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젠더와 언어 (평화로운 공동체 회복을 위한 남녀의 의사소통)
젠더와 언어 (평화로운 공동체 회복을 위한 남녀의 의사소통)
저자 : 김귀순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57269237

책소개

평화로운 공동체 회복을 위한 남녀의 의사소통『젠더와 언어』. 이 책은 의사소통과 담화분석을 포함해 남녀의 언어 사용의 차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 언어 속에 나타난 성차별의 실재와 언어개혁운동의 현주소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살펴본다. 주어진 자료에 대한 연구들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저자의 견해를 더했다. 오늘날 성 정체성을 가정이나 직장 내의 역할에 따라 가변적 시작에서 다시 접근해야 함을 주장한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의사소통과 담화분석을 포함해 남녀의 언어 사용의 차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 언어 속에 나타난 성차별의 실재와 언어개혁운동의 현주소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왔는지를 살펴보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주어진 자료에 대한 연구들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의거한 필자의 견해를 피력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이론적 흐름을 정리하되 정리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젠더 이데올로기와 언어 현상, 언어 교정주의의 비판적 소개 등을 통해 언어와 젠더 이론에 대한 새로운 창의적 틀을 보여주려고 노력하였지만 여전히 보완할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본 책을 통해 필자는 남녀가 다양한 상황에서의 담화분석을 통해 담화시의 성정체성은 생물적 성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담화를 하고 있는 남녀간 상호작용에 의해 파워의 우위가 결정된다는 페미니즘에 입각한 후기구조주의 담화분석 이론의 타당성을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제시하면서 입증하였다. 이러한 성 정체성의 위기를 진단하면서 성 구조화를 획일화된 인위적 사회구조 측면에서 조명할 것이 아니고 남녀의 개별적 인간관계에 의해 조명되는 성 재구조화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오늘날 성 정체성을 가정이나 직장 내의 남녀의 역할에 따라 가변적 시각에서 다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싶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장 페미니즘과 언어

1절 젠더 이데올로기와 언어교정

2절 페미니즘과 성정체성 담화 - 페미니스트 후기구조주의 담화분석

3절 페미니즘과 화법 - 남녀의 언어 사용의 이해와 영어의 올바른 사용



제2장 현실과 언어

1절 언어속의 성차별 - 성차별 지양을 위한 영어 대명사의 사용은 어떤 모습일까?

2절 미디어 담론의 성정체성 - 미디어 속에서 비춰지는 성정체성이란?



제3장 표현

1절 젠더와 영어 공손어법 - 남자와 여자 중에 누가 더 공손할까?

2절 사과표현의 화용론적 이해 - 젠더와 문화 차이에 따른 사과 전략



제4장 소통

1절 젠더와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소고 - 남녀가 사용하는 언어는 차이가 있을까?

2절 직장 내 젠더와 커뮤니케이션 전략 - 직장생활에서의 남녀에 따른 소통의 특징



제5장 외국어교육

1절 젠더 교육 - 영어교육자와 영어학습자가 이해해야 할 젠더

2절 고등학교 영어동화 교육 - 언어 및 젠더 분석을 통한 수업방안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