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긍정심리학과 가족치료 (가족의 변화를 이끌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창의적 기법과 실천수단)
긍정심리학과 가족치료 (가족의 변화를 이끌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창의적 기법과 실천수단)
저자 : Collie W. Conoley
출판사 : 시그마프레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58328964

책소개

역기능적 가족이나 문제 가족이 성장하도록 우수 치료 사례나 실증적 치료수단을 제시함으로써 전통적 가족치료에 긍정심리학을 접목시킨 책이다. 긍정심리학과 가족치료 분야의 최신 연구와 실천 및 이론을 독특한 관점으로 제시함으로써 치료자들이 공감, 친절, 책임, 개입, 사회정의, 직업의식, 팀워크, 목적의식, 자원봉사와 같은 덕목들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가족치료의 발전과정에서 다음 단계는 긍정심리학을 통해 치료자들이 어떠한 형태의 가족이든 그들의 강점을 기반으로 역기능을 극복하고 새롭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역기능적 가족이나 문제 가족이 성장하도록 우수 치료 사례나 실증적 치료수단을 제시함으로써 전통적 가족치료에 긍정심리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긍정심리학과 가족치료 분야의 최신 연구와 실천 및 이론을 독특한 관점으로 제시함으로써 치료자들이 공감, 친절, 책임, 개입, 사회정의, 직업의식, 팀워크, 목적의식, 자원봉사와 같은 덕목들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책에 실려 있는 긍정적 기법과 개입을 통합한 여러 가지 과제와 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기본 구성요소인 가족이 보다 강화되고 활성화될 것이며, 또한 이제까지 긍정심리학을 접하지 못한 치료자들에게 탄탄한 기초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역자 소개



유계숙

미국 퍼듀대학교 박사(가족학 전공)

현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부교수, 가족상담교육센터장

주요 저서 및 역서 _ 가족정책론(공저), 이혼상담과 이혼법(공저), 가족복지실천기술론(공역)



강수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석사, 가족상담교육센터 연구원

주요 논문 _ 대학생의 성별 및 성경험에 따른 성지식 수준에 관한 연구(공동)



오아림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석사, 가족상담교육센터 연구원

주요 논문 _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공동)



이주현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석사과정, 가족상담교육센터 연구원

주요 논문 _ 적극적 고용개선조치의 시행계획서 서식 개선에 관한 연구(공동)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1. 긍정가족치료의 기초적 개념
1. 주요 개념
요약

02. 긍정가족치료의 기법
1. 초기 라포 형성 및 강점 발견
결론

03. 긍정가족치료를 강화하는 가족 개입
1. 수용성
2. 공식적인 첫 회기 과제
3. 가족 의례
4. 감사하는 마음 키우기
5. 사회적 지지
6. 친밀감 형성하기
7. 정서지능의 형성
8. 부모의 지지와 지도
9. 모델링의 극대화
10. 자녀의 강점 찾기
11. 갈등 관리

04. 긍정가족치료 사례
1. 첫 번째 사례:토드가 최고다
2. 두 번째 사례:포옹과 눈물

05. 결론 및 긍정가족치료의 발전 방향
1.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주제
2. 긍정가족치료에 관한 오해
3. 가족 성장
4. 치료의 종결
5. 긍정가족치료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