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미래의 진보
미래의 진보
저자 : 유시민|이정희|이정무
출판사 : <strong>민중의소리
출판년 : 2011
ISBN : 9788995375778

책소개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와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의 대담집. 서로 다른 정파에 속한 대표적 정치인들이 장시간 동안 진지하게 가진 대화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연대의 길을 모색한 기록이다. 이 대담은 2010년 12월부터 최근까지, 이미 공개된 경우를 포함하여 3차례의 장시간 대담과 6차례 이상의 개별 인터뷰 및 이메일 인터뷰를 재구성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 책이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합당선언문'이 될 것이라 보도했다. 그러나 이 책은 이런 당장의 정치적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자타가 공인하는 자유주의자 유시민과 진보정당의 종가를 책임지고 있는 이정희는 이 대담에서 각자의 이념과 정책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대담의 대부분이 '논쟁'적 성격을 띠는 것은 이 때문이다.



'나는 왜 정치를 하는가'로 시작한 대담은 한미 FTA에 대한 입장과 재벌-대기업 정책, 복지정책, 외교안보정책 등 우리 정치의 주요 의제로 이어진다. 또 '전태일과 노무현은 만날 수 있을까'라는 제목 아래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한다. 또 두 사람은 2012년의 야권연대와 정권교체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짐작 가능한 것처럼 두 사람의 입장은 대부분의 의제에서 다르다. 이정희가 진보적 원칙들을 완강하게 견지했다면, 유시민은 현실과 원칙 사이의 방황을 꺼리지 않았다. 복지 정책들에서 이정희는 종종 '근본주의'적 입장을 취했지만 유시민은 시장을 의식했고, 대외 정책에서도 비슷했다. 이러한 차이들은 참여정부 시절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평가에서도 여전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정희, 유시민의 조용하지만 치열한 논쟁”

1. 는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와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의 대담집 ‘미래의진보’를 오는 6월 15일 발간합니다. 아직 책이 서점에 배포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9일 아침 일부 언론이 출판 사실을 보도함에 따라 아래와 같이 관련된 사실을 확인해 드립니다.

2. ‘미래의진보’는 서로 다른 정파에 속한 대표적 정치인들이 장시간 동안 진지하게 가진 대화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연대의 길을 모색한 기록입니다. 지금까지 학자들의 대담이 책으로 출판된 경우는 있었지만, 정치 현실에 대해 책임을 갖고 있는 정치인들이 그것도 논쟁적 방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풀어낸 경우는 없었습니다.

3. 이 대담은 2010년 12월부터 최근까지, 이미 공개된 경우를 포함하여 3차례의 장시간 대담과 6차례 이상의 개별 인터뷰 및 이메일 인터뷰를 재구성한 결과물입니다. ‘미래의진보’는 아래와 같은 7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 (프롤로그) 나는 왜 정치를 하나
2부 : (차이를 넘어) 우리가 한미FTA를 반대하는 이유
3부 : (국가와 시장) 삼성 왕국을 벗어나려면
4부 : (복지) 국가는 민중의 삶을 어디까지 책임질 수 있나
5부 : (동북아) 북한과 미국을 만나는 진보의 자세
6부 : (진보통합) 전태일과 노무현은 만날 수 있을까
7부 : (2012년) 끝나지 않은 6월과 2012년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합당선언문?

일부 언론에서는 이 책이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합당선언문’이 될 것이라 보도했다. 그러나 이 책은 이런 ‘당장의 정치적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자타가 공인하는 자유주의자 유시민과 진보정당의 종가를 책임지고 있는 이정희는 이 대담에서 각자의 이념과 정책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대담의 대부분이 ‘논쟁’적 성격을 띠는 것은 이 때문이다.
‘나는 왜 정치를 하는가’로 시작한 대담은 한미 FTA에 대한 입장과 재벌-대기업 정책, 복지정책, 외교안보정책 등 우리 정치의 주요 의제로 이어진다. 또 ‘전태일과 노무현은 만날 수 있을까’라는 제목 아래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한다. 또 두 사람은 2012년의 야권연대와 정권교체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짐작 가능한 것처럼 두 사람의 입장은 대부분의 의제에서 다르다. 이정희가 진보적 원칙들을 완강하게 견지했다면, 유시민은 현실과 원칙 사이의 방황을 꺼리지 않았다. 복지 정책들에서 이정희는 종종 ‘근본주의’적 입장을 취했지만 유시민은 시장을 의식했고, 대외 정책에서도 비슷했다. 이러한 차이들은 참여정부 시절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평가에서도 여전했는데, 다만 유시민이 한미 FTA나 이라크 파병, 비정규직 문제 등에서 밝힌 입장은 그와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특수한 관계를 고려한 위에서 읽혀져야 마땅할 것이다.

성찰하는 유시민, 열린 이정희

일반 독자들과 달리 정치부 기자라면 여전히 두 당의 ‘합당’ 문제에 관심이 쏠릴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책에는 합당과 관련한 명시적 언급은 없다. 다만 유시민은 진보진영과 개혁진영의 갈림길이 되었던 1987년 6월 항쟁 직후의 상황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1987년에 김대중 대통령께서 성수대교 밑에서 유세를 하시면서 저희들에게 ‘재야 여러분 평민당으로 들어오십시오. 영국 노동당이 자유당 속에서 기초를 닦아서 오늘의 노동당이 된 것처럼 여러분들도 이 당에 들어와서 실력을 닦고 경험을 쌓고 인재를 양성해서 여러분의 당을 만드십시오.’ 그렇게 권하셨거든요. 그 말 믿고 들어갔잖아요. 들어가서 25년 동안 수십 명의 국회의원이 배출되었지만 영국 노동당 같은 그런 정당은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더 이상 안하겠다는 겁니다.”

성공하는 진보 세력을 만들기 위해 김대중이 이끄는 야당에 들어간 경험에 대해 비판적 입장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유시민은 “이제는 원래의 마음으로 돌아가서, 원래 우리가 하고 싶던 것을 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이정희 역시 확정적인 언급을 피한다. 이정희는 ‘내가 편협해 지고 있지는 않을까’ 돌아볼 것을 다짐한다. 또 “큰 틀에서 생각해보면 ‘노무현 대통령이 다 털고 가셨다’”고 말한다. 그래서 아래의 언급은 의미심장하다.

“저는 과거를 묻지 않습니다. 다만 미래를 묻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합의된 생각을 가진다면, 또는 미래를 함께 만들어나가자면 현재에 대한 판단과 행동이 함께 이루어지기를 원하지요. 국민참여당은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이미 공식적으로 제안하셨고, 또 문서로 통보를 해왔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국민참여당이 진보정당이냐, 혹은 아니냐를 규정할 상황이 아니라 함께 대화하면서 함께 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나 있는지를 판단해가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진지한 정치를 원한다면 일독을 권한다

정치는 매우 논쟁적인 직업이다. 많은 사람들은 정치인이 거짓말쟁이이거나, 욕심이 많거나, 하는 일 없이 놀고 있거나, 싸움을 즐긴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치는 다른 사람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따라서 정치를 혐오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정치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없다. 만약 정치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면, 우리는 정치와 정치인에 대해 진지하게 들여다보아야 한다. 두 사람의 대담은 독자들의 진지한 시선을 환영하며, 독자들과 같은 눈높이에서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는다.

“참여정부가 끝날 무렵에 생각해봤습니다. 자연에는 진공이 없다고 하죠? 권력도 진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국가(권력)는 필연적으로 있기 마련인데, 누군가는 이걸로 선이나 악을 행할 수 있습니다. 정당한 권력이 없으면 국가가 나쁜 짓을 하게 됩니다. 글을 쓰거나 강연을 하거나 결국 국가의 작동방식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 안 되더라고요, 누군가가 정치를 해야 한다는 결론이었습니다. 이런 생각에 도달하니까 저 같은 사람이 그냥 책만 쓰거나 강의 다니면서 사는 게 비겁해 보였습니다.” (유시민)

“제게 정치란 ‘고통에 대한 책임감’이라고 할까요? 사람들에게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을 하지 않고, 혹은 국가가 그들을 억눌렀을 때, 그들의 표정, 그 얼굴들이 가슴속에 박혀 잊혀지지가 않아요. 국가는 할 수 있는데, 바꿀 수 있는데, 왜 안할까? 내가 하나라도 할 수 있다면 하는 게 맞지 않나? 정치에서 매력적인 요소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는데, 아직까지 저에게는 고통에 대한 책임감이 더 큰 것 같아요.” (이정희)

두 사람의 대화가 끝없는 논쟁으로만 이어진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삼성과 재벌을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두 사람은 쉽게 합의에 이른다. 참여정부의 비정규 해법에 대해 유시민은 반성을, 이정희는 대안을 내놓는다. 두 사람은 확실히 ‘대체재’라기보다는 ‘보완재’라는 게 편집자이자 대담을 진행한 이정무 민중의소리 편집장의 평가다.


딱 잘라서 말하기 어렵습니다. 한다, 안한다 말하는 것은 좋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전쟁이고, 파병하는 것이 옳지 않은 일이라 해도 보낼 수 있는 상황이 있고, 반대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낸다, 안 보낸다를 미리 얘기하는 것은 정치하는 사람으로써는 현명한 것이 아닐 겁니다. (유시민, p157. ‘2003년과 같은 상황이 재연된다면 파병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고민스러운 일이 안 생기도록 해야지요.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현명해지려면 상황을 바꿀 수 있는 길을 알아야지요. 권력을 가진 사람이 못 하고 있어서 답답한 게 아니라 결국 그 환경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저의 능력은 작아도 민주진영, 개혁진보진영이 집권한다면 우리 모두가 같이 힘을 모을 수 있는 방법이 생길 거라 봐요. (이정희, p157. ‘2003년과 같은 상황이 재연된다면 파병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민주노동당에 국한해서 말씀드리면 우리는 아직 실제로 현실을 바꿔 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래서 민주노동당이 필요한건 알지만, 소금이라는 건 알지만, 잘 안 찍어주시는 것 같아요. 근데 저는 소금이라는 말 잘 안 써요. 소금은 많이 먹으면 짜잖아요.(웃음) 소금이 아니라 주류, 실제를 차지해야 세상을 바꿀 수 있는데, 그러려면 민주노동당이 하나의 주체로서 판을 흔들 수 있다는 걸 보여드려야 합니다. (이정희, p187)

진보통합은 전략이나 정치 공학보다는, 함께 같은 공동체에 귀속되어서 그 속에서 무언가 이루고자 하는 지향이 더 근본적이라고 봐요. 쉽게 이야기하면 전태일 정신하고 노무현 정신하고 그렇게 먼가? 그게 그렇게 멀지 않거든요. (유시민, p203)

(박근혜씨가) 대통령이 된다면 대한민국은 헤어나기 어려운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파국을 맞게 될 것입니다. 박근혜 씨는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 밑에서 고관대작을 지낸 사람들의 연고 집단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그들 중에는 수구적 정치인도 있고 진보적 학자도 있지만 그 모두를 이어주는 끈은 박정희 대통령과의 직간접적 연고인 것으로 듣고 있습니다. (유시민, p229)

연립정부를 논하기에는 아직 많이 이릅니다. 총선이 끝나고 진보정당이, 기성이든 어쨌든, 얼마나 힘을 받느냐에 따라 연립정부로 갈 건지 아닌지를 판단해 보아야 합니다. 잘 될 수 있는 희망이 있다면 들어가 힘을 만들어야겠고, 그게 아니라 애매한 위치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면 밖에서 비판을 세게 하는 게 나을 것입니다. 이건 다 총선 이후에 논의해야지요. (이정희, p23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14 이정희의 말

028 유시민의 말



040 나는 왜 정치를 하는가



045 고통에 대한 책임감

049 나는 리버럴이다

054 나는 조금 더 외로워도 괜찮아

057 선한 의지가 선한 결과를 낳으려면



64 우리가 한미 FTA를 반대하는 이유



070 한미 FTA망국론?

072 유시민이 한미 FTA를 반대하는 이유

077 노무현의 사명감과 자신감

080 ‘어떤 FTA냐’가 중요하다

084 통상독재가 반복된다면 촛불시위는 피할 수 없다

089 2008년 세계경제위기를 보는 시각



094 삼성 왕국을 벗어나려면



099 퇴근하는 노동자들이 눈을 맞추지 못하는 이유

103 헌법 119조 2항과 헌법재판소의 충돌

106 정치적 자유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의 함수

111 진보적 재벌정책은 ‘최소한’의 재벌정책



118 국가는 민중의 삶을 어디까지 책임질 수 있나



123 ‘무상의료’는 다른 복지정책과 결이 다르다

128 어떤 물건 값을 갑자기 반을 깎자고 한다면

130 다른 관점, 같은 대책

136 선 조세정의, 후 증세

138 진보적 정치인은 아이에게 사교육을 시킬까?

141 참여정부 노정관계에 대한 성찰



148 북한과 미국을 만나는 진보의 자세



152 파병은 옳지 않았다. 하지만

155 정의를 위한 폭력은 허용될 수 없다

161 남북관계는 이명박 정권의 뼈아픈 실패

165 그럼 진보 안 해도 좋다

171 실용적이거나 혹은 근본적이거나



176 전태일과 노무현은 만날 수 있을까



181 민주주의는 화이부동이라지만

185 정책을 넘어서서 현실을 흔들고 싶다

190 민주노동당은 허풍을 잘 안합니다

193 망국의 유민들이 만든 자치국

196 국민참여당은 새로운 진보정당

200 붉은 머리띠를 손목에 매는 이유

204 자유주의 개혁 정당에 투신한 결과는 초라했다

206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말은 이제 없다



212 끝나지 않은 6월과 2012년



218 야권연대의 열쇠는 무엇인가

223 소선거구제라는 제약

228 박근혜는 대통령에 적합한 인물이 아니다

231 연립정부를 거론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236 1987년과 1997년을 동시에 넘어



240 편집자의 말 연합정치 시대의 두 ‘아이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