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방송시스템과 영상제작 (HDTV에서 3D 입체영상제작까지)
방송시스템과 영상제작 (HDTV에서 3D 입체영상제작까지)
저자 : 유승식
출판사 : 구민사
출판년 : 2013
ISBN : 9788970747217

책소개

『방송시스템과 영상제작』은 스튜디오 및 부조정실 시스템 운용에 관한 내용을 기본으로 배우고, 프로그램 제작에 관련되는 방송의 기획 및 연출, 카메라의 원리 및 촬영기법, 방송 조명, 방송 음향, 방송 편집, 단편영상 제작, 영상제작의 공학적 접근에 관해 설명되어 있으며, 디지털 방송의 메커니즘, HDTV에 따른 제작상의 고려 사항, 3D입체영상제작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저자는 방송에 관련하여 10수년 간 강의를 하는 중에 많은 참고 서적을 준비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방송시스템과 영상제작기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된 단일 교재가 필요하다는 마음을 늘 갖고 있었습니다.
방송시스템과 프로그램제작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방송의 전체적인 부분을 이해해야 된다는 일념을 갖고 최신 기술 위주로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아는 것이 많은 사람은 대체로 설명이 쉽고 간결하다고 하는데, 어떻게하면 쉽고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책을 써야만 했습니다.

예술이 없는 과학은 죽은 과학이요, 과학이 없는 예술은 죽은 예술이라고 누군가 말했듯이 과학과 예술은 서로 통(通)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방송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도 곳곳에서 공학과 예술이 접목되면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매뉴얼 형식을 가능한 한 피하고 실무 개념 위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책에서 설명된 접근 방식은 탑-다운 방식으로 접근하였습니다. 개미의 눈 보다는 독수리의 눈으로 먼저 바라보고 다시 개미의 눈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어느 학문 분야에서도 마찬가지 이지만, 이론은 머리에 있고 실습은 손과 발에 있습니다. 생각이 없는 실습은 항상 연습일 뿐이며 발전이 없고, 실습이 없는 이론은 일에 대한 공포감을 갖게 합니다. 이론과 실습은 수레의 양 바퀴와 같아서 균형을 유지하지 않으면 똑바로 전진하지 못하고 발전에 장애가 됩니다. 또한 통섭적인 안목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으로는 스튜디오 및 부조정실 시스템 운용에 관한 내용을 기본으로 배우고, 프로그램 제작에 관련되는 방송의 기획 및 연출, 카메라의 원리 및 촬영기법, 방송 조명, 방송 음향, 방송 편집, 단편영상 제작, 영상제작의 공학적 접근에 관해 설명되어 있으며, 디지털 방송의 메커니즘, HDTV에 따른 제작상의 고려 사항, 3D입체영상제작에 대해 기술되어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01 방송개요
1. 방송이란?
2. 우리나라 방송의 역사
3. 방송제작에 관련된 주요 직업
4. 방송 시스템 구성
5. 방송 측정 시스템
6. 카메라 구조
7. 스위처(Switcher)와 영상효과장치(DVE)
8. 방송 음향
9. 방송 조명
10. 방송 편집
11. 디지털 방송
12. 결론

chapter 02 방송시스템
1. 방송시스템 관련용어
2. 방송 카메라의 기초
3. 카메라 워킹방법
4. 방송 음향
5. 방송 조명
6. 스위처와 디지털영상효과

chapter 03 방송프로그램 기획 및 연술
1. 기획
2. 대본 작성
3. 시나리오의 기본 패러다임
4. 연출 시 참조 사항

chapter 04 방송카메라
1. 방송카메라의 개요
2. 방송카메라의 응용
3. 비디오신호의 활용
4. 타임 코드
5. 표준 모니터 색 조정
6. 화면 구성
7. 카메라맨 수칙
8. 카메라맨의 자세

chapter 05 방송조명
1. 방송조명의 개요
2. 스튜디오 조명기구
3. 현장 조명기구
4. 기본 조명
5. 뉴스 프로그램 조명기법
6. 교양 프로그램 조명기법
7. 드라마 프로그램 조명기법
8. 쇼 프로그램 조명기법

chapter 06 방송음향
1. 소리의 이해
2. 마이크로폰(마이크)
3. PA용 스피커
4. 파워 앰프
5. 믹싱 콘솔
6. 시그널 프로세서(Signal Processor) = 이펙터 = 효과기
7. 공연음향의 수칙
8. 음향기기의 연결
9. 강당 음향

chapter 07 방송편집
1. 방송편집 관련용어
2. 방송편집의 필요성
3. 컷의 역할
4. 비선형 편집
5. 방송편집의 기본원리
6. 방송편집의 기본기술
7. 방송편집의 실제
8. 방송편집의 일반관행

chapter 08 단편영상제작
1. 시나리오 준비하기
2. 멀티 플레이어 되기
3. 마감 날짜까지 편집하기
4. 주제 고르기
5. 스태프 구성
6. 작업 진행요령
7. 스토리보드 접근법
8. 현장에서의 외침
9. 장비 점검
10. 주의사항
11. 기술적 고려사항

chapter 09 영상제작의 공학적 접근
1. 콘텐츠 공학이란?
2. 영상콘텐츠의 공학적 분석
3. 영상콘텐츠의 제작기술
4. 아이디어
5. 기획서
6. 설정
7. 시나리오
8. 디자인
9. 콘티
10. 연출 · 편집 · 디버깅
11. 마무리

chapter 10 디지털발송
1. 디지털방송 개요
2. 디지털방송과 멀티채널 음향
3. 디지털방송 기초기술
4. 방송의 디지털화
5. 디지털비디오신호 압축
6. 디지털신호 오류정정
7. 디지털방송의 종류
8. 가상 스튜디오(Virtual Studio)

chapter 11 HDTV 프로그램 제작
1. HDTV방송시대로의 진입
2. HDTV프로그램 제작 시 부문별 검토

chapter 12 3D입체영상제작
1. 3D입체영상기술 개요
2. 국내외 가술 동향
3. 3D입체영상 적용
4. 3D입체영상의 용어 및 원리
5. 3D입체영상 확보 방법
6. 3D입체영상의 프리프로덕션과정
7. 3D입체영상의 프로덕션과정
8. 3D입체영상의 포스트프로덕션과정
9. 3D입체영상의 출력 포맷
10. 3D입체영상 디스플레이
11. 3D입체영상제작 가이드라인
12. 3D입체방송 활성화 방안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