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저자 : 무라카미 하루키|오자와 세이지
출판사 : 비채
출판년 : 2015
ISBN : 9791185014708

책소개

일본을 대표하는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와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났다.

각자 수십 년의 세월동안 음악가로서 작가로서 각자의 자리에서 큰 산을 이룬 두 거장의 만남이다. 음악 안의 자음과 모음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지휘자와 글을 쓸 때 리듬을 중시한다는 소설가는, 오자와 세이지의 지휘로 다양한 음반을 함께 들으며 대화를 주고받는다.

오자와 세이지가 식도암이 발병하여 음악활동을 잠시 쉬게 된 차에 자타공인 음악 애호가이자 그의 오랜 팬인 무라카미 하루키 기획으로 성사된 반가운 인터뷰 프로젝트이다. 솔직한 아마추어 무라카미 하루키가 묻고, 담백한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가 하는 답으로 구성된 품격 있는 클래식 여행이 펼쳐진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무라카미 하루키 기획!

불세출의 지휘자 오자와 세이지와의 일여 년에 걸친 특별한 인터뷰.

일본, 하와이, 스위스 등 세계 각지에서 진행된 두 거장의 클래식 대담.



일본을 대표하는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와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났다! 수십 년의 세월 동안 음악가로서 작가로서 각자의 자리에서 큰 산을 이룬 두 거장의 만남이다. 음악 안의 자음과 모음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지휘자와 글을 쓸 때 리듬을 중시한다는 소설가는, 오자와 세이지의 지휘로 사이토 기넨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다단조 작품68과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지휘하는 베를린 필하모닉의 장 시벨리우스 교향곡 제5번 내림마장조 작품82 등 다양한 곡을 함께 들으며 대화를 주고받는다. 오자와 세이지가 식도암이 발병하여 음악활동을 잠시 쉬게 된 차에 자타공인 음악 애호가이자 그의 오랜 팬인 무라카미 하루키 기획으로 성사된 반가운 인터뷰 프로젝트이다. 일여 년에 걸친 시간 동안 무라카미 하루키가 가나가와 현 자택이나 도쿄 작업실로 오자와 씨를 초대하기도 하고, 오자와 씨가 주관하는 ‘스위스 국제음악아카데미’의 수업이 한창인 스위스 레만 호수 연안으로 직접 찾아가기도 한다. 콘서트와 콘서트 사이, 제네바에서 파리로 이동하는 특급열차에 몸을 실은 오자와 씨 옆좌석에 앉기도 한다. 솔직한 아마추어 무라카미 하루키가 묻고, 담백한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가 대답하는 품격 있는 클래식 여행으로의 초대!



리듬이 있는 글, 자음과 모음이 있는 음악!

솔직한 아마추어 무라카미 하루키가 묻고, 담백한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가 답하다.

비평가들의 찬사와 더불어 ★ ‘고바야시히데오상’ 수상!



“나는 오자와 씨가 조금이라도 더 오래, 조금이라도 더 많이 ‘좋은 음악’을 이 세상에 선사해주시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좋은 음악’은 사랑과 마찬가지로 아무리 많아도 지나치지 않으니까. 그리고 그것을 소중한 연료로 삼아 살기 위한 의욕을 충전하는 사람들이 세상에 이루 셀 수 없이 많으니까.” _무라카미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 기획으로 장장 일 년에 걸친 특별한 인터뷰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불세출의 지휘자 오자와 세이지와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만나 일본, 하와이, 스위스 등 세계 곳곳에서 음악에 대해 이야기한다. 주로 비범한 음악애호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묻고 마에스트로 오자와 세이지가 답하는 형식인데, 학창 시절은 물론, 사이토 기넨 오케스트라가 탄생한 근원점인 스승 사이토 히데오에 대한 추억, 뉴욕 필 부지휘자 시절 레니 번스타인과의 에피소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빈 국립오페라극장 음악감독 재임 시절 이야기 등 거장 오자와 세이지의 음악 인생을 차분히 뒤돌아보면서 동시에 베토벤, 브람스, 말러 등 명곡 클래식의 음악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악보를 어떻게 읽고 어떻게 해석할까 하는 전문적 지식부터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한 세세하고 기초적 이해까지 프로 음악가는 물론이고, 전혀 문외한인 독자에게도 매력적인 독서체험을 선사할 것이다. 무라카미는 백발의 마에스트로 앞에서 문외한임을 고백하며 내내 겸손을 표하지만, 그가 적지적시에 던지는 스마트한 질문과 무심한 듯하지만 성심성의껏 질문에 임하는 오자와 씨의 회답을 마주하고 있노라면,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음악상의 깊숙한 내용도 친근하게 접속하게 된다.

자유로운 정신과 유연한 지성을 근간으로 새로운 세계상을 제시한 작품(단, 픽션 외에 한함)에 수여하는 ‘고바야시히데오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표지 사진은 일본을 대표하는 사진가 아라키 노부요시가 맡았다. 롯폰기에 위치한 아라키 스튜디오에 한데 모인 세 거장의 모습이라니 이 역시 진풍경이었을 법하다. 한편, 일본 출간 당시, 데카Decca에서는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속에 등장한 곡들을 세 장의 CD로 한데 엮어 정식으로 출시하여, 장기간 오리콘차트 1위를 기록하며 책과 함께 뜨거운 주목을 받았다.



★책 속의 플레이 리스트★

아~

-요하네스 브람스 피아노협주곡 제1번 나단조 작품15

글렌 굴드/뉴욕 필하모닉(지휘_ 레너드 번스타인)

-루드비히 반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제3번 다단조 작품37 1악장 Allegro con brio

루돌프 서킨/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지휘_ 오자와 세이지)

-요하네스 브람스 교향곡 제1번 다단조 작품68 4악장

사이토 기넨 오케스트라(지휘_ 오자와 세이지)

-장 시벨리우스 교향곡 제5번 내림마장조 작품82 3악장

베를린 필하모닉(지휘_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서주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지휘_ 오자와 세이지)

-구스타프 말러 교향곡 2번 다단조 <부활> 5악장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지휘_ 오자와 세이지)

etc.



세기의 만남! 소박하지만 고급스러운 백자 사발 같은 음악 에세이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는 《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도쿄기담집》에 이어 비채의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일곱번째 작품이다. 다음 여덟번째는 장편소설 《애프터 다크》이다. 담담한 다큐멘터리가 연상되는 하루 동안의 이야기로, 권영주의 꼼꼼하고 단단한 번역으로 2015년 상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기에 앞서 - 오자와 세이지 씨와 보낸 오후 한때 010



첫번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을 둘러싸고

우선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제1번부터

카라얀과 굴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굴드와 번스타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제르킨과 번스타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좌우지간 독일 음악을 하고 싶었다

오십 년 전 말러에 푹 빠졌다

새로운 스타일의 베토벤 연주란?

이머셀의 피아노, 고악기 연주의 베토벤

다시 굴드에 관해 이야기하다

제르킨과 오자와 세이지,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우치다 미쓰코와 잔덜링,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3번



막간 1_레코드 마니아에 관해



두번째, 카네기 홀의 브람스

카네기 홀에서의 감동적인 콘서트

사이토 기넨과 브람스를 연주하는 것

후일에 가진 짤막한 추가 인터뷰_호른 호흡의 진상



막간 2_글과 음악의 관계



세번째, 1960년대에 일어난 일

번스타인의 부지휘자로 있던 시절

스코어를 철저하게 파고들어 읽는다

텔레만에서 버르토크까지

봄의 제전 - 비화 비슷한 것

무명 청년에게 어떻게 그런 대단한 일이 가능했을까?

후일에 가진 짤막한 추가 인터뷰_모리스 페레스와 해럴드 곰버그



막간 3_유진 오르먼디의 지휘봉



네번째, 구스타프 말러의 음악을 둘러싸고

선구자로서의 사이토 기넨

번스타인이 말러에 집중하던 시절

그런 음악이 존재한다는 것조차 몰랐다

말러 연주의 역사적 변천

빈에서 미친다는 것

3번과 7번은 어쩐지 '수상쩍다'

오자와 세이지 + 사이토 기넨이 연주하는 <거인>

악보의 지시가 좌우지간 세세하다

말러 음악의 세계 시민성이란?

오자와 세이지 + 보스턴 교향악단이 연주하는 <거인>

말러 음악의 결과적인 전위성

지금도 변화를 계속하는 오자와 세이지



막간 4_시카고 블루스에서 모리 신이치까지



다섯번째, 오페라는 즐겁다

원래 나보다 더 오페라와 인연 없는 사람이 없었다

프레니의 미미

카를로스 클라이버에 관해

오페라와 연출가

밀라노에서 받은 야유

고생보다 즐거움이 훨씬 크다



스위스의 작은 도시에서



여섯번째, “정해진 방식이 있는 건 아니에요. 그때그때 생각하면서 가르치죠.”



후기입니다_오자와 세이지 35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