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힙합 (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힙합 (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저자 : 김봉현
출판사 : 글항아리
출판년 : 2014
ISBN : 9788967351038

책소개

세계 문화를 점령한 ‘힙합‘의 힘은 무엇인가?

게토와 스웨거, 리스펙트까지 힙합의 모든 것『힙합』. 음악비평가 김봉현 저자는 힙합의 오해와 편견을 깨고 힙합의 본질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프로-아프리칸’으로부터 시작하여 ‘리스펙트’에 이르는 힙합의 기원과 역사, 문화를 파헤치며 사회, 문화, 정치적인 맥락과 힙합이 지닌 성향과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래퍼들은 왜 랩으로 서로 싸우고 여자들을 비하하는지 등에 대한 의문을 저자 나름 정리하여 대답하고 있으며 힙합의 예술적 면모와 긍정적 에너지, 우리 삶에 실질적인 확장 가능성까지 힙합의 모든 면을 담았다.

저자는 힙합을 표현하는 15개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하나씩 풀어나간다. 힙합의 뿌리와 저항을 반영한 ‘아프로-아프리카’와 ‘게토’, 자랑을 외치는 래퍼들의 ‘스웨거’, 빈민가에서 태어났지만 스스로 힘으로 운명을 바꾼 레퍼들에게서 엿볼 수 있는 ‘자수성가 Selfmade’ 화법, 래퍼들 사이의 ‘인정’문화인 ‘스트리트 크레디빌리티’와 래퍼들의 언어전쟁 ‘랩 배틀’ 등 래퍼들의 문화와 왜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국내 최초로 힙합의 사회·문화·정치를 탐구하다
고유의 색깔로 세계 문화를 점령한 ‘힙합의 힘’은 무엇인가
왜 힙합은 금딱지와 스포츠카와 벗은 여자들을 좋아하는가
왜 힙합은 욕설과 비방으로 그토록 서로 싸워대는 것일까
게토와 스웨거, 랩배틀에서 리스펙트까지, 힙합의 모든 것

사회·문화·정치 맥락으로 힙합을 바라보다

한국에서 ‘힙합’이나 ‘랩’이란 단어는 이제 누구에게나 친숙한 말이 되었다. 아니, 그렇게 된 지 오래다. 누구도 힙합이 무슨 뜻인지, 랩이 무엇인지 되묻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에서 그 고유의 내용과 맥락이 제대로, 널리 알려져 있다고 말하기는 아직도 어렵다. 십수 년 전 기대했던 미래와는 다른, 당황스러운 현실이다.
힙합은 그 본질과 속성상 그 어떤 음악보다 자기 고유의 색깔과 개성이 강하다. 그런 만큼 힙합을 잘 모르거나 힙합에 관심 없는 사람들이 오해와 편견을 갖기 쉬운 음악이자 문화다. 다시 말해 마치 일반인이 헤비메탈 뮤지션의 패션이나 무대를 볼 때처럼, 힙합 ‘안’에서는 힙합 마니아끼리 자연스레 합의된 내용이 힙합 ‘밖’으로 나가면 이상해 보이고 이해가 잘 안 되는 일이 빈번하다. 바로 이러한 것이 힙합이 패러디의 주요 소재가 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다.
대중음악평론가이자 힙합평론가인 저자 김봉현의 이 책은 힙합에 씌어진 온갖 오해와 편견을 벗겨내고 힙합의 본래 얼굴을 보여주는 본격적인 힙합 소개서다. “힙합이 클럽, 패션 또는 인기 여가수와의 피처링으로 인식되고 돌아다니는 한국에서 그는 ‘아프로-아메리칸’으로부터 시작해 ‘리스펙트’에 이르는 힙합의 기원과 역사와 문화를 끈덕지게 붙잡고 늘어지는” 책이 등장한 것이다. 다른 음악/문화와 구별되는 힙합이라는 음악/문화의 고유한 특성과 멋, 매력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고 논의한다. 앨범 리뷰 형식의 글이나 사운드에 관한 이야기는 되도록 하지 않고, 힙합을 둘러싼 사회·문화·정치적인 맥락과 힙합이 지닌 성향 및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다. 특히 힙합을 향한 ‘오해’나 ‘편견’과 관련한 내용을 주로 담았다. 다만 무조건 힙합의 편(?)을 들지는 않았다.
누구나 한번쯤 래퍼들은 왜 자기 자랑을 그렇게 하는지, 왜 랩으로 서로 싸우는지, 왜 여성을 가리켜 ‘bitch’라고 부르는지, 왜 감옥에 드나들수록 더 인기가 올라가는지 등에 대해 궁금해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문에 대한 내 나름의 정리와 대답, 더 나아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힙합의 예술적 면모와 긍정적 에너지, 그리고 우리네 삶으로의 실질적인 확장 가능성까지 이 책에 담았다. 힙합이라는 음악이자 문화, 삶의 양식에 대해 알고 싶어질 때 가장 먼저 찾는 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각 장별 주요 내용
이 책은 힙합을 잘 표현해주는 15개의 키워드를 정하고 그에 대해 자유자재로 풀어나가고 있다. ‘아프로-아메리칸’ ‘허슬’ ‘리스펙트’ ‘I Don’t Give a Fuck’ 등 저자가 정한 15개의 키워드는 만약 힙합이 하나의 ‘이론체계’라면 그 핵심 ‘개념’이라고 할 만한 것들이다. 왜 힙합이란 대지를 엿보는 데 이러한 ‘구멍’이 필요한 지는 본문에 수없이 인용된 뮤지션들, 앨범들, 그들이 자신들의 생활 속에서 만들어낸 ‘랩 가사’의 내용분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특히 쉽게 지나칠 수 있는 ‘랩 가사’의 내용을 힙합연대기의 유기적 상관성 속에서 최초로 본격 분석을 가하고 있어 주목을 끈다.

첫 장 “아프로-아메리칸Afro-American”에서 저자는 “역사적으로 재즈와 소울이 아프로-아메리칸을 대변하는 음악이었다면 오늘날 아프로-아메리칸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가장 강력한 음악은 바로 힙합”이라고 선언한다. 현대 랩의 기원을 아프로-아메리칸의 ‘라이밍 게임rhyming games’에서 찾는 시도도 있다. 흑인 노예들의 정치성을 띤 언어유희는 백인 지주의 감시와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연적으로 은유와 상징을 동원할 수밖에 없었고 이런 요소들이 현대 랩의 체계와 표현 방식, 태도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이렇듯 본질적으로 힙합은 아프로-아메리칸의 뿌리와 저항을 반영한 음악이자 문화다. 역사적으로 형성된 아프로-아메리칸의 정체성은 힙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며, ‘아프로-아메리칸=저항=힙합’이라는 단순한 공식화는 위험할 수 있다. 모든 예술과 음악은 어디까지나 놀이로서의 즐거움과 유희에서 오는 쾌감이 근간이라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힙합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디제이 쿨 허크DJ Kool Hercr가 1970년대에 “내가 처음으로 디제잉을 시작했을 때, 그것은 단지 재미를 위해 한 일이었다”라고 말한 것처럼 말이다.
“스웨거Swagger”는 힙합의 중심에서 자랑을 외치는 래퍼들의 모습을 조명한다. 래퍼들은 왜 그렇게 자기자랑을 할까? 왜 그들은 겸손하지 못한 것일까?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하지만 힙합의 세계에서는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빳빳하게 든다. 하지만 스웨거를 단순히 ‘잘난 척’이나 ‘허세’ ‘돈 자랑’ 정도로 정의하면 그 의미가 한없이 좁아진다. 굳이 정의하자면 힙합에서의 스웨거란 자신의 외적/내적 면모를 스스로 자신감 있게 드러낼 때 발생하는 일종의 복합적인 ‘멋’ 혹은 ‘아우라’에 가깝다. 제이지의 “내 돈이 다 안 들어가서 스키니 진은 입을 수 없지 / 내 간지를 베끼는 것만으로도 넌 옷을 어떻게 입는지는 배울 수 있어 / 하지만 내 스웩만큼은 나도 너에게 가르쳐줄 도리가 없지 / 학교에 수업료를 내도 클래스는 살 수 없을걸 / 나는 ‘역경의 학교’를 졸업했고 / 학사모는 바로 이 양키스 캡이지”는 힙합에서의 스웨거를 설명하기에 가장 좋은 구절이다. 1)자신이 실제로 이루어낸 것을 2)은유와 재치를 통해 3)자신감 있게 드러내고 있다. 저자는 분석한다. “‘스키니 진’ 라인의 재치, ‘겉만 번지르르한 멋’과 ‘무엇을 실제로 이루어낸 사람에게서 풍기는 멋’의 차이, 클래스class라는 단어로 ‘수업’과 ‘수준’이라는 동음이의를 활용한 언어 유희 등을 차례로 접하며 우리는 한 인물의 자기 증명이 라임으로서 그리고 문학으로서 발산하는 복합적인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자수성가 Selfmade”에서는 “밑바닥에서 시작했지만 이제 난 정상에서 놀지”와 같은 건방진 가사들의 기원을 찾아나선다. 래퍼들은 모두 배고프고 가난할까? 옛말이다. 이제 어떤 래퍼들은 재벌 순위에 오르고 뉴욕시장과 식사를 하며 오바마의 초청을 받는다. 빈민가에서 태어났지만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운명을 바꾼 래퍼들, 그들에게서 엿볼 수 있는 건 힙합 특유의 ‘자수성가’ 화법과 그 카타르시스다.
힙합 문화는 여느 대중음악과 달리 음악이기 이전에 특수한 사회, 지리, 인종적 기반 위에서 출발했다. “게토Ghetto”에서는 힙합의 배태 공간에 대한 성찰을 펼친다. 적지 않은 미국의 흑인들은 가난이 대물림되고 범죄가 만연한 ‘게토’에서 태어나 살아간다. 그리고 그들은 게토를 탈출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밖에 없다고 스스로 말한다. 바로 ‘랩’과 ‘농구’다.
“스트리트 크레디빌리티Street Credibility”에선 래퍼들 사이의 ‘인정’ 문화를 다룬다. 힙합씬에선 노래를 잘 부른다고 모든 게 해결되는 게 아니다. 이른바 “별”을 달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화는 스트리트 크레드에 대한 채점표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흑인으로 태어나면 +5점, 편부 혹은 편모 아래에서 태어나면 +5점, 가난하게 태어나면 +10점, 각종 마약 판매 경험이 있다면 +50점, 총 맞고 살아난 경험이 있다면 +65점, 총 맞고 살아난 경험이 여러 번 있다면 +75점, 갱단 멤버 경력이 있다면 +70점, 수감 경험이 있다면 +65점 등이며 반대로 영어를 정확하게 구사하면 -50점, 백인 친구가 있다면 -60점, 사진 찍을 때 인상 안 쓰고 미소 지으면 ?35점 등이다.
힙합 신에선 싸움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른바 “랩 배틀Rap Battle”이다. 저자는 힙합을 둘러싼 대부분의 것은 도덕과 윤리로 접근하면 더이상 나아가지 못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랩 배틀은 특히 더 그렇다. 겸손하지 않을수록, 상대방의 약점을 물고 늘어질수록 승리할 가능성이 높고 더욱 흥미를 자아내는 랩 배틀은 도덕과 윤리의 측면에서는 아예 존재하지 않아야 할, 사라져야 할 대상이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저자는 랩 배틀을 도덕과 윤리로서가 아닌 문화와 예술로서 바라봐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를테면 박찬욱의 영화에서 욕설이 나오거나 사람을 죽여도 그것을 아무도 도덕적으로 비난하지 않는 것과 비슷한 관점을 요청한다. 랩 배틀은 일종의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랩 배틀의 기원과 전개양상의 역사가 뒤이어 아주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힙합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은 “남성 우월주의Black Masculinity” “여성 폄하Misogyny” “동성애 폄하Homophobia” 같은 코드들이다. 저자는 3개의 장을 할애하여 왜 래퍼들이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지 그 문화적 근원을 탐색한다. 특히 상처 받은 ‘흑인 남성성black masculinity’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대목은 인상적이다. 타의에 의해 남성성이 거세된 채 제대로 된 남자 역할을 오랫동안 해오지 못했던 만큼 남들보다 더욱더 남성성을 숭상하며 (그들의 기준에서) ‘진정한 남자’가 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추천의 글

김봉현은 힙합으로 대변되는 블랙 뮤직의 시야를 우리에게 끊임없이 열어주는 유일무구한 똥개다. 이 똥개의 무모하고 아름다운 열정이 뻔뻔할 정도로 경직되어 있는 우리 사회를 흔들어주길 바란다. 김봉현은 피어싱 기술자만큼이나 구멍을 크게 여는 확장자다. 확장자! 김봉현.
_김경주 시인, 극작가

힙합 문화는 여느 대중음악과 달리 음악이기 이전에 특수한 사회, 지리, 인종적 기반 위에서 출발했다.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이렇게 의미 있는 첫 걸음마를 시작했다.
_김영대 대중음악평론가, 음악학자

힙합이 클럽, 패션 또는 인기 여가수와의 피처링으로 인식되고 돌아다니는 한국에서 그는 ‘아프로-아메리칸’으로부터 시작해 ‘리스펙트’에 이르는 힙합의 기원과 역사와 문화를 끈덕지게 붙잡고 늘어진다.
_강명석 대중문화평론가, 웹매거진 『ize』 편집장

힙합의 표면에서 심층까지 제대로 된 여행을 하고 싶다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며 이 문화의 이면에 숨은 진짜 힘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
_MC Meta 래퍼, 뮤지션

‘랩 스타’도 아닌, 심지어 ‘아프로-아메리칸’도 아닌 극동아시아의 한 젊은이가 이국땅의 ‘게토’ 문화에 보내는 ‘리스펙트’라 할 만하다.
_P-Type 래퍼, 뮤지션

이런 거 분석할 시간에 공부나 더 열심히 하라는 부모님 잔소리가 떠오른다. 하지만 무슨 상관인가? 이 책은 힙합이 단순한 유행이나 가벼운 음악이 아니라 복합적인 문화이자 학문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_Jaeki “JKey” Cho 미국 힙합 매거진 XXL, Complex, VIBE Writer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001〈아프로-아메리칸Afro-American〉 “노예의 핏줄, 하지만 왕의 가슴”
002〈게토Ghetto〉 “역경과 자긍심, 그 애증의 공간”
003〈랩 스타Rap Star〉 “랩 스타, 이건 새로운 직업”
004〈NBA 스타NBA Star〉 “마이크와 농구공의 아메리칸 드림”
005〈자수성가Selfmade〉 “밑바닥에서 시작해 정상에 올라왔지”
006〈허슬Hustle〉 “이 험난한 거리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법”
007〈스웨거Swagger〉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빳빳하게”
008〈스트리트 크레디빌리티Street Credibility〉 “누가 거리의 신뢰를 얻는가”
009〈랩 배틀Rap Battle〉 “역사상 가장 매력적인 언어 전쟁”
010〈패러디Parody〉 “힙합이 힙합 밖으로 나갔을 때 생기는 일”
011〈I Don’t Give a Fuck〉 “신경 안 써. 될 대로 되라고 해!”
012〈남성 우월주의Black Masculinity〉 “계집애처럼 행동하기 있기 없기?!”
013〈여성 폄하Misogyny〉 “Bitch Bad, Woman Good, Lady Better”
014〈동성애 폄하Homophobia〉 “그냥, 다 똑같은 사랑이야”
015〈리스펙트Respect〉 “존중과 사랑, 힙합의 핵심 가치”

부록 _본문에 가사가 등장하는 앨범 목록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