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시민연대사회
시민연대사회
저자 : 강수택
출판사 : 아르케
출판년 : 2007
ISBN : 9788958030669

책소개

『시민연대사회』는 현대 사회이론가들과 철학자, 정치이론가 등에 의해 제공된 개념과 논리를 폭넓게 활용함으로써 결속력 있는 시민사회상을 '시민연대사회'라고 이름 붙이고 이 사회상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현대 시민사회에 적절한 사회적 연대형태를 찾아 이를 '시민적 연대'라고 명명한 후 그 특징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현대 시민사회에 적절한 시민적 연대를 이루기 위한 출발점과 그 토대에 관해서도 이야기한 다음, 시민적 연대가 확고히 자리 잡은 사회, 다시 말해 시민적 연대의 수준이 높은 사회인 시민연대사회가 어떠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개인주의적인 시민사회를 시민연대사회로 전환시킬 방안은 무엇인지를 자세히 설명한다. [양장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오늘날 한국사회는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극심한 분열, 갈등, 대립 때문에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물론 사회의 결속력이 현저히 약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러한 현실들에 대한 우려는 한국사회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최근의 탈연대화 경향들은 대부분의 현대 시민사회가 공통으로 직면해 있는 것들로서 오늘날의 시대상황을 뚜렷이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들은 현대 시민사회의 연대영역이 구조적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서, 현대 시민사회의 결속에 적절한 사회적 연대 형태를 찾아 이를 시민적 연대(civil solidarity)라고 명명한 후 그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시민적 연대를 형성하기 위한 출발점과 토대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저자는 이러한 시민적 연대가 확고히 자리 잡은 사회, 즉 시민적 연대의 수준이 높은 사회를 시민연대사회(civil solidary society)라고 이름 붙였다. 오늘날 시민사회를 탈연대화 시키려는 강력한 도전들 앞에서, 시민사회의 튼튼한 버팀목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시민연대사회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민연대사회의 구조는 어떠하며, 개인주의적인 시민사회를 시민연대사회로 전환시킬 방안은 무엇인가? 시민연대사회와 시장 혹은 국가의 관계는 어떠한가? 독자들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이 책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들어가는 글 : 공공영역에서 연대영역으로

제Ⅰ부 공동체, 소통, 신뢰
2장 한국 사회 공동체 논의의 현황
3장 서구의 새로운 공동체 논의와 월드컵대회의 경험
4장 열린 소통공간의 형성을 위한 조건들
5장 사회적 신뢰에 관한 이론적 시각들과 한국 사회

제Ⅱ부 사회적 연대와 시민연대사회
6장 근대, 탈근대, 사회적 연대
7장 사회적 연대의 유형과 시민문화
8장 한국 사회 연대 담론의 구조와 시민문화
9장 시민적 연대의 성격과 구조
10장 시민사회, 시민공동체, 시민연대사회
11장 시민연대사회의 구조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