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침의 나라 (한반도를 수메르 문명의 원류로 지목한 한 지식인의 역사추적)
아침의 나라 (한반도를 수메르 문명의 원류로 지목한 한 지식인의 역사추적)
저자 : 문정조
출판사 : 북랩
출판년 : 2016
ISBN : 9791159873003

책소개

한반도는 인류 최초의 문명 수메르의 원류다!

수메르와 한반도의 결정적 유사성을 찾아낸
고양문화원 이사 문정조의 끈질긴 탐사 추적기

한반도, 그중에서도 일산 고양을 수메르 문명의 원류라고 한다면, 다들 고개를 갸우뚱해한다. 하지만 다음 네 가지 근거를 유심히 살펴본다면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질 것이다.

● 수메르와 고양의 유물 중 즐문토기의 형태가 유사하다.
● 수메르 점토판에 적힌 농사법이 바로 고양벌 관개농법이다.
● 검은 머리, 식음문화(참기름, 마늘), 순장문화, 씨름 등과 생활상이 유사하다.
● 수메르어와 한국어는 언어체계가 같은 교착어에 속한다.

이 책은 위와 같은 이론에서 출발하여, 이전 책들인 『일산 아라리』 『수메르·한반도』의 완성본이다. 인류 최초의 문명 수메르가 한반도 고양의 옛 조상들에 의해 탄생했다는 이론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발표된 자료들과 걸러진 내용과 함께, 최근까지 발굴되어 해독된 자료들까지 총망라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반도는 인류 최초의 문명 수메르의 원류다!



수메르와 한반도의 결정적 유사성을 찾아낸

고양문화원 이사 문정조의 끈질긴 탐사 추적기



한반도, 그중에서도 일산 고양을 수메르 문명의 원류라고 한다면, 다들 고개를 갸우뚱해한다. 하지만 다음 네 가지 근거를 유심히 살펴본다면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질 것이다.



● 수메르와 고양의 유물 중 즐문토기의 형태가 유사하다.

● 수메르 점토판에 적힌 농사법이 바로 고양벌 관개농법이다.

● 검은 머리, 식음문화(참기름, 마늘), 순장문화, 씨름 등과 생활상이 유사하다.

● 수메르어와 한국어는 언어체계가 같은 교착어에 속한다.



이 책은 위와 같은 이론에서 출발하여, 이전 책들인 『일산 아라리』 『수메르·한반도』의 완성본이다. 인류 최초의 문명 수메르가 한반도 고양의 옛 조상들에 의해 탄생했다는 이론을 근

간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발표된 자료들과 걸러진 내용과 함께, 최근까지 발굴되어 해독된 자료들까지 총망라했다. 또한, 이 책의 제목인 ‘아침의 나라’는 수메르시대의 가와지 마을이

있는 ‘고요한 고양벌’을 의미한다.



이처럼 저자는 그간 발표된 여러 사료를 탐색하여, 사실을 기반으로 한 증거들을 시와 소설 형태로 이해하기 쉽게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수메르가 한민족에 의해 건설되었다는 가설에 쉽고 확실한 시선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_ 008

아침의 나라 _ 011

시작하며 _ 014

역사 글에 들어가면서 _ 022



【제1부】 한민족 ‘5,000년 고양벌’



1. ‘아침의 나라’ 사계 _ 029

2. 선사시대 _ 037

1) 한반도·고양 구석기 족적

3. 상고시대 _ 044

1) 한민족 영웅들의 장정

2) 한민족 대이동의 족적

4. 삼한시대 이후 _ 054

1) 고양벌은 광개토대왕·장수왕 혼의 도시

2) 고양벌을 지켜온 고대성곽체계

3) 무예강성 고양벌

4) 고봉현 + 우왕현시대

5) 고봉현 + 덕양현(행주현)시대

6) 고양시대

7) 한반도의 중심 고양벌(달을성)

5. 미래 고양벌 _ 072

1) 한민족 통일광역시대의 ‘평화통일특별시’

2) 한민족 불멸의 ‘배달해오름’



【제2부】 한민족 대한반도(桓國-수메르·배달-고양벌)



1. 대한반도권 _ 085

1) 한반도는 보물섬이다.

2. 환국-배달-고양벌 _ 090

1) 한민족 시원 환국

2) 한민족 처음 나라 배달

3) 고양벌 선민은 한민족 유민들

3. 수메르-고양벌 _ 102

1) 인류 최초문명 수메르

2) 수메르는 고양벌 문화

① 유사유물 : 즐문토기

② 유사농법 : 관개농법, 조파법, 물갈퀴 관개법

③ 유사생활상

④ 유사 언어체계



【제3부】 한민족 겨레 울림



1) 홍산문화 _ 131

2) 다물정신 _ 135

3) 민족자존 _ 138

4) 치우천황 _ 141

5) 상무정신 _ 144

6) 통일을 시도한 광개토대왕 _ 148

7) 저항정신 _ 151

8) 살수대첩 _ 154

9) 근초고왕 _ 158

10) 대조영 _ 163

11) 장보고 _ 168

12) 왕릉문화 _ 174

13) 한민족의 대왕 ‘세종’ _ 178

14) 불멸의 ‘이순신’ _ 182

15) 르네상스를 추구한 정조대왕 _ 189

16) 세계 유일 문화 ‘태실’ _ 193

17) 골육상잔 비운의 ‘반내골’ _ 196

18) 홍익인간 ‘운조루’ 정신 _ 199

19) 옷감 혁명을 일으킨 문익점 _ 202



작가 후기 _ 207

참고 문헌 _ 210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