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인의 문화간 의사소통
한국인의 문화간 의사소통
저자 : 김정은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57268964

책소개

『한국인의 문화간 의사소통』은 한국인의 문화와 의사소통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한국인의 특징이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 다른 문화권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여 다문화적 의사소통 환경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 총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장은 언어와 문화와 의사소통의 상관관계를, 2장은 한국인의 의사소통에 나타난 문화적 배경과 한국인의 문화에 나타난 가치관의 유형을, 3장에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이문화 소통 능력과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가치관과 사고방식 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인이 다른 문화권 사람과의 의사소통에서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고, 5장에서는 문화 간 소통 유형을 이해하고 직접적으로 문화 간 소통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문화 수용능력 개발 방법과 이문화 적응력 자가진단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1. 언어,문화,의사소통

02 한국인의 문화와 의사소통의 특징

1.한국인의 의사소통에 나타난 문화적 배경

2.한국의 문화에 나타난 가치관 유형: 서구와 비교



03.문화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

1.문화 간 의사소통에 필요한 이문화 소통 능력

2언어적 표현의 차이

3.비언어적 표현의 차이

4.가치관과 사고방식의 차이



04.한국인의 문화 간 의사소통 사례

1.한국인의 빈말표현에 대한 외국인의 의식

2.일본인의 맞장구

3.문화권에 따른 자기 의견 표출 방법

4.영어 문화권 교사vs한국교사의 수업 진행 방식

5.사과하는 영어문화권과 일본vs사과하지 않는 한국

6.작은 일에도 칭찬하는 미국vs칭찬을 자제하는 한국

7.문화권에 따른 피부접촉

8.문화권에 따른 시간 개념

9.사생활을 공유하는 한국vs공유하지 않는 미국

10.외국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의 직장문화

11.폐 끼치지 않는 일본인

12.한국의 음식문화에 대한 외국인의 인식

13.외국인의 한국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14.한국인의 새터민에 대한 인식

15.이중문화인으로 살아가야 하는 해외교포

16.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살이



05. 문화 간 의사소통의 이해와 실천

1.이문화 수용능력 개발 방법

2.이문화 적응력 자가 진단 방법



참고문헌_

찾아보기_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