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보건사회복지
보건사회복지
저자 : 새라 겔러트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15
ISBN : 9791130301785

책소개

▶ 이 책은 보건사회복지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보건사회복지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역자 서문: 보건사회복지를 소개하며
--

“건강하다”는 말이 다만 신체적 건강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을 뜻한다는 “상식”은, 아직 우리사회에서 “상식”으로 충분히 자리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건강이 다만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라는 세계보건기구의 1948년 정의가 제안된 지 반세기가 훨씬 넘었지만, 여전히 의료적인 관점으로부터 신체적 측면을 바라보는 관점이 지배적이고, 최근에 들어서야 심리적인 안녕에 관심이 시작되고 있는 정도이며, 사회적 건강 상태까지 포괄적으로 건강을 바라볼 수 있는 수준에 아직은 미흡한 것이 우리사회의 현실이라고 판단됩니다. 건강이 가진 다차원적 복잡성으로 인해, 건강 문제는 어느 한 가지 접근에 의해서만 이해되고 해결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통해 이해하고 창의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2000년대 초반 당시 미국국립보건원NIH 원장이었던 엘리아스 저후니Elias Zerhouni 박사는 21세기 보건연구의 로드맵을 제시하며, 복잡성을 지닌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협력이 있어야 함을 주장하고, 보건 관련 분야의 학제간 융합을 강하게 강조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실제로 미국의 사회복지학은 건강 분야에서 수행해야 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회복지학계 내부에서도 건강분야가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입니다.
이러한 시기에 우리사회에서도 건강의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 접근하는 “보건사회복지health social work”의 중요성이 부각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 병원 세팅 중심의 의료사회복지medical social work에 더해 영역을 더욱 넓혀, 건강 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와 임상을 다루고 거시적 접근까지 포괄하는 보건사회복지의 세계적 동향이 국내에 소개될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생각할 때, 보건사회복지에 관한 정의와 개념, 역할, 윤리, 정책과 이론에서부터, 지역사회, 장애, 가족 등의 보건사회복지의 다양한 주제와, 중독, 노인의료, 종양사회복지 같은 임상현장에서의 실천기법에 이르기까지, 보건사회복지의 주요이슈를 방대하게 집대성하고 있는 이 분야 대표적인 저서인 본서를 통해, 보건사회복지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보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하게 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라 확신합니다.
이 분야를 선구적으로 개척해 오신 스승이자 멘토의 저서를 국내에 소개하게 되는 것은 개인적으로도 큰 기쁨이고 영광입니다. 본서의 대표저자인 새라 겔러트Sarah Gehlert 교수는 건강문제에 대한 학제간 융합접근의 대가이며, 보건사회복지health social work 분야의 개척자로 널리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워싱턴 대학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의 사회복지대학원과 의과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새라 겔러트 교수가 시카고 대학The University of Chicago에 재직하던 당시 가르친 건강과 복지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신념, 그리고 그녀가 책임연구자로서 이끌었던 시카고 대학 여성건강연구프로젝트Women’s Wellness Study, 학제간 융합 건강불평등연구소Center for Interdisciplinary Health Disparities Research를 통해 제시한 건강문제에 대한 융합적 접근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직접 배운 것은 큰 행운이었으며, 그러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이 담겨 있는 본서를 통해, 건강과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이들이 새로운 정보와 관점과 비전을 함께 나눌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본서는 건강과 관련된 분야에 있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특히 “보건과 복지”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복지실천가, 연구자, 교육자, 학생, 의료사회복지사, 병원행정가, 보건정책 전문가는 물론, 보건복지의 통합에 관심을 가지는 의학, 간호학, 보건학, 보건정책 및 행정학 등 인접분야의 연구자 및 실천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에게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입니다.
본서를 번역하여 국내에 보건사회복지를 소개하고 학문발전에 기여하려는 의도에 기꺼이 응해준 새라 겔러트 교수님과, 새로운 분야의 실험적인 도전을 이해하고 출판을 기획한 박영사의 조성호 이사님, 방대한 양의 편집을 매끄럽게 도와주신 마찬옥 편집위원님, 유려하고 정확한 글로 다듬어주신 정진욱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특히 번역작업의 코디네이터를 맡아 오랜 시간 수고를 아끼지 않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정신보건 및 보건복지 연구실의 박사과정 유정원 선생에게 특별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수업과 세미나를 통해 함께 이 책을 공부하며 공동번역의 고생을 함께 나눈 박사과정 김정수, 이은정, 김지은, 신수민, 권세원, 김태형, 조윤주, 이윤정, 석사과정 김우식, 김현진, 안상민, 김성은, 민다경, 민소담, 김석조 선생에게 그간의 수고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번역작업에 함께 하지 못했지만 함께 이 주제에 대해 고민을 나눴던 연구실 졸업생들과 재학생들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아울러, BK21plus 프로젝트 등을 통해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학과의 모든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특별히, 지칠 때마다 사랑과 기도로 격려해준 가족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다 표현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오랫동안 함께 공부하고 토론하고 작업하며 가다듬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분야 여러 저자의 글로 이루어진 방대한 분량의 책을 여러 역자가 공역하는 과정에서 문체나 표현이 일관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 없는 제도나 개념을 옮기는 데 한계가 있어 부족함이 발견될 수 있을 것입니다. 원서의 훌륭함을 옮기는 과정에서 부족함과 실수가 있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대표역자의 책임이며, 앞으로 지속적인 보완의 노력을 통해 원서와 보건사회복지의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사회의 힘은 모든 사회구성원으로부터 나오기에, 사회구성원의 건강한 삶을 돕는 것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는 가장 상식적이고 기본적인 바램을 되새기며…
?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에서
2015년 3월
대표역자 송 인 한

한국어판 저자 서문

--

보건 문제는 한 국가에 한정되지 않으며, 질병은 세계 어느 곳에나 보편적으로 존재합니다. 암, 심장병, 당뇨병, 조산 등은 발생률에 차이가 있을 뿐 5대양 6대주 어디에서나 나타납니다. 그러나 지역에 상관없이 주요한 질병들은 환자 자신과 환자가 속한 가족, 집단, 지역사회에 여러 가지 유사한 문제들을 제기합니다.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는 최근의 의학적 발전과 더불어 만성적 질환들이 보편화되면서 장기간에 걸쳐 질병에 대응하고 적응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질병으로 인한 문제들에 대응하는 과정은 헌신과 지식, 기술을 요구합니다. 개인과 가족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증상에 대한 전문적 지식, 이용 가능한 치료법에 대한 정보, 기술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근거 중심의 실천이 중시되는 오늘날, 우리는 개인과 가족이 효과적으로 질병을 관리하는 데 보다 유효한 방법과 치료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국가마다 보건의료체계와 적용 범위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어느 곳이나 어려운 문제들이 있으며 이는 전세계 보건사회복지의 영역입니다. 미국에서는 유럽에서 오는 전례 없이 많은 수의 이민자들의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1905년에 처음으로 병원사회복지사가 고용되었습니다. 그때 이후 전세계 거의 모든 국가들이 이민자와 난민 그리고 폭력과 전쟁으로 영향 받은 사람들의 욕구에 대응해야 할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이는 누가 “우리”이고 누가 “그들”인가, 보건의료가 동등해야 하는가 공정해야 하는가라는 어려운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일선에서 통역사, 중재자, 옹호자로서의 보건사회복지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시됩니다.
이와 관련한 또 다른 도전은 다른 전문가들에게 건강의 사회적 결정인자들이 갖는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일입니다. 보건사회복지의 탄생 이후 처음 100년을 돌아보면 (1) 질병이 환경적 맥락 안에서 발생한다는 점, (2) 질병의 모든 결정인자가 생물학적이거나 신체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 (3) 질병의 발생 맥락에 대한 정보가 전인적 치료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다른 이들에게 확신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건사회복지사들은 다른 의료서비스 제공자들, 정책 결정자들, 기타 주요 의사결정자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 ?보건사회복지?는 보건관련 전문가들이 보건사회복지의 하위 영역들이 처음으로 확립되었던 100여 년 전에 수립된 목표들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써 기획되었습니다. 즉, 환자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하고, 전문성을 활용하여 환자들이 직면한 의료적 문제의 이면에 있는 사회적 요소들을 규명하고, 그러한 요소들의 영향을 축소시키는 것입니다. 이 책의 개요는 본인이 시카고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 조지 워렌 브라운 사회복지대학원에서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책의 공동편집자이자 박사과정 시절에 본인의 지도를 받았으며 현재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인 테리 브라운 박사와 본인은, 한국에 있는 우리 동료들이 이 책을 사용할 것이며, 본인의 박사과정 제자였던 연세대학교 송인한 교수와 그의 학생들이 이 책을 한국어로 번역한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기뻤습니다.
미국과 한국의 보건복지 전문가들은 깊은 학문적?교육적 전통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보건복지 전문가들에게 이 책이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희망합니다. 한국의 보건과 복지 전문가들도 건강과 정신건강, 통증 관리, 장애 문제들 간의 복잡한 상호관계와 같은 여러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듣고, 여러분의 경험으로부터 배우고,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가 장애와 질병에 대응하는 과정을 지원하면서 우리가 직면하는 문제와 도전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공통된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인은 또 연세대학교 송인한 교수와 그 학생들의 번역을 통해 출판되는 이 책의 한국어판이 미국과 한국의 보건복지 전문가들 간의 교류를 증대시킴으로써 함께 환자의 건강 문제와 관련한 사회적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러한 요인들에 영향을 끼치며, 보다 세계적인 수준에서 보건의료를 발전시킨다는 우리의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합니다.

새라 겔러트
E. 데스몬드 리 인종 및 민족적 다양성 교수
조지 워렌 브라운 사회복지대학원
의과대학 교수
워싱턴대학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Ⅰ편 보건사회복지의 기초


제1장

보건의료에서 사회복지의 개념 정의 [새라 겔러트]

보건의료 사회복지의 역사적 기반 4
병원 사회사업과의 발전 13
의료사회복지의 전문화 14
의료사회복지의 정의 16
보건의료에서의 사회복지: 병원 밖으로 18
테크닉과 접근법의 시대적 변화 21



제2장

사회복지의 역할과 보건의료 현장 [테리 브라운]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사회복지의 생물심리사회적 접근 25
보건팀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29
사회복지 전문가 조사 35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업 40
전인적인 치료: 사회복지의 기본적인 역할 44



제3장

보건의료 사회복지와 윤리 [재러드 스팍스]

사회복지 윤리적 이슈의 개요 52
윤리학의 전문용어와 이론 53
기초적인 규범이론들 58
의료 윤리, 사회복지 윤리 및 생명 윤리의 발달 61
의사결정 모델 67
보건사회복지 윤리와 관련된 특수한 주제들 69
사회복지 연구윤리 74
21세기의 윤리적 도전들 78



제4장

공중보건과 사회복지 [마조리R.세이블, 데보라R.쉴드, J.아론힙]

공중보건 사회복지의 역사 83
사회복지와 공중보건의 교차점 87
공통된 가치 90
실천을 위한 공통 방법론 97
실천 수준과 예방 요소 101
공중보건 사회복지 개입의 유형 102
오늘날의 공중보건 사회복지실천 103
공중보건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한 준비 105
공중보건 사회복지에서 떠오르는 이슈 107
억압과 사회 정의에 대한 국제적 이슈 110
공중보건 사회복지의 영향 119



제5장

보건의료정책과 사회복지 [줄리S.다넬, 에드워드F.롤러]

보건의료정책 이해를 위한 분석틀 125
보건의료서비스 조직 127
연방정부의 핵심 의료 프로그램: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및 국가아동건강보험 132
보건의료개혁: 역사와 정점 138
의료개혁의 핵심적 특징 142
사회복지에 대한 정책적 쟁점들 144
결론 150



제6장

건강행동이론 [새라 겔러트, 새라E.볼링어]

사회복지실천과 연구에서의 이론 사용 158
합리적 선택에 근거한 이론적 접근 160
사회 연결망에 근거한 이론적 접근 164
의료서비스이용 행동모델 166
초이론적 모델: 변화의 단계 168
논의 168


제Ⅱ편 보건사회복지의 주요 이슈


제7장

지역사회와 건강 [크리스토퍼 마시]

미국 지역의 구성요소 176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구조 181
지역사회의 영향과 생애과정 185
사회복지실천에의 함의 191



제8장

신체건강과 정신건강: 상호작용,사정,개입 [말리타 엥스트롬]

심리사회적 상태와 증가하는 질병의 위험 198
신체적 질병과 정신건강의 역할 200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심리사회적 상태 평가 201
보건의료현장에서의 심리사회적 개입 전략들 239
결론 247



제9장

사회복지실천과 장애 문제 [레베카 브래쉴러]

장애의 정의 253
역사적 맥락 254
장애모델 255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통합모델 259
임상실천의 쟁점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 260
장애와 윤리 265
옹호 266
의미의 발견 268


제10장

보건의료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새라 겔러트]

보건의료에서 임상적 만남의 구조와 역동 273
병과 질병 277
보건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 288
결론 296



제11장

종교, 영성, 건강 그리고 사회복지 [테리A.울퍼]

미국인구의 종교성과 영성 307
보건의료 분야에서 왜 종교와 영성을 고려해야 하는가? 309
종교와 영성의 정의 310
종교와 건강에 관한 실증적 연구 316
영적 사정 321
개입에 대한 접근 331
결론 333



제12장

상호 이해의 증진: 환자가 보완적 및 대안적 접근을 이용할 때 [페니B.블락]

미국의 대안적이고 보완적인 실천 338
소수민족집단에서의 대체의학 사용 340
용어의 정의: 대체, 보완, 통합의 차이점 342
대체치료를 찾는 이유 347
체계와 실천 349
연구 딜레마 361
문제점과 우려 362
보험 적용 관련 이슈 364
결론 364



제13장

가족, 건강, 질병 [존S.롤랜드]

가족체계-질병모델의 개요 368
임상적?연구적 함의 377
가족 사정 379
건강/질병 신념체계 385
가족기반 연구 실행의 과제 392
결론 393



제14장

인간의 성적 건강 [레 갈로-실버, 데이빗S.빔비]

인간의 성적 발달에 대한 이해 399
보건사회복지의 친밀성 405
아동기 성적 학대 410
인간의 성적 반응 411
발달적 관점 413
부부와 일할 때의 특별한 이슈 418
질병과 외상성 손상의 영향 420
결론 426


제Ⅲ편 보건사회복지 실천영역


제15장

아동 및 청소년 환자의 사회복지 [낸시 보이드 웹, 로즈A.바톤]

아동 건강문제의 유병률과 범위 432
의료적 진단에 대한 발달적 고려사항과 아동 및 가족의 의미 부여 433
아동의 질병에 대한 아동 및 부모의 일반적인 반응 435
아동?청소년 환자의 돌봄을 위한 가족, 학교, 의료 현장의 협력 436
생식력 437
아동?청소년 환자를 돕는 병원 기반 및 지역사회기반 사회복지사를 위한 엄선된 개입방법 438
완화의료와 생애말 이슈들 442
의료사회복지사를 위한 이슈와 과제 447
결론 449



제16장

보건의료 환경에서의 노인복지 [새드나 다이완, 샹타 밸라스와미, 이상은]

노인 인구의 특성 456
포괄적 노인의학 사정 458
다문화노인의학 사정 474
사정 vs 스크리닝 477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노인 대상 사회복지 477
최근 보건의료 환경에서의 노인복지 이슈와 과제 486



제17장

보건사회복지 실천에서의 물질사용문제 [말리타 엥스트롬, 콜린A.마호니, 진C.마쉬]

용어 정의 493
진단범주 495
흔히 사용하는 물질 496
물질사용문제를 개념화하고 다루는 중요한 접근 511
보건의료현장에서 스크리닝과 단기 개입의 조정 523
결론 535



제18장

신장사회복지 [테리 브라운]

공중보건 이슈로서 말기신장질환 540
신장질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544
심리사회적 측면 545
심리사회적 이슈의 영향 552
사회복지 개입 553
신장사회복지사의 전문화 563
신장사회복지사협회 567
결론 569



제19장

종양사회복지 [다니엘S.가드너, 앨리슨 워너-린]

암 역학 575
심리사회종양학의 개괄적 역사 580
암의 심리사회적 영향 583
종양사회복지 589
종양사회복지의 과제 599
결론 600



제20장

만성질환에서의 치료 준수와 정신건강 이슈: 당뇨, 심장병, HIV/AIDS
[웬디 오슬랜더, 스테이스 프리덴탈]

만성질환자 치료의 최근 경향 604
당뇨, 심장병, HIV/AIDS의 역학 605
HIV/AIDS: 불치병에서 만성질환으로 610
치료요법의 준수 613
치료준수와 환자-실천가 의사소통 623
정신건강과 만성질환의 관계 625
결론 633



제21장

사회복지와 유전학 [앨리슨 워너-린, 케이트 리드]

유전변이의 개요 636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643
실천과 연구에서의 초학제간 팀 647
유전자 상담, 교육, 검사, 의뢰 651
보편적인 윤리적 문제 해결하기 664
정책 개발 668
결론 670



제22장

통증관리와 완화의료 [테리 알틸리오, 셜리 오티스-그린, 수잔 헤드런드, 아이리스 코헨 파인버그]

완화의료와 통증관리: 개관 676
역사적 관점 680
완화의료에 대한 국민합의프로젝트 682
생물심리사회적-영적 사정 685
개입 689
통증 및 완화의료와 관련된 윤리적 개념 701
통증관리: 개관 705
취약 계층과 다양한 영역 708
결론 715



제23장

생애말 돌봄 [이브 콜론]

완화의료 718
호스피스 719
생애말 예상하기 720
학제간 팀워크 721
의사소통: 죽음과 임종에 관해 이야기 나누기 722
임종을 앞둔 아동과 관련된 생애말 돌봄 이슈 723
영성 724
생애말 돌봄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건강불평등 725
사전의료의향서 727
상실에 대한 이해 729
죽음의 예견에 따른 선행적 애도 731
비정상적인 비탄 731
금지된 비탄 732
생애말 돌봄 사회복지 733
동정 피로증 734
결론 735

색 인 741
참고문헌 [QR코드 연결 제공] 74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