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웹툰 2
웹툰 2
저자 : 강주영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21
ISBN : 9791128862625

책소개

웹툰은 기존 만화를 디지털로 변환해 유통하는 매체가 아니라 한국의 디지털 환경에서 탄생한 독특한 문화콘텐츠다. 이제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유통되어 새로운 문화와 산업을 이끄는 웹툰을 이해하려면 단편적인 뉴스와 논의로는 불가능하다. 역사, 시장, 참여 주체, 미학적 특징, 기술적 발전 등 웹툰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가장 빠르고 수월하게 웹툰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도록 42명의 전문가를 동원하여 만든 웹툰 입문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웹툰 생태계의 특징과 현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책!

독자, 작가, 연구자, 사업자, 콘텐츠 기획자들이 웹툰 지형을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입문서
역사, 시장, 참여 주체, 미학적 특징, 기술 발전 등 핵심 주제 망라

네이버와 카카오가 웹툰 플랫폼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며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와 웹소설 플랫폼 래디시를 인수했고 네이버도 세계 최대의 웹소설 플랫폼인 캐나다의 왓패드를 인수했다. 두 회사는 일본에서도 ‘픽코마’와 ‘라인망가’로 격돌 중이다. 한국 웹툰의 신박한 이야기들이 일본 만화시장의 핵심을 흔들고 할리우드 복판까지 진격하고 있다. 한국의 디지털 환경에서 만들어진 스마트폰 만화 문법이 전세계에서 힘을 발휘하면서 생겨난 사건이다.

리디북스를 서비스하는 리디주식회사의 2021년 하반기 웹툰 인재 공개모집 공고는 PD, 스토리 기획자, 작화팀 매니저, 선화 담당자, 콘티 담당자, 채색 담당자, 배경 담당자(배치/보정), 배경 담당자(3D모델링), 배경 원화가(콘셉트 아티스트), 편집자, 채색팀 어시스턴트, 선화팀 어시스턴트를 뽑고 있다. 웹툰 PD와 웹툰 작가 정도였던 직무가 세분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변화는 웹툰 생태계가 급격히 확장되면서 많은 투자가 진행되고, 웹툰 프로덕션이 작가 개인의 일에서 회사의 일로 확장되면서 벌어진 변화다.

웹툰은 종이 만화와 달리 스마트폰 환경에 최적화된 세로 스크롤 콘텐츠다. 지극히 한국적인 생산 환경에서 탄생해 이제는 세계가 주목받는 문화콘텐츠로 떠올랐다. 웹툰에 대해 전방위적인 해석이 필요한 이유다. 지금 웹툰 생태계의 주요 어젠다는 ① IP 확보 ② 글로벌 확장 ③ 프로덕션 체제의 도입이라고 볼 수 있다. 명확히 시장의 흐름이 보이기는 하지만 시장이 생태계의 전부는 아니다. 생태계의 핵심은 ‘연결망’이고 “생태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곧 연결망을 이해하는 것”이다. 만화를 이루고 있는 여러 연결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장, 역사, 참여 주체, 작품의 미학적 특징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이 책은 박인하 서울웹툰아카데미 이사장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글 중에서 ‘웹툰’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독자, 작가, 사업자, 연구자, 콘텐츠 기획자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선별하고 유형화했다. 개념, 현상, 사례로 연결되는 지식을 유기적으로 묶어 웹툰 전체 생태계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조망할 수 있게 한다. 42명의 연구자가 발표한 34편의 아티클로 만들었다.

이 책이 다루는 내용
● 웹툰의 태생과 미디어적 특성
● 일상툰, 로맨스, 판타지 등 장르별 서사의 특징
● 장르별 스토리텔링 방법
● 성공적인 트랜스 미디어를 위한 기획과 전략
● 새롭게 도입되는 디지털 기술
● 장르별 수용자들의 반응과 참여 형태
● 산업과 비즈니스에서 알아야 할 각종 이슈
● 웹툰의 사회, 문화, 정치적 파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2권

4 트랜스 미디어 기술
17 VR 페인팅 기술 / 권혁주  
18 매체 변환을 위한 협업 / 이승형 · 나윤빈  

5 수용자
19 남성성과 젠더 수행 / 구자준  
20 웹툰과 공론장 / 윤은주  
21 여성 혐오 서사 / 구자준  
22 탈주하는 여성 서사 / 허 윤  
23 그녀들은 왜 소년들의 사랑에 열광하는가: BL 심리학 / 김소원  
24 비판적 가족 재현 / 구자준  
25 학원물 폭력 / 김윤종 · 문안나  

6 아이피, 비즈니스
26 작가, 자유와 무료노동 / 양경욱  
27 흥행 요인 / 박문호 · 이상우  
28 퍼블리시티권 / 노현숙 
29 웹툰 속 광고효과 / 유승엽 · 김은희  
30 광고와 웹툰 / 최성호 · 허 혁 · 이종희 · 원종서  

7 글로벌
31 K웹툰과 J망가 / 윤태진 · 이효민  
32 한국, 미국, 일본의 웹툰 구독자 / 도상범 · 강주영  
8 기타
33 스마트툰 / 전경란  
34 SNS 브랜드 웹툰 / 류유희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