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
저자 : 강원봉|도베 히데아키|미쓰이 다카시|조관자|차승기
출판사 : 아연출판부
출판년 : 2014
ISBN : 9788990769503

책소개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는 사적 유물론의 공식적·기계적 적용, 혹은 인민투쟁 사관의 답습이라는 오해를 걷어내고 가지무라 사학의 풍부한 고민을 다시 읽어냄으로써, 식민성과 근대성 사이를 맴돌고 있는 지금의 근대사 연구를 탈구축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구성된 책이다. 기본적으로 가지무라의 저작집을 중심으로 하여 때로는 저작집에 수록되지 않은 글도 함께 읽는 방식으로 운영된 연구회에서 공동 연구의 성과물을 각자 한국과 일본의 학술지에 투고하여 학계의 평가를 구하고, 동시에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엮어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

국민국가론, 식민지근대론이 확산되면서 민족으로 환원되기 어려운 다양한 주체가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일본과 한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그러나 한·일 양국에 걸쳐 식민 지배를 부인하고자 하는 폭력과 식민지 경험의 상흔을 외면하고자 하는 욕망이 뒤엉켜 일어나면서, 식민지·주변부를 살아낸 한국의 근현대사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의 과제가 방향을 잃고만 것 또한 사실이다. 바로 여기에 누구보다도 앞서 식민주의를 고발하고 또 민중의 식민지 경험을 무겁게 받아들이고자 한 가지무라 히데키의 삶과 학문을 재음미하는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사적 유물론의 공식적·기계적 적용, 혹은 인민투쟁 사관의 답습이라는 오해를 걷어내고 가지무라 사학의 풍부한 고민을 다시 읽어냄으로써, 식민성과 근대성 사이를 맴돌고 있는 지금의 근대사 연구를 탈구축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가지무라를 다시 읽고자 하는 움직임은 일본의 한국사 연구자들 사이에서 거의 동시적으로 다수 존재하였다. 이 책을 내게 된 연구회도 그 중의 하나로서 출발했다. 연구회는 기본적으로 가지무라의 저작집을 중심으로 하여 때로는 저작집에 수록되지 않은 글도 함께 읽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이후 공동 연구의 성과물을 각자 한국과 일본의 학술지에 투고하여 학계의 평가를 구하는 동시에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내게 되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8

서장
왜 지금 가지무라 히데키인가 / 홍종욱
1. 가지무라 히데키를 다시 읽는다 10
2. 전후(戰後) 일본의 조선사 연구와 가지무라 사학 11
3. ‘내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14
4. ‘이념형’으로서의 민중, ‘만신창이’로서의 민중 17
5. 근대의 주변, 주변의 근대 19
6. 가지무라 히데키 연구회의 발걸음 22

1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사회운동과 한국사 연구 / 강원봉
1. 자기 점검의 계기로서의 조선사 26
2. 성장 과정(1935~1953) 28
3. 대학 시절(1954~1963) 29
4. 1960년대의 연구와 실천 31
5. 1970년대의 연구와 실천 33
6. 1980년대의 연구와 실천 36


2장
근대 조선사학사 인식에서 본 가지무라 히데키 / 미쓰이 다카시
1. 사학사 인식의 ‘정체(停滯)’ 42
2. ‘비인간적인 학문’으로서의 조선사 비판과 조선사의 ‘새로운 재출발’ 44
3. 아카데미즘 조선사학에서의 ‘계승’이라는 과제 46
4. 역사를 말하는 주체라는 문제: 조선인 부재의 사학사 52
5. 가지무라 류(流) 사학사의 의의와 한계
- 『배외주의 극복을 위한 조선사(排外主義克服のための朝鮮史)』를 중심으로 - 56
6. 가지무라의 사학사 인식을 넘어 64

3장
내재적 발전론의 임계: 가지무라 히데키와 안병태의 역사학 / 홍종욱
1. 내재적 발전론의 탈구축을 위하여 67
2. 내재적 발전론의 일본적 맥락 70
3. 가지무라 히데키의 역사학에서의 ‘외압’과 ‘민중’ 77
4. 안병태의 역사학에서의 ‘전(全)구조적 파악’ 83
5. ‘세계사적 보편’과 ‘아시아적 특질’을 넘어서 91
6. 역사학자의 주체성 99

4장
‘일한(日韓)체제’ 하의 민중과 ‘의미로서의 역사’
: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인식과 역사인식 / 강원봉
1. 식민주의와 ‘일한체제’ 106
2. 박정희 정권과 ‘근대화된 모순’ 110
3. ‘자기 점검의 계기’로서의 한국 민중 115
4. 일본 사회의 가치관과 민중의 과제 121
5. 의미상실 시대의 역사인식 127
6. 한국을 통해 일본의 문제를 보다 133

5장
일본 ‘전후 역사학’의 전개와 미완의 가지무라 사학
: 국가와 민중은 어떻게 (재)발견되었는가 / 도베 히데아키
1. 문제제기 ? 20세기 역사학 운동을 역사화할 필요성 ? 139
2. 가지무라는 어떻게 잊혀 졌는가 141
3. ‘내재적 발전론’과 전후 역사학 146
4. 가지무라의 내재적 발전론의 심화?변용을 재촉한 두 가지 요인 149
5. 1980년대의 심화 ? 미완의 가지무라 사학 ? 154
6. 지금, ‘미완의 유산’을 상속하기 위하여 165

6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한국 자본주의론: 내재적 발전론으로서의 ‘종속 발전’론 / 홍종욱
1. 내재적 발전론과 한국 자본주의 171
2. 남북한의 ‘민족주의’와 대중 의식 173
3. ‘종속 발전’의 이론화 시도 179
4. ‘NICs형 종속 발전’론 187
5. 한국 자본주의 논쟁 비판 193
6. ‘이념 = 실체’로서의 ‘민족경제’ 198

7장
내재적 발전론의 네트워크, ‘민족적 책임’의 경계
: 가지무라 히데키와 그의 시대, 1955~1989 / 조관자
1. 내재적 발전론의 ‘외연’을 찾아 205
2. 내재적 발전론, 1960~1989 210
3. 변혁의 역사학, 한일 네트워크의 격차와 시차 215
4. ‘폭력혁명’의 망각과 한일회담 반대운동 219
5. 동아시아 인민 연대의 균열과 민족주의의 부흥 225
6. 권력 비판과 역사 비평의 부조화 229
7. ‘민족적 책임’의 경계를 넘어서 235

8장
가지무라 히데키의 ‘미발의 계기’: 식민지 역사 서술과 근대 비판 / 차승기
1. 식민지와 근대 246
2. 내재성 249
3. ‘미발의 계기’ 255
4. 번역 불가능성 260
5. 시차적 관점 265

영문 초록 270
초출 일람 27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