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사례관리론(양장본 HardCover) (개념, 기술, 실천역량 이해)
사례관리론(양장본 HardCover) (개념, 기술, 실천역량 이해)
저자 : 한국사례관리학회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99721656

책소개

『사례관리론』은 〈사례관리의 이해〉, 〈사례관리의 발달〉, 〈사례관리의 이론〉 등 사례관리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1부 사례관리 개요

제1장 사례관리의 이해
1. 사례관리의 정의
2. 사례관리의 최근 동향
3. 사례관리의 목적과 기능
4. 사례관리의 가치와 윤리
5. 한국 사례관리에 대한 성찰

제2장 사례관리의 발달
1. 외국의 사례관리 발달과 전망
2. 한국의 사례관리 발달과 전망

제3장 사례관리의 이론
1. 생태체계 이론
2. 임파워먼트 이론
3. 구성주의 이론
4. 강점관점
5. 네트워크 이론

제4장 사례관리의 모델
1.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기준으로 한 모델: Early와 Poertner의 모델
2. 서비스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모델
3. 서비스 전달 기반에 따른 사례관리 모델
4. 아이오와 사례관리 모델(ICM 모델)
5. 사례관리 모델의 한국 사례관리 현장에 대한 시사점

제5장 사례관리 구성체계
1. 클라이언트
2. 사례관리자
3. 자원
4. 운영체계
5. 사례관리 과정

제6장 한국의 주요 사례관리 실천현장 이해
1. 읍면동 및 시군구 통합사례관리
2.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
3. 정신건강복지센터 사례관리

제2부 사례관리 실천과정과 기록

제7장 초기 단계
1. 사례 발굴 및 접수
2. 초기 상담
3. 클라이언트 선정
4. 동의 및 계약
5. 초기 단계의 기록

제8장 사정 단계: 욕구, 자원, 장애물 사정
1. 욕구사정
2. 자원 및 강점사정
3. 장애물 사정
4. 종합적 사정
5. 사정 단계의 기록

제9장 목표 및 계획수립 단계
1. 목표 설정
2. 개입/실행계획 수립
3. 계획수립 단계의 기록

제10장 실행 및 점검 단계: 직간접 실천
1. 직접실천
2. 간접실천
3. 실행 및 점검 단계의 기록

제11장 종결 단계
1. 평가
2. 종결
3. 사후관리
4. 종결 단계의 기록

제3부 사례관리실천의 핵심 역량

제12장 사례관리 기능과 사례관리자 역할
1. 사회복지실천과 사례관리 기능의 변화
2.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영역과 주요 기능
3. 사례관리 기능의 다양성
4. 사례관리 기능과 사례관리자의 역할

제13장 의사소통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의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의사소통 역량
3. 의사소통 역량의 사례관리 실천현장 활용
4. 의사소통 역량 관련 쟁점

제14장 사정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사정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사정 역량
3. 사정 역량의 사례관리 실천현장 활용
4. 사정 역량 관련 쟁점

제15장 관계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관계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관계 역량: 사례관리 실천과정별 과업을 중심으로
3. 다양한 체계들과의 관계 역량
4. 관계 역량 관련 쟁점

제16장 자원개발과 관리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자원개발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자원개발 역량
3. 자원개발 역량의 사례관리 실천현장 적용 사례
4. 자원개발 역량 관련 쟁점

제17장 옹호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옹호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옹호 역량: 사례관리 실천과정별 과업을 중심으로
3. 사회구조와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옹호

제18장 문화적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문화적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문화적 역량
3. 문화적 역량의 사례관리 실천현장에의 활용
4. 사례관리 실천현장의 문화적 역량 관련 쟁점

제19장 평가 역량
1. 사례관리실천에서 평가 역량의 의미와 필요성
2. 사례관리자의 평가 역량과 주요 과업
3. 평가 역량의 내용과 활용
4. 평가 역량과 관련된 쟁점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