찰
1.2. FMEA와 관련된 ‘표준’ 고찰
1.3. FMEA와 APQP

2. FMEA의 활용
2.1. FMEA와 연동되는 기법(Tools)들
2.1.1. FTA(Fault Tree Analysis)와의 연계
2.1.2.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와의 연계
2.1.3. DR(Design Review)과의 연계
2.1.4. 6시그마(Six Sigma)와의 연계
2.2.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FMEA 위치와 유형
2.3. FMEA 유형별 특징 및 사례

Ⅱ. FMEA 기본의 이해

1. 공통 사항

2. 기본 정보
2.1. FMEA 정의
2.2. FMEA 목적
2.3. FMEA 활용의 혜택
2.4. ‘고장 모드’ 회피를 위한 정보 흐름과 FMEA 역할
2.5. FMEA 작성 절차
2.6. FMEA 작성 전 준비와 사전 지식
2.7. FMEA 유형별 혜택과 산출물
2.7.1. Concept FMEA의 혜택과 산출물
2.7.2. Design FMEA의 혜택과 산출물
2.7.3. Process FMEA의 혜택과 산출물

Ⅲ. Design FMEA

1. 기본 정보
1.1. 목적
1.2. 고객 정의
1.3. 팀 구성
1.4. 범위(Scope) 설정
1.5. 분석 접근(Analysis Approach)
1.6. Design FMEA 수행을 위한 ‘선행 작업(Prerequisites)’
1.7. ‘선행 작업’을 위한 기법(Tools)들 재검토
1.8. Design FMEA 양식 / ‘Header’ 작성
1.9. Design FMEA 양식 / ‘Body’ 구조
1.10. Design FMEA 양식 / Ford사의 ‘Working Model’
1.10.1. Working Model ‘Step-1’
1.10.2. Working Model ‘Step-2’
1.10.3. Working Model ‘Step-3’
1.11. 「Design FMEA 양식」 각 열의 용법
1.11.1. 아이템 / 기능 / 요구사항 Item / Function / Requirement
1.11.2. 잠재적 고장 모드 Potential Failure Mode
1.11.3. 잠재적 고장의 영향 Potential Eect(s) of Failure
1.11.4. 심각도 Severity
1.11.5. 분류 Classication
1.11.6. 잠재적 고장의 원인 / 메커니즘
Potential Cause(s) / Mechanism(s) of Failure
1.11.7. 발생도 Occurrence
1.11.8. 현 (설계)관리(예방/검출) Current Design Controls
1.11.9. 검출도 Detection
1.11.10. RPN(Risk Priority Number)
1.11.11. 권고 조치 사항 Recommended Action(s)
1.11.12. 책임자 및 목표완료 예정일
Responsibility & Target Completion Date
1.11.13. 조치 내용 Actions Taken
1.11.14.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 RPN Resulting RPN
1.12. Design FMEA 작성 예

2. 사후 관리
2.1. Design FMEA의 유지
2.2. 기존 Design FMEA의 이용

Ⅳ.Process FMEA

1. 기본 정보
1.1. 개요
1.2. Process Flow Diagram(프로세스 흐름도)
1.3. Process FMEA 양식 / ‘Header’ 작성
1.4. Process FMEA 양식 / ‘Body’ 구조
1.5. Process FMEA 양식 / Ford사의 ‘Working Model’
1.5.1. Working Model ‘Step-1’
1.5.2. Working Model ‘Step-2’
1.5.3. Working Model ‘Step-3’
1.6. 「Process FMEA 양식」 각 열의 용법
1.6.1. 프로세스 기능 / 요구사항
Process Step-Function / Requirement
1.6.2. 잠재적 고장 모드 Potential Failure Mode
1.6.3. 잠재적 고장의 영향 Potential Eect(s) of Failure
1.6.4. 심각도 Severity
1.6.5. 분류 Classication
1.6.6. 잠재적 고장의 원인 / 메커니즘
Potential Cause(s) / Mechanism(s) of Failure
1.6.7. 발생도 Occurrence
1.6.8. 현 프로세스 관리(예방/검출) Current Process Controls
1.6.9. 검출도 Detection
1.6.10. RPN(Risk Priority Number)
1.6.11. 권고 조치 사항 Recommended Action(s)
1.6.12. 책임자 및 목표완료 예정일
Responsibility & Target Completion Date
1.6.13. 조치 내용 Actions Taken
1.6.14.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 RPN Resulting RPN
1.7. Process FMEA 작성 예

2. 사후 관리
2.1. Process FMEA의 유지
2.2. 기존 Process FMEA의 이용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