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디지털 영상 촬영과 편집
디지털 영상 촬영과 편집
저자 : 안세영|박우철
출판사 : 차송
출판년 : 2012
ISBN : 9788986913934

책소개

『디지털 영상 촬영과 편집』은 비디오를 취미생활로 영위하는 다양한 부류의 아마추어, 학교에서 영상 관련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방송매체에서 취재현장을 뛰어다니는 비디오 저널리스트/카메라맨들이 디지털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창조적인 소프트웨어를 창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아가서 프로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프로페셔널 비디오의 세계를 접할 수 있도록 방송, 업무용 영상장비와 운용법도 일부 소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초판 발행 후 두 번의 개정을 거친 ‘디지털 비디오의 촬영과 편집’을 시대의 흐름에 맞춰 개정·증보하여 '디지털 영상 촬영과 편집'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출간하였다. 그동안 영상 촬영에서 저장, 편집, 전달까지 모든 방식이 디지털로 바뀌어 8mm나 VHS 계열의 아날로그 비디오는 과거의 유물이 되었다. DV 캠코더의 출현은 디지털 캠코더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뒤이어 개발된 HDV는 가정에서도 HD급 촬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캠코더는 Full HD급의 화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저장 매체도 테이프 방식에서 메모리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이러한 영상 제작의 디지털화와 기술 발달로 인해 아마추어가 제작한 작품과 프로가 만든 작품의 차이는 근소해졌다. PC를 이용한 편집이 일반화되면서 아마추어도 다양한 편집 효과를 이용하여 프로들이 만든 영상물 못지않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영상물을 보여주고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이 뒷받침되어, 자신의 노력에 따라 양질의 영상물을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여 영상 작업자들이 기술적인 특징을 잘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일반적인 영상 작업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비디오를 취미생활로 영위하는 다양한 부류의 아마추어, 학교에서 영상 관련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방송매체에서 취재현장을 뛰어다니는 비디오 저널리스트/카메라맨들이 디지털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창조적인 소프트웨어를 창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나아가서 프로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프로페셔널 비디오의 세계를 접할 수 있도록 방송, 업무용 영상장비와 운용법도 일부 소개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1장에서 5장까지는 VTR/캠코더의 원리, 아날로그/디지털 비디오의 방식, 디지털 캠코더를 다루는 방법, 6장에서 7장은 영상미를 창출하기 위한 조명기법, 영상물의 제작과정, 영상언어를 구사하여 우수한 영상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각종 촬영기법과 영상문법, 8장에서 10장은 편집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VTR/캠코더, 그리고 컴퓨터 기반의 편집기술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특히 디지털 시대라는 점을 감안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편집에 지면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디지털 편집은 아마추어뿐만 아니라 프로들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원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소개한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인 프리미어 프로 CS4는 계속 업그레이드되겠지만, 기본적인 편집 개념은 거의 유사하므로 버전이 달라졌다고 해서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11장은 SNS를 통한 동영상 공유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일부 내용이 초보자들에겐 다소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좀 더 깊게 파고들면 오히려 실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비디오/TV의 기초지식
1. 비디오의 정의
2. 비디오의 용도
3. 동영상의 구현
4. 비디오와 영화의 차이
5. 캠코더의 구조 및 녹화 과정
6. 비디오에서 해상도란?
7. 테이프 방식 캠코더의 녹화 원리
8. 비디오 테이프
9. 메모리 카드
10. 비디오 헤드의 클리닝

2장, 아날로그 비디오의 종류와 특징
1. 베타맥스와 VHS
2. 8mm와 Hi-8
3. S-VHS, S-VHS ET
4. W-VHS
5. 방송·업무용 아날로그 VTR

3장, 디지털 비디오의 종류와 특징
1. 동영상 신호의 압축과 압축 코덱
2. 디지털 비디오 규격
3. DSLR을 이용한 동영상 촬영
4. 방송·업무용 디지털 VTR
5. 광 디스크 매체
6. 목적에 맞는 캠코더 선택

4장, 디지털 비디오의 특징과 입·출력 신호
1. 디지털 비디오의 장·단점
2. 입·출력 신호의 종류와 결선법
3. 입·출력 커넥터 및 케이블의 종류

5장, 디지털 캠코더의 사용법
1. 부분별 명칭과 기능
2. 촬영·재생 관련 파라미터
3. 수동모드에 의한 창조적 촬영
4. 캠코더를 이용한 화면전환
5. 캠코더와 무선 네트워크의 결합
6. GPS에 의한 위치 기록
7. 촬영용 액세서리와 효과적인 이용

6장, 조명
1. 조명의 중요성
2. 광원의 밝기와 화질
3. 조명기구의 종류
4. 광원의 방향에 따른 조명
5. 조명기구에 의한 스튜디오 조명

7장, 촬영과 영상 표현 기법
1. 촬영에 앞서
2. 영상표현에 관련된 요소
3. 카메라 워크
4. 영상문법

8장 영상편집의 개념
1. 가위편집과 전자 편집
2. 영상편집의 4요소
3. 컷과 몽타주
4. 컷의 배열에 의한 스토리 전개
5. 화면의 전환방법과 효과
6. 혼란이 없는 컷의 접속

9장, 디지털 VTR/캠코더를 이용한 영상 편집
1. 편집제어 신호의 종류
2. 어셈블 편집
3. 인서트 편집
4. A/B롤 편집 시스템

10장,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편집
1. 디지털 편집 시대
2. 비선형 편집을 위한 PC의 구성
3. 디지털 편집의 실제

11장,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디오 공유
1. 유튜브(Youtube)
2. 트위터에서 동영상 공유하기

■ 참고자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