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우리도 시골생활은 처음입니다
우리도 시골생활은 처음입니다
저자 : 바바 미오리
출판사 : 끌레마
출판년 : 2017
ISBN : 9788994081748

책소개

도시인들에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삶을 제시한 책 《우리도 시골생활은 처음입니다》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2015년에 출간된 《주말엔 시골생활》의 개정판으로, 맞벌이 부부이자 세 아이의 엄마이면서 현재는 시골마을 미나미보소의 자립공동체 이사장을 맡고 있는 바바 미오리의 경험담을 담고 있다. 마마 비오리는 2007년부터 남편과 세 자녀, 고양이 두 마리와 그때그때 키우는 동물들을 데리고 평일에는 도쿄에서 살고, 주말에는 지바 현 미나미보소의 마을 숲에서 지내는 ‘두 지역 살이’를 실천하고 있다.

일과 육아로 정신없이 바쁜 30대 맞벌이 부부가 10년 넘게 ‘두 지역 살이’를 하는 것이 가능한가? 이들은 왜 한창 바쁜 시기에 도시와 시골을 오가는 생활을 감행한 것일까? 아이들에게 뛰놀 수 있는 자연을 만들어주겠다는 소박한 의도에서 시골생활을 감행한 그녀는 ‘두 지역 살이’를 통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놀라운 삶을 살게 되었다고 말한다. 주말마다 정기적으로 생활 리듬을 ‘리셋’하니 몸과 마음이 균형을 찾고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 가족에게 ‘주말 시골생활’은 도시에서의 번잡한 일상을 종료하고 잃어버린 자신의 존재를 되찾는 시간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평일엔 도시에서, 주말엔 시골에서!
도시 사람들이 처음 시작하는 시골살이 이야기
도쿄토박이 맞벌이 부부가 세 아이와 함께
도시와 시골을 오가며 생활한 8년의 기록

“번잡한 도시에서의 삶을 끝내고 언젠가는 시골에서 한가롭게 살고 싶다.”
“아이들에게 자연 속에서 마음껏 뛰노는 시간을 갖게 해주고 싶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꿈을 꾸지만 실행에 옮기기에는 현실의 벽이 너무 높다. 현재 하고 있는 일을 그만 두지 않으면 안 되고, 새로운 지역에 정착해서 자급자족하며 살 자신도 없다.
이런 도시인들에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삶을 제시한 책 《우리도 시골생활은 처음입니다》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2015년에 출간된 《주말엔 시골생활》의 개정판으로, 맞벌이 부부이자 세 아이의 엄마이면서 현재는 시골마을 미나미보소의 자립공동체 이사장을 맡고 있는 바바 미오리의 경험담을 담고 있다.
마마 비오리는 2007년부터 남편과 세 자녀, 고양이 두 마리와 그때그때 키우는 동물들을 데리고 평일에는 도쿄에서 살고, 주말에는 지바 현 미나미보소의 마을 숲에서 지내는 ‘두 지역 살이’를 실천하고 있다. 일과 육아로 정신없이 바쁜 30대 맞벌이 부부가 10년 넘게 ‘두 지역 살이’를 하는 것이 가능한가? 이들은 왜 한창 바쁜 시기에 도시와 시골을 오가는 생활을 감행한 것일까?
아이들에게 뛰놀 수 있는 자연을 만들어주겠다는 소박한 의도에서 시골생활을 감행한 그녀는 ‘두 지역 살이’를 통해 이전과는 전혀 다른 놀라운 삶을 살게 되었다고 말한다. 주말마다 정기적으로 생활 리듬을 ‘리셋’하니 몸과 마음이 균형을 찾고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 가족에게 ‘주말 시골생활’은 도시에서의 번잡한 일상을 종료하고 잃어버린 자신의 존재를 되찾는 시간이다.

웃옷을 걸치고 쨍하게 시린 바깥으로 나오면 풋풋하고 달콤한 냄새를 짙게 품은 안개가 몸을 휘감는다. 응축된 생명의 냄새와 피어오르는 흙의 축축한 기운. 밭 한가운데 서서 가슴 가득 숨을 들이쉬면, 아…… 되살아난다! 바로 이거야, 이 순간을 위해 이번 주도 버텨온 거다.―20쪽

일주일 만에 시골집에 돌아와 다다미방에 풀썩 엎드려 밭일하기, 들풀 뜯기, 풀베기, 집 주변을 어슬렁어슬렁 걷기 등 일정표에 써놓지 않은 일들을 멍하니 떠올리면서 살아 있는 존재로서의 나를 서서히 되찾는다. ―36~37쪽

무척 아날로그적이지만, 대단히 미래적인 생활이다!
일주일에 한 번, 일상의 번잡한 마음이 사라지는
황홀한 순간이 찾아온다!

이 책에는 평범한 도시 가족이 ‘주말 시골생활’을 결심한 뒤 적당한 장소를 찾아 헤매고, 시골집을 마련하고, 지역주민들과 관계를 맺고, 텃밭을 가꾸고, 도시와 시골을 오가면서 생활해온 8년간의 체험이 고스란히 적혀 있다.
저자는 이러한 생활을 ‘두 지역 살이’라고 하며, ‘두 지역 살이’란 ‘일상을 엮어가는 장소를 늘려나가는 것’이라고 말한다. 여행이나 별장 생활처럼 일상과 단절된 일시적인 경험이 아니라, 또 하나의 삶의 터전을 만드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도시에서만 살 때보다 시골을 오가며 생활한 이후 가족의 삶이 훨씬 더 풍요로워졌다고 말한다. 평일과 주말, 도시와 시골, 정주와 이동이라는 서로 상반된 요소가 생활에 적당한 리듬감을 주어 몸과 마음의 균형을 찾게 되었고, 좋아하는 각각의 장소에서 다양한 피드백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아예 시골에 정착할 생각은 없다고 말한다. 직장과 아이들의 교육 등 현실적인 이유도 있지만, 도시에서만 얻을 수 있는 적당한 긴장과 이완 역시 소중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오히려 삶의 터전을 더 많이 늘리고 싶은 바람을 갖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연과 가까이 하고자 귀촌이나 전원생활을 꿈꾼다. 하지만 도시생활의 편리함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시골에서 생활하려면 포기해야 할 것도 많다.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혀 시도조차 못하거나 귀촌을 감행했다가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이런 사람들에게 ‘두 지역 살이’가 새로운 대안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프리랜서나 독신처럼 비교적 쉽게 거처를 옮길 수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주 5일 동안 일하면서 세 명의 아이를 키우는 평범한 가족도 ‘두 지역 살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책이 잘 보여준다.
미나미보소에는 몇 년 전부터는 이들 가족 외에 함께 생활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도시에 사는 사람도 풍요로운 자연에서 아이를 키우고 생활할 수 있다는 의식을 공유하면서 미나미보소로 옮겨오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들과 NPO 법인을 세우고 자연을 체험하는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머지않아 우리나라에서도 ‘두 지역 살이’를 실천하는 가족들이 늘어나리라고 예측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부 시골을 갖고 싶다
일상에 시골생활을 끼워 넣다
시작하기와 계속하기
늦게나마 자연에 데뷔하다
뛰놀 만한 ‘바깥’은 어디에 있나
시골에 집을 갖는다는 현실

2부 이상의 땅을 찾아서
인터넷으로 땅을 찾아 나서다
부동산 순례의 나날
아쿠아라인을 건너기로 결의하다
보소반도 토지 답사

3장 운명의 땅과의 만남
운명의 땅
어마어마한 8,700평의 땅
오래된 농가에 머무는 매력
농지 취득은 무모한가
협력자와의 신뢰관계
매도인을 만나야 비로소 알게 되는 것들

4장 주말에는 시골생활
낡고 오래된 공기를 덮어버리는 ‘꼬마 요물들’
집에 손대지 않고 그대로 살기
우리 집은 ‘웃덕’
시골집은 풀이 무성

5장 미나미보소와 도쿄의 왕복 생활
주말의 대이동
생명을 먹다
개구리의 조율
직접 재배한 채소를 먹다
여러 생명들과 두 지역 살이
전차 안에서 홀로 멧돼지를 걱정하다
태어난 고향은 공기 같은 것

6장 방황하고, 변하고, 확인하며
지바뿐이라니 시시해!
들판 작업복과 감자칩
인간의 뇌가 만든 세계에서 벗어나기

7장 마을 숲 생활을 안으로부터 발신하다
어웨이에서 홈으로
개인의 체험을 활동으로 바꾸어가다 -마을 숲 학교
개인의 체험을 활동으로 바꾸어가다 -센조쿠 카페
개인의 체험을 활동으로 바꾸어가다 -미요시 공방

8장 두 지역에 산다는 것
제1의 고향, 제2의 고향
긴장과 이완
보통 사람이 보통으로 시작하는 주말 시골생활
출발하기 전에

칼럼 | 두 지역 살이에 관한 생생 정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