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섬진강과 서지리산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제안)
섬진강과 서지리산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제안)
저자 : 김은미|정갑용
출판사 : 아모르문디
출판년 : 2020
ISBN : 9788992448925

책소개

섬진강과 지리산을 사랑하는 두 여행자가 제안하는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해외여행객 수가 매년 기록을 경신한다는 소식은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2018년 우리나라의 출국자 수는 2,870만 명을 기록해 2010년 이후 9년 연속 증가하였다. 전 세계 관광객 수도 연간 14억 명을 돌파하여 지구촌 인구 열 명 중 두 명은 외국여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엔 세계관광기구, 2018년 통계) 2019년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도 사상 처음 1,740만 명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폭발적인 해외여행 증가에 비하면 국내여행 현황은 저조한 실정이다. 다년간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경험이 있는 저자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의 특별한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이 지역을 여러 차례 답사한 끝에 우리나라 지역관광에 대한 평소의 생각과 고민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펴냈다. 저자들은 단순히 휴가철 여행지 물가가 비싸서 해외로 떠나는 것인지, 해외여행으로 높아진 국민의 눈높이를 국내 관광지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인지, 외국 관광객이 서울 등 대도시에만 편중되고 쇼핑이 주된 목적이 되는 것은 문제가 없는지 질문을 던지며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최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여러 방면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폭넓은 여행 경험과 애정 어린 관심으로 오랫동안 지역관광에 대해 고민해온 두 저자들의 참신한 제안은 정책 당국자들도 한번쯤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섬진강과 지리산을 사랑하는 두 여행자가 제안하는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해외여행객 수가 매년 기록을 경신한다는 소식은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2018년 우리나라의 출국자 수는 2,870만 명을 기록해 2010년 이후 9년 연속 증가하였다. 전 세계 관광객 수도 연간 14억 명을 돌파하여 지구촌 인구 열 명 중 두 명은 외국여행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엔 세계관광기구, 2018년 통계) 2019년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도 사상 처음 1,740만 명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폭발적인 해외여행 증가에 비하면 국내여행 현황은 저조한 실정이다. 다년간 세계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경험이 있는 저자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의 특별한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이 지역을 여러 차례 답사한 끝에 우리나라 지역관광에 대한 평소의 생각과 고민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펴냈다. 저자들은 단순히 휴가철 여행지 물가가 비싸서 해외로 떠나는 것인지, 해외여행으로 높아진 국민의 눈높이를 국내 관광지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인지, 외국 관광객이 서울 등 대도시에만 편중되고 쇼핑이 주된 목적이 되는 것은 문제가 없는지 질문을 던지며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최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여러 방면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폭넓은 여행 경험과 애정 어린 관심으로 오랫동안 지역관광에 대해 고민해온 두 저자들의 참신한 제안은 정책 당국자들도 한번쯤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1부 섬진강과 서지리산 여행



1장 지리산의 보물, 곳곳에 깃든 사찰

1. 지리산 자락의 사찰들 _ 15

사성암에서 내려다보는 절경 ? 불교 건축의 진수, 화엄사 ?

역사의 아픔이 서린 연곡사 ? 산책길이 아름다운 쌍계사 ?

호숫가의 그림 같은 천은사

2. 지리산 사찰기행을 위한 제안 _ 26

사찰에서 배우는 역사와 문화 ? 방문객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재 소개 ?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배려 ? 도슨트 투어 활성화 ?

사찰을 제대로 즐길 수 있게 하자



2장 지리산과 섬진강 하이킹

1. 걷기 여행의 즐거움 _ 35

해외여행을 떠난 이유 ? 여행에 깊이를 더하는 걷기

2. 스위스 하이킹 코스 _ 42

주제별로 구성된 코스 ? 작은 가게와 마을을 품은 길 ?

상세하고 친절한 이정표 ?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종합적인 정보

3. 섬진강과 지리산 하이킹 _ 49

주제별 코스를 개발하자 ? 곡성 침실습지 하이킹 ?

구만제 하이킹 ? 한국 건축 문화 탐방길 ?

부담 없는 코스를 개발하자 ? 쉬어 갈 수 있는 작은 가게 ?

자세한 이정표와 통합적인 관리



3장 섬진강 유람선 여행

1. 섬진강엔 왜 배가 다니지 않을까? _ 63

옛 기록과 기억 속의 섬진강 ? 뱃길이 복원된 섬진강을 꿈꾸며

2. 외국의 유람선 관광 _ 69

도심 운하에 최적화된 암스테르담 유람선 ? 미국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의 습지 탐험선 ? 대중교통을 겸하는 제네바의 유람선

? 해설사가 함께하는 순천만 생태체험선

3. 섬진강에 유람선을 띄우자 _ 76

구간별로 나누어 운항하기 ? 자연 조건에 맞는 선박 건조 ?

대중교통을 겸하는 유람선



4장 평일에도 북적이는 구례 5일장

1. 구례 5일장 가는 길 _ 83

5일장의 맥을 잇는 시장 ? 관광객이 찾는 전통시장

2. 관광객이 찾는 세계의 시장 _ 86

프랑스 페르네 볼테르 시의 주말 마켓 ? 토론토의 파머스 마켓과

세인트 로렌스 마켓 ? 워싱턴DC 유니온 마켓

3. 구례 5일장 활성화 방안 _ 92

브랜드 고급화와 특화된 상설장 운영 ? 쾌적한 쉼터 제공 ?

대표적인 기념품 개발



5장 화개장터의 옛 명성 찾기

1. 화개장터 가는 길 _ 97

화개장터에서 기대하는 것 ? 지척에 흐르는 아름다운 섬진강

2-1. 강을 관광 상품으로 활용한 사례 _ 101

스위스 베른 시의 아레 강변 ? 오스트리아 무어 강의 인공섬

2-2. 세계 유명 관광지의 거리 음식 _ 104

벨기에의 감자튀김 ? 일본 가고시마의 거리 먹거리

3. 화개장터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_ 107

아름다운 섬진강을 활용하기 ?

특색 있는 먹거리와 관광 상품 개발 ? 편의성을 높인 거리 음식



6장 대중교통으로 떠나는 섬진강 여행

1. 드라이브 vs 대중교통 _ 112

섬진강 따라 달리는 즐거움 ? 대중교통을 이용한 섬진강 여행

2-1. 스위스의 열차 시스템과 관광 인프라 _ 118

스위스 융프라우 산악열차 ? 유기적인 환승 시스템 ?

관광에 최적화된 객실

2-2. 그랜드 캐니언과 자이언 캐니언 순환버스 _ 124

국립공원 내 이동을 책임지는 순환버스 ? 알기 쉬운 노선 및 배차 시간 안내

3. 대중교통 친화적인 섬진강 여행 _ 128

강 따라 달리는 섬진강 열차 ? 곡성 증기기차 활용 ? 곡성, 구례, 하동을 지나는 노선 개발 ? 관광지와 연결되는 정차역 ? 테마 열차 운행 ? 섬진강 열차와 연계되는 순환버스 운행 ? 지리산 온천마을과 연결하기



7장 지리산 온천마을의 미래

1. 온천 여행의 매력 _ 140

지리산 온천단지의 추억 ? 그 많던 관광객은 어디로 갔을까

2. 일본의 온천마을: 유후인과 하코네 _ 146

볼거리 가득한 거리 ? 유후인 주민들의 노력 ? 대중교통으로 연결된 하코네 ? 광역교통망과 하코네의 발전 ? 수준 높은 숙박시설

3. 지리산 온천마을의 가능성 _ 157

걷는 재미가 있는 거리 ? 숙박시설 사계절 활용을 위한 관광지 연계 ? 기초 온천시설 확충



8장 다시 방문하고 싶은 지역 축제

1. 섬진강과 서지리산의 축제들 _ 165

지역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

2. 축제를 망치는 교통 체증 _ 167

축제 기간의 다양화 ? 질서 있는 갓길 주차 ?

광역 교체체계를 고려한 거점 주차시설

3. 획일적인 축제에서 벗어나자 _ 174

주제를 극대화하는 프로그램 ?

통일성 있는 디자인과 체계적인 시설관리 ?

행사 없는 축제의 장점



2부 관광산업의 선진화 방안



9장 지역 특산품과 기념품 개발

1. 여행과 기념품 _ 184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기념품 ?

섬진강과 지리산에서 찾지 못한 것

2. 일본의 다채로운 여행 기념품 _ 189

한 마을 한 상품 개발 운동 ? 지역 특별판 개발

오이타 메이드의 실험 ? 고베비프의 철저한 품질 관리

3.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 기념품 만들기 _ 197

기업과의 협력 ? 경쟁력 있는 지역 상품 지원 ?

지역 예술인과의 협력 ? 통합 브랜드 도입



10장 여행의 즐거움을 더하는 음식들

1. 금강산도 식후경, 무엇을 먹고 마실까? _ 204

2. 미국과 에티오피아의 음식문화 관광 _ 209

시골 여행의 묘미: 지역 음식 맛보기 ? 대서양 연안 어촌 마을의 해산물 요리 ? 에티오피아의 커피 문화

3. 음식 마케팅으로 승부하자 _ 214

휴식에 어울리는 식당과 카페 ? 식당 위생 관리의 강화 ?

온라인 마케팅의 가능성 ? 특산품 체험 ?

특산품을 활용한 메뉴 개발



11장 섬진강과 서지리산의 브랜딩 전략

1. 섬진강과 서지리산 하면 떠오르는 것 _ 222

2. 외국의 성공적인 브랜딩 사례 _ 226

뉴욕시의 도시 브랜드 ‘I Love New York’ ? 일본의 ‘북알프스’ 도야마시의 지역 브랜딩 ? 프랑스의 프로방스 지역

3. 섬진강과 서지리산의 지역 브랜딩 _ 231

통합된 브랜딩의 필요성 ? 일관된 마케팅 전략 ?

브랜딩 전략에 맞는 홍보



12장 공공디자인과 지역 이미지

1. 도시 이미지와 공공디자인 _ 236

2. 외국의 공공디자인 _ 242

원색을 사용한 스위스의 공공디자인 ?

디지털 안내판으로 앞서가는 프랑스

3. 공공디자인 개선을 위한 제안 _ 245

표지판과 공공시설의 디자인 통일 ? 통일성 없는 간판 정리 ?

지저분한 건물과 공공시설물 정비



13장 보존과 개발 사이에서

1. 아름다운 자연이 주는 선물 _ 248

2. 관광 선진국의 자연 보존 _ 253

보존의 기본 ? 세심한 법률과 계획 ?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위한 노력 ? 적극적인 시민 참여

3.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위한 제안 _ 263

통합적인 관리 체계 수립 ? 친환경적인 관광 인프라 구축 ?

주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노력



에필로그: 미래로 떠나는 여행 _ 269

참고문헌 _ 272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