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보건교육학
보건교육학
저자 : 최연희|김봉임|남영화|이계희|정은숙
출판사 : 정담미디어
출판년 : 2012
ISBN : 9788960692404

책소개

『보건교육학』은 보건교육과 건강증진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학습하도록 구성된 이론서이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건교육의 정의와 중요성, 목적과 목표부터 학교, 사업장 및 보건의료기관에 따른 보건교육의 방향과 전략까지 보건교육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보건교육의 이해
제1절 보건교육의 개념
1. 보건교육의 정의
2. 보건교육의 중요성
3. 보건교육의 목적
4. 보건 교육의 내용과 범위
5.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
제2절 보건교육의 변천
1. 보건교육의 역사
2. 보건교육의 법적 근거
3. 보건교육사 제도

제2장 건강증진의 이해
제1절 건강증진의 개념
1. 건강증진의 정의
2. 건강증진모형
3. 건강증진의 발전과정
제2절 국내ㆍ외 건강증진사업
1.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
2. 외국의 건강증진사업

제3장 보건교육 관련 이론
제1절 보건교육의 학습이론
1. 행동주의 학습이론
2. 인지주의 학습이론
3. 인본주의 학습이론
제2절 개인 수준의 보건 교육 관련 행위 이론
1. 건강신념모형
2. 합리적/계획된 행동이론
3. 범이론적 모형
제3절 개인 간 수준의 보건교육 관련 행위이론
1. 사회인지이론
2. 사회적 지지 이론
제4절 지역사회 수준 보건교육 관련 행위이론
1. PRECEDE-PROCEED 모형
2. 혁신전파이론
3. 건강증진의 생태학적 모형

제4장 보건교육 과정
제1절 보건교육 사정
1. 학습요구 사정
2. 학습자의 준비상태 사정
3. 우선순위 설정
제2절 보건교육 계획
1. 학습목표 설정
2. 수행계획
3. 평가계획
제3절 보건교육 수행
1. 보건교육의 실시
2. 보건교육의 방법
3. 보건교육의 매체
제4절 보건교육 평가
1. 보건교육 평가의 기능 및 목적
2. 보건교육 평가의 절차
3. 보건교육 평가의 분류 및 평가방법
4. 보건교육 평가도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

제5장 생활터별 보건교육
제1절 지역사회 보건교육
1.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개념
2.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필요성
3.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기본방향
4.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대상 및 내용
5. 지역사회 보건교육의 수행전략
제2절 학교 보건교육
1. 학교 보건교육 개념
2. 학교 보건교육 필요성
3. 학교 보건교육 기본방향
4. 학교 보건교육 실제
5. 학교 보건교육 수행전략
제3절 산업장 보건교육
1. 산업장 보건교육 개념
2. 산업장 보건교육 필요성
3. 산업장 건강관리
4. 산업장 보건교육 목적
5. 산업장 보건교육 대상
6. 산업장 보건교육 내용
7. 산업장 보건교육 수행전략
제4절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1.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개념
2.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필요성
3.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목적
4.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대상
5.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내용
6. 보건의료기관 보건교육 수행전략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