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 (현대해석학, 인지과학에 말 걸다)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 (현대해석학, 인지과학에 말 걸다)
저자 : 양해림
출판사 : 집문당
출판년 : 2014
ISBN : 9788930316330

책소개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은 기존의 인문학적 글쓰기 전통에서 벗어나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 통섭적 만남을 시도한다. 이런 시도를 통해 현대해석학과 인지과학은 상호 소통하며 과학·철학적으로 인식의 체계를 더 정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기존의 인문학적 글쓰기 전통에서 벗어나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 통섭적 만남을 시도하고자 했다. 현대해석학과 인지과학의 만남은 다소 무모해 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이제까지 철학자들의 기존 이론에서는 인간의 두뇌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그다지 보여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들어 철학을 비롯해 인문학도 인접학문과의 통섭적인 시도를 꾸준히 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다지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21세기 들어 모든 학문의 대상은 이미 그 학문의 영역을 초월해 있다. 다만 그 학문이 다른 학문 분야들과 엮은 네트워크의 어딘가에 걸려 있을 뿐이다. 미래의 학문으로 예견되는 것 중 하나가 인지과학의 이름으로 학문을 하나로 묶거나, 큰 학문을 보는 이른바 통섭(consilience)이다. 통섭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통합·융합을 지향하는 새로운 학문의 입장이다. 차세대 기술혁명은 정보통신(IT), 생명(BT), 나노(NT) 등 어느 한 분야에 국한하지 않은 신기술 사이의 통섭 및 융합이 주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등의 학문이 서로 경계를 넘나들어 기존의 높기만 한 장벽을 허물고 이제까지의 과학적 태도를 크게 변화시켜야 할 입장에 서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일러두기
머리말
들어가며

제1장 인지·통섭·유비쿼터스의 시대
1. 인지란 무엇인가?
2. 포스트휴먼시대의 융합·통섭
3. 유비쿼터스시대의 부상

제2장 해석학적 이해와 인지과학
1. 딜타이의 이해와 인지과학
2. 하이데거의 선이해와 인지과학
3. 가다머의 선입견과 인지과학
4. 하버마스의 심층해석학과 인지과학
5. 현대해석학과 인지과학

제3장 현대해석학과 거울뉴런
1. 거울뉴런이론의 정의
2. 거울뉴런의 기능
3. 거울뉴런과 현대 인지과학의 사회적 소통
4. 현대해석학과 거울뉴런의 통섭

제4장 거울뉴런에서 공감으로
1. 공감의 정의
2. 딜타이의 공감(감정이입)
3. 하이데거의 공감
4. 가다머의 공감(공통감각)
5. 하버마스의 공감
6. 현대해석학자들의 거울뉴런과 공감의 통섭

제5장 공감에서 프로네시스로
1. 프로네시스의 정의
2. 딜타이의 프로네시스
3. 하이데거의 프로네시스
4. 가다머의 프로네시스
5. 하버마스의 프로네시스
6. 프로네시스와 인지과학의 통섭

나가며: 현대해석학과 인지과학의 통섭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