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현대문화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열일곱 가지 주제들)
현대문화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열일곱 가지 주제들)
저자 : 권숙인|강윤희|김현미|박지환|백영경
출판사 : 형설출판사
출판년 : 2018
ISBN : 9788947282635

책소개

▶ 현대문화인류학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책속으로 추가]
둘째, 이 책은 적어도 두 가지 점에서 ‘한국적’(혹은 ‘한국의’) 인류학 입문서라고할 수 있다.
『현대문화인류학』은 한국 학자들이 썼으며 외국의 연구 사례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연구 사례와 한국 인류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포함시켰다.
분과학문으로서 인류학이 서구에서 제도화되고 서양학자들이 지식생산을 주도해 온 까닭에 후발주자로서 한국의 학자나 학생들이 인류학을 공부하면서 어쩔수 없이 느끼는 생경함이 있었다.
입문서에 소개된 민족지적 사례의 대부분이 문화적·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것이다 보니 학생들이 낯설게 느끼고, “재미는 있는 것 같은데 생소해서 실감하기가 힘들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강의하는 입장에서도 특정 사례의 의미나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외국의 입문서에서 흔히 소개되어 온 유명한 민족지적 사례뿐만 아니라 한국의 사례를 적극 추가하여 한국에서 인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좀 더 공감하면서 비교문화적 관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증학문으로서 인류학은 문화에 대한 총체적 관점을 바탕으로 특정 문화가 위치한 맥락 속에서 그 문화와 문화 주체로서의 인간의 삶을 탐구해 왔다.
문화에 대한 이러한 관점과 현지조사(fieldwork)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특징으로 인해 인류학 개념이나 이론은 구체적인 민족지적(ethnographic) 사례에 기초해 개발되고 발전되었다.
그리하여 문화가 갖는 맥락성과 상대성을 생생히 보여주는 인류학적 연구는, 소위 “낯선 것을 익숙하게 하고 익숙한 것을 낯설게”하는 인식론적 충격을 통해 사회과학의 이론들을 현장으로부터 재검토하고 인간다움(humanity)을 근본적으로 성찰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한국에 대한 연구 사례나 한국 인류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기존의 인류학적 논의에 적극 연결시키는 것은 인류학적 이론과 지식을 좀 더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이다.

『현대문화인류학』은 또한 필자들의 관점과 입장이 분명히 드러난 입문서라는 점도 중요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각 장은 해당 분야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오랫동안 강의해 온 전문가들이 집필했다. 그 분야와 관련해 꼭 알아야 할‘알짜’ 지식을 압축적으로 제시하되, 자신의 입장과 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입문서는 같은 색깔과 톤으로 매끄럽게 마감된 벽면이라기보다는 저마다의 색깔과 결을 가진 조각 타일을 모아 만든 모자이크 그림에 비유할 수 있겠다.
따라서 독자들은 서로 다른 톤과 스타일로 쓰인 각 장을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한 기본 지식 외에 특정 입장을 가진 저자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이 책이 교재로 쓰일 경우 교수자나 학습자의 관점이 더해지면서 또 다른 학문적 대화의 장이 펼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각 주제에 대해 각자의 관점을 가지고 쓴 글을 모아 입문서를 만들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인류학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획기적으로 성장하였고 중요한 지적 축적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증거’라고 믿고 싶다. 책을 펴내는 입장에서 가장 뿌듯함을 느끼는 지점이다.

이 책은 또한 인류학의 고전적인 연구영역뿐만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주제에도 많은 분량을 할애하였다. 우리의 일상은 글로벌한 문화과정과 분리할 수 없고, 기술경제적 환경과 사회문화적 삶의 양식도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 어느
때 보다 문화다원주의적 상상력이 요청되는 상황에서 인류학은 고유의 감수성으로, 변화하는 현실과 협상하는 인간행위자의 다양한 실천과 역동에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급속한 사회적 변화가 초래하는 혼란과 긴장, 갈등이 확대되면서 학문적 실천과 응용이라는 역할도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현실세계의 다양한 문제해결에 적극 개입하는 인류학의 학문적 실천과 응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집필 초대에 기꺼이 응해주시고 좋은 글을 더해주신 필자들께 감사드린다. 기획·편집팀도 엄청난 시간과 지혜를 모아야 했다. 기획 회의, 반복적인 원고 검토와 윤독, 출판과정에서 해야 했던 수많은 의사결정을 위해 온/오프라인 회의를 거듭하며 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기획팀의 조교로 번거로운 일들을 잘 처리해 준 서울대 인류학과 박사과정 서대승과 출판과 관련해 훌륭한 식견을 보태준 지은숙 박사에게도 고마움을 표한다.
‘형설-네이버 학문명백과’를 인연으로 이 책의 출간을 맡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신 형설출판사의 황승주 상무님과 이지은 편집자께도 감사한다.
예쁜 표지를 만드느라 애써 준 김효림, 그리고 무엇보다 놀라운 꼼꼼함으로 이 책을 책답게 만들어준 김용진 선생의 정성에 저자 모두를 대신 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8년 봄, 기획·편집팀을 대표하여 권숙인 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 006

제1부 인류학이란
01 인류학, 인간과 문화에 대한 탐구 / 권숙인 .......018
02 진화와 인간사회 / 진주현 ........................043
03 인류학과 지역연구 / 이상국.......................65

제2부 사회조직과 실천
04 가족과 친족 / 함한희..............................092
05 교환, 소유, 소비 / 오명석.........................117
06 정치권력에 대한 비교문화적 상상 / 박지환 ..... ....145
07 법과 분쟁 / 이재협.................................168

제3부 문화의 다양성
08 언어, 문화, 사회적 상호작용 / 강윤희...............192
09 인간의 심리와 문화적 환경 / 안준희, 정향진 ........212
10 젠더와 문화 / 김현미...............................236
11 신앙과 종교 / 김성례...............................259
12 민속문화연구 / 강정원..............................283

제4부 변화하는 세계와 인류학의 응용
13 문화와 교육 / 이용숙...............................308
14 몸과 아픔에 대한 비판적 탐구와 실천 / 이현정......332
15 미디어와 대중문화, 보고 듣고 표현하는 세상 / 이응철.358
16. 새로운 상상의 시대로서 전지구화 / 박준규..........378
17 발전 문제와 국제개발원조 / 이태주..................402

참고문헌..............................................422
인명 찾아보기.........................................456
용어 찾아보기 ........................................46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