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각문 연구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조각문 연구 (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저자 : 안희돈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2
ISBN : 9788957261262

책소개

이 책에서는 여러 생략 현상 중에서도 Merchant 2004년 논문에서 체계적으로 분석을 시도한 조각문이라는 생략 현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그간의 조각문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 그간 조명 받지 못한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조각문 연구는 언어학적으로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지만 음운론·통사론·의미론·화용론·언어철학 등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 접경지대로서 새로운 경험적, 이론적 문제를 양산해 낼 수 있는 언어현상의 보고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01 총론

02 영어의 유표격 조각문과 무표격 조각문

03 한국어의 유표격 조각문과 무표격 조각문
3.1. 유표격 조각문과 무표격 조각문의 차이점
3.2. 유표격 조각문과 무표격 조각문의 공통점

04 유표격 조각문과 무표격 조각문 그리고 언어이론
4.1. 격(Case)
4.2. P-좌초(P-stranding)
4.3. 결속(Binding)
4.4. 작용역(Scope)
4.5. 부정극어(Negative Polarity Item)
4.6. 동일성 조건(Identity Condition)
4.7. 분열문(Cleft)과 좌치(Left-Dislocation)

05 선행사없는(Discourse-initial) 조각문
5.1. “X is” 조각문
5.2. “Do it!” 조각문
5.3. 명령/청유의 조각문
5.4. 관습화된(Conventionalized) 조각문

06 논항(Argument) 생략과 조각문
6.1. 유사이완지시 해석(Sloppy-like Reading)
6.2. 복수 대명사와 결속 변항
6.3. 복수 명사
6.4. 부정극어(Negative Polarity Item)
6.5. 재귀사 생략
6.6. 이완지시 해석(Sloppy Reading)
6.7. 명사구 생략 vs. 조각문

07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