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화원형으로 본 애니메이션
문화원형으로 본 애니메이션
저자 : 임용섭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18
ISBN : 9791128810664

책소개

한국 애니메이션이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화원형의 특성을 살리고, 그다음 문화원형 소재와 결합해 생산되는 코드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코드가 한국 애니메이션 정체성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이러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완성된 애니메이션은 원전 또는 그 안에 녹아 있는 매체가 이미 애니메이션으로 매체 변환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원 매체의 속성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 까다롭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체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변환 이전의 매체 간 결합 관계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이 책은 문화원형이 한국 애니메이션에 수용되고 적용되는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작품을 살핌으로써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 애니메이션이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화원형의 특성을 살리고, 그다음 문화원형 소재와 결합해 생산되는 코드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코드가 한국 애니메이션 정체성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이러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완성된 애니메이션은 원전 또는 그 안에 녹아 있는 매체가 이미 애니메이션으로 매체 변환된 결과물이기 때문에 원 매체의 속성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 까다롭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체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변환 이전의 매체 간 결합 관계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이 책은 문화원형이 한국 애니메이션에 수용되고 적용되는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작품을 살핌으로써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 목록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문화원형으로 본 애니메이션 / 임용섭

비디오게임의 역사 / 김용관, 이광현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에세이만화 / 조윤숙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판타지 복합장르 애니메이션의 구조 / 이혜원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할리우드 장편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구조 / 박재우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곽백수 / 채희상

김동화 / 김성훈

김성환 / 방희경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신문수 / 장은진

양영순 / 이기진

윤승운 / 서찬휘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천계영 / 하효숙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애니메이션에 스며든 문화원형

01 문화원형의 개념
02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화원형
03 문화콘텐츠 시나리오 창작 유형
04 한국 애니메이션 시각적 분류
05 국외 애니메이션 시각적 분류
06 문화원형과 상호매체성
07 문화원형의 모티프를 바탕으로 한 국내 애니메이션
08 전통 문학을 기본으로 한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
09 전통 문학 원작에 충실한 국내 애니메이션
10 한국 애니메이션의 정체성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