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개정판)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개정판)
저자 : 최지선^이애정^박수진
출판사 : 양성원
출판년 : 2023
ISBN : 9791161264875

책소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 주도의 ‘놀이’와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기본개념을 유아동작교육을 통해 유아들이 진정한 놀이의 주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교사의 마음을 담으려 2판에서도 노력하였다. 기존의 유아동작교육 활동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지글러박사의 말처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맞추어 끊임없이 수정하고 보완하는 과정”이 교육자로서의 역할임을 유념하며 개정의 방향을 잡아 현장에서 놀이로 접근하고 실행할 수 있는 놀이 중심 영유아 동작교육 저서를 집필했다.

이 저서는 1부는 이론, 2부는 실제로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은 1장부터 6장까지 그리고 실제는 7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놀이 중심 영유아 동작교육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동작교육의 중요성, 개념, 그리고 목적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놀이 중심 영유아 동작교육의 기초를 이루는 동작교육의 철학적 관점, 시대 변천에 따른 관점, 그리고 동작교육학적 관점을 알아보았다. 특히, 시대 변천에 따른 관점에서 유아교육과정 흐름에 따른 동작교육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영유아의 신체발달에 따른 동작교육을 알아보기 위해 영유아기 신체발달의 특성, 영유아기 운동능력발달, 그리고 영유아기 기본운동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표준보육과정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는 놀이 중심 동작교육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5장에서는 영유아 동작교육의 내용의 핵심을 이루는 동작의 기본요소, 동작의 기초영역, 동작 활동의 기초적 동작, 그리고 응용동작까지 실제 예시를 들어 교사의 언어적 지원을 함께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영유아 놀이 중심 동작교육 교수-학습방법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놀이 중심 동작교수-학습방법을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들고, 이에 따른 환경구성 방법에 대해 나타내었다. 7장에서는 놀이 중심 동작교육의 실제로 현장에서 각 놀이 상황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동작교육의 다양한 방법과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즉, 각 놀이 상황을 일상생활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동작교육,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동작교육, 미술작품을 활용할 수 있는 동작교육, 음악을 활용한 동작교육, 바깥놀이를 활용한 동작교육, 그리고 도구를 활용해서 할 수 있는 동작교육 등으로 나누었다. 특히, 중점을 둔 것은 각 상황에서 유아들의 관찰을 통해 교사가 계획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제시했고, 그 방향에 따라 놀이가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시를 들었다. 또한 예시 가운데 교사의 지원을 환경적 지원, 언어적 지원, 놀이 확장 지원 등으로 나누었고, 마지막 활동에서는 교사의 지원을 연계활동으로 계획을 세워보는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01 이론
Chapter 01 유아 동작교육의 이해
Chapter 02 동작교육의 이론
Chapter 03 영유아의 신테발달과 동작교육
Chapter 04 영유아 교육과정과 동작교육
Chapter 05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
Chapter 06 유아 놀이 중심 동작교육 교수 - 학습방법

PART 02 실체
Chapter 07 영유아 동작교육의 실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