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이들은 놀라워라
아이들은 놀라워라
저자 : 박노해
출판사 : 느린걸음
출판년 : 2022
ISBN : 9788991418349

책소개

“아이들은 놀라워라
가장 먼저 울고 가장 먼저 웃고
자신들의 새로운 길을 향해
거침없이 나아가는 아이들은,
아이들은 놀라워라”
- 박노해

매권 ‘삶의 화두’를 던지는 〈박노해 사진에세이〉 시리즈 다섯 번째, 이번에는 ‘아이들’이다. 박노해 시인이 지난 20여 년간 만나온 세계의 아이들의 생기차고 눈물겨운 모습이 37점의 흑백사진과 글로 담겼다.

격변하는 미래와 교육, 가정과 학교, 부모와 자녀 등 우리 시대의 간절한 물음을 마주하는 지금. 진정한 교육은 삶에 대한 태도에서, 아니 삶 자체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박노해 시인은 이 책 『아이들은 놀라워라』를 통해 전하고 있다.

“아이들은 인간의 희망이어라. 아이들은 어둠 속 빛이어라.” 세상 모든 아이들에게, 그리고 아이였던 우리 모두에게 박노해 시인이 건네는 이야기 『아이들은 놀라워라』. 책 속에 담긴 아이들의 하늘 같은 눈망울과 강인한 삶을 마주하며, 내 안에 있었으나 잠시 잃어버린 소년소녀를 다시 만나게 되기를.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박노해 시인의 ‘지구별 아이들에게 바치는 기도’
“아이들은 인간의 희망이어라. 아이들은 어둠 속 빛이어라”
지난 20여 년간 만나온 세계의 아이들을
37점의 흑백사진과 글로 담아내다


세상 모든 아이들에게, 그리고 아이였던
우리 모두에게 박노해 시인이 건네는 이야기
‘아이’와 ‘교육’과 ‘부모’라는
우리 시대의 간절한 물음 앞에 희망의 길을 찾는다


지구마을 아이들의 친구, 박노해 시인

“아이들은 놀라워라. 가장 먼저 울고 가장 먼저 웃고 자신들의 새로운 길을 향해 거침없이 나아가는 아이들은 아이들은 놀라워라.” (박노해, 〈아이들은 놀라워라〉 중)
박노해 시인이 이번엔 ‘아이들’이란 화두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지난 20여 년간 좋은 삶이 깃든 ‘다른 길’을 찾아 세계의 가장 높고 깊은 마을을 유랑해온 박노해 시인. 그는 이라크 전쟁터에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을 안아주고, 안데스 고원에서 함께 축구를 하며 친구가 되어주고, 팔레스타인 난민촌 아이들을 위해 학교를 지어주고, 설원의 쿠르디스탄 눈밭에서 함께 뒹굴며 지구마을 아이들의 삶을 절실하게 기록해왔다. 그렇게 『아이들은 놀라워라』에 담기게 된 애틋하고 눈물겨운 이야기 하나 하나는 단숨에 우리를 사로잡는다.

결여만큼 간절하게, 눈물만큼 강인하게 자라는 아이들

돌아가신 아버지의 손목시계를 물려받고 가장이 된 페루의 소년, 어른들이 일하러 나간 고산마을에서 동생을 등에 업고 달래는 라오스 소녀,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친구들을 잃고 탱크 위에서 평화의 깃발을 흔드는 레바논 남매 등 가난과 분쟁으로 너무 일찍 철이 들어 버린 아이들부터, 바람 빠진 공을 차며 자유의 공기 속에 평원을 달리는 시리아의 소년들, 굴렁쇠를 굴리며 둥근 내일을 꿈꾸는 인디아의 아이까지. 결여만큼 간절하게, 눈물만큼 강인하게 자라나는 지구마을 아이들의 모습은 놀라움을 넘어 경이를 느끼게 한다. “아이들은 미래에서 온 빛이고 미래로 난 길이다. 낡아진 관습의 굴레에 필사적으로 저항하고 오늘의 진보한 세계를 진부하게 만들고, 확고하던 질서에 균열을 내며 그냥 앞으로, 낯설고 새로운 길로 내딛어 나가버린다. 아이들은 가장 위대한 ‘창조적 배반자’이고 그로부터 인류의 희망과 세상의 혁명은 대를 이어 계속되어 왔으니.” (박노해, 서문 중)

우리 아이들에게 “존재의 광활함”을

‘아이는 어떤 존재인가’. 세계 최저 출생률과 최고 교육열, 청소년 최고 자살률을 기록 중인 한국의 현실에서 ‘아이들’이란 화두는 가볍지 않다. “이 사진 속 세계의 절반이 넘는 아이들에 비추어볼 때, 슬프게도, 지금 우리 아이들의 심신은 갈수록 허약해지고 있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너무나 과잉 개발되고 있다. 모든 게 짜여지고 계획되고 들어차고 여백과 여지가 남아있지 않아 아이들의 영혼은 숨이 죽어간다. 우리가 해야 할 단 하나가 있다면 아이들에게 ‘존재의 광활함’을 허용하는 일이다. 지금 작고 갓난해도 아이는 이미 다 가지고 여기 왔으니.”(박노해, 서문 중) 그가 무릎 꿇어 눈 맞추며 만나온 세계 아이들의 모습은 우리 시대의 부모와 자녀, 가정과 학교, 교육 현실에 경종을 울리는 듯 하다.

‘노동’과 ‘놀이’와 ‘배움’이 하나된 삶에서 시작되는 교육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박노해 시인은 사진 속 아이들을 통해 이렇게 전한다. “노동과 놀이와 공부가 하나 된 삶의 현장에서 어렸을 때부터 대지와 이웃 속에서 자연스레 전승되고 익혀가는 현장 지성과 전인적 감각은 생애 내내 부닥치는 삶의 문제와 자기 결정에 무능하지 않은 고귀한 밑거름이 되어주리니. (박노해, 〈벼 타작하는 날〉 중) 홀어머니 아래서 10대 시절부터 공장 노동자로 살아온 박노해 시인의 어린 시절이, 식민지배와 전쟁과 가난의 시대를 살아낸 우리 부모들의 모습이 아스라히 교차되어 보인다. 저마다 역할 속에 살림 능력을 자연스럽게 배웠고, 함께 하는 노동 속에서 강인함을 키운 시절. 진정한 교육은 삶에 대한 태도에서, 아니 삶 자체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박노해 시인은 이 책 『아이들은 놀라워라』를 통해 전하고 있다.

부모에게 바치는 경외와 격려의 편지

‘부모의 사명은 무엇인가'. 박노해 시인은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다. “이 지상에서 아이에게 첫 만남의 존재이자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최초의 세계는 부모이다. 하여 ‘엄마, 아빠’라는 부름은 ‘인생의 축복’이자 ‘고통의 성직’이다. 끝없는 노동과 수모를 감내하며, 그래도 너는 나를 딛고 나아가라고 헌신하는 그 애타는 마음을 안다.”(박노해, 서문 중) 인류가 존재했던 모든 시간 속에 희망이며 기적이었던 아이들, 그리고 그 아이들을 지켜내고 키워내기 위해 눈물로 기도하고 일하는 부모들과 선생님들. 박노해 시인이 경외와 격려를 담아 바치는 이 책이 그들에게 빛나는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매권 ‘삶의 화두’를 던지는 〈박노해 사진에세이〉 시리즈 다섯 번째

한국사회를 충격적 감동으로 뒤흔든 『노동의 새벽』의 ‘얼굴 없는 시인’이자,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으로 민주화운동을 이끈 ‘혁명가’인 박노해 시인. 사진에세이는 박노해 시인이 1998년 7년 6개월 만에 감옥 독방에서 풀려나와 자유의 몸이 된 후, 20여년간 ‘지구시대의 유랑자’로 ‘다른 길’을 찾아 걸으며 기록해온 ‘유랑노트’이다. 매권 삶의 화두와도 같은 주제로 이어지는데, 이번 『아이들은 놀라워라』는 2019년 6월 처음 발간된 박노해 사진에세이 시리즈 01 『하루』, 02 『단순하게 단단하게 단아하게』 03 『길』 04 『내 작은 방』에 이은 다섯 번째 책이다.

책 속에서 전시장까지, ‘박노해 사진전’으로의 초대

『아이들은 놀라워라』 책에 수록된 모든 작품을 정통 아날로그 인화로 감상할 수 있는 사진전이 서울 서촌에 위치한 ‘라 카페 갤러리’에서 열린다.(2022.9.30~2023.10.1) 전시 관람 후, “눈물로 맑아졌다”는 고백과 “다시 살아갈 용기를 얻는다”는 다짐이 이어지며 ‘돌아봄’과 ‘나아감’을 주는 박노해 사진전. 장인이 암실에서 한 장 한 장 인화한 아날로그 흑백사진, 단편소설만큼의 이야기를 응축한 캡션, 그리고 시인이 엄선한 월드뮤직이 흐르는 ‘라 갤러리’가 “내 영혼의 순례길”이라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2010년부터 진행된 박노해 사진전에 다녀간 관람객은 어느덧 35만 명이 넘는다.

아이였던 우리 모두에게 건네는 이야기

“우리 모두는 아이였다. 너무 짧고 괴로운 이 한 생에서, 우리 모두는 상처 난 아이다. 늘 모자라고 서투르고 실수하고 그럼에도 거듭 배우고 성찰하며 다시 깨달아가야 하는 우리 모두는 ‘영원의 아이’다.”(박노해, 서문 중) 세상 모든 아이들에게, 그리고 아이였던 우리 모두에게 박노해 시인이 건네는 이야기 『아이들은 놀라워라』. 책 속에 담긴 아이들의 하늘 같은 눈망울과 강인한 삶을 마주하며, 내 안에 있었으나 잠시 잃어버린 소년소녀를 다시 만나게 되기를.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 9

작품
길 떠나는 소년·18
감자를 굽는 아이들·22
멋쟁이 어린 농부·24
벼 타작하는 날·26
저 산 너머엔·28
헤브론 광야의 소년들·32
동생을 등에 업고·34
씨앗을 지키는 아이·36
브란따 항구의 어부 가족·38
목욕하는 형제·40
양동이 지게를 지고·44
로띠를 굽는 시간·46
탐빈나무 숲에서·48
노래하며 가는 아이들·50
물소 수레를 처음 탄 날·54
누나가 지켜줄게·56
우정이 자라는 난민촌 학교·58
간절한 눈빛으로·62
조각배에 꿈을 싣고·64
수몰된 고대 도시 하산케이프의 동굴집·66
파괴된 이스라엘 탱크 위에서·70
폭탄 대신 꽃을·74
전사의 딸·76
페샤와르 시장의 신발 수선공·78
흙벽돌 찍는 아이들·80
노을 지는 사막에서·82
봄을 기다리며·86
어린 양을 안고·88
영원하라, 체 게바라·90
파슈툰 소녀들·92
파슈툰 소년들·94
달려라 아이들아·96
대추야자를 운반하며·100
바라만 봐도 좋은 친구·102
불가촉천민 소년의 기도·104
둥글게 동네 한 바퀴·106
아이들은 놀라워라·108

약력·113
저서·11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