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에이징 커뮤니케이션 (고령사회를 위한 노인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에이징 커뮤니케이션 (고령사회를 위한 노인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저자 : 홍명신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14
ISBN : 9791130432113

책소개

이 책은 초고속 고령 사회로 접어드는 한국 노인 문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보고서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에이징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정의부터 노인과의 대면 커뮤니케이션, 노인들의 다양한 미디어(책, 잡지,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이용 현황 및 영화,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문화 향유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고찰해 보았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책의 특성]



한국은 고령화가 전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노화, 노년, 노인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부족은 매우 자연스럽고 전형적인 노년기의 현상마저도 이상하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만들곤 한다. 어차피 고령화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면 노인 인구의 증가가 가져다줄 폐해를 염려하는 것 못지않게 ‘노인의 시대’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서 이 책은 시작됐다.



이 책은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노인들의 다양한 미디어 이용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고찰하였다. 이 책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에이징 커뮤니케이션과 노인의 의미

-노인과 말하기 : 대면 커뮤니케이션

-노인과 미디어, 그들만의 문화 : 책, 잡지,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엔터테인먼트 안과 밖의 노인 문화 실태 : 게임, 영화



이 책은 노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고령화가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가 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에이징 커뮤니케이션 (Aging Communication)이란?



1. 에이징 커뮤니케이션의 틀 짓기

2. 노인의 의미

1) 연령

2) 노화

3) 역할 변화

3. 노인세대와 미디어



2 대면 커뮤니케이션



1. 노인과 말하기

1) 노화에 의한 변화 이해하기

2) 노년기의 가족 커뮤니케이션

2. 대화 속의 노인, 세대 간 에이징 커뮤니케이션 모델

1) 곤경 모델(Communication Predicament of Aging Model:CPA)

2) 상호작용 모델(Age Stereotypes in Interaction Model:ASI)

3) 향상 모델(Communication Enhancement Model:CEA)

3. 노인 체험하기



3 책



1. 노인의 책 읽기

1) 독서량과 도서 구매

2) 책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

3) 선호분야

2. 노인의 책 쓰기

3. 노인의 책, 실버출판



4 잡지



1. 노인의 잡지 읽기

1) 잡지 읽는 시간, 잡지 구매

2) 선호하는 잡지

2. 잡지 속의 노인

3. 노인을 향한 잡지, 실버 잡지

1) 미국

2) 일본

3) 프랑스.영국



5 신문



1. 노인의 신문 읽기

1) 신문 열독률, 신문 읽는 시간

2) 선호하는 기사, 신문

3) 신문 편집의 변화

2. 신문 속의 노인

3. 노인 신문, 노인의 신문 만들기

1) 노인을 향한 신문

2) 젊어지는 편집국

3) 노인이 만드는 실버신문



6 라디오



1. 노인의 라디오 듣기

1) 청취율, 청취시간

2) 선호하는 프로그램

2. 라디오 속의 노인 프로그램

1) 노인프로그램 방송 현황

2) 노인프로그램의 편성시간

3. 고령화와 라디오의 미래



7 텔레비전



1. 노인의 텔레비전 시청하기

1) 시청량

2) 이용 동기와 기능

3) 선호하는 프로그램

4) 텔레비전 속의 노인

2. 노인 프로그램, 노인 방송

1) 노인 프로그램

2) 노인 채널



8 인터넷



1. 노인의 인터넷 이용하기

2. 인터넷 속의 노인

1) 교류

2) 봉사

3) 전통

4) 뿌리

3. 인터넷 밖의 노인

1) 노인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2) 인터넷의 미디어적 특성과 노년기 심리적 특징

3) 노인정보화 교육



9 게임



1. 노인의 게임 이용하기

1) 게임하기

2) 선호하는 게임

2. 게임 속의 노인

3. 게임에 대한 양면적 기준



10 영화



1. 노인의 영화 보기

1) 영화 관람

2) 선호하는 장르

2. 영화 속의 노인

1) 애니메이션 속의 노인

3. 노인 영화는 없다



11 마치면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