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
저자 : 강병철 외 53명^한국일보
출판사 : 황소자리
출판년 : 2022
ISBN : 9791191290165

책소개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는 의료진,
의료진의 삶에 깊은 흔적을 남기는 환자들,
그 아슬아슬한 긴장 속에서 피어난 아주 특별한 이야기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는 살아가면서 적잖은 의료인을 만난다. 때로는 환자로서, 때로는 환자 가족으로서 그들 앞에 설 수밖에 없다. 이렇듯 우리 곁에 머물며 삶의 최후 보루를 지켜주는 고마운 존재들이되 우리는 그들을 잘 모른다. 직업인으로서 환자와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특별하게 교육받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주관적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것이 한 요인이다. 이로 인해 일반인의 눈에 비치는 그들은 얼핏 싸늘하고 무미건조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우리가 미처 모르는 사실이 있다. 매일매일 살얼음판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의료진이야말로 심리적·정신적 충격에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들이라는 점이다. 고통이 일상처럼 펼쳐지는 현장에서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냉철한 판단 및 대처는 필수조건이지만, 삶과 죽음의 극적인 순간을 매일 마주하는 그들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게 아파하고 흔들린다.

이 책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는 의료종사자들이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에 관해 털어놓는 특별한 산문집이다. 지난 2021년 봄부터 〈한국일보〉에는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라는 제목으로 의료인들이 직접 쓴 글이 연재되었다. 이 책은 그 기획물 가운데 54편을 추려내 묶은 것이다. 갓 의사가운을 입은 신출내기부터 원로 전문의까지, 지방 보건소의 간호사부터 119구급대원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곳에서 일하는 그들이 털어놓는 이야기는 때로 충격적이고, 때로 눈물겹고, 때로 가슴 먹먹한 감동을 준다.
코로나 격리병동에서 홀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은 뒤 최종 음성으로 판정된 한 남자의 시신을 수습한 뒤 도망치듯 뛰쳐나와 펑펑 울어버린 애송이 의사(오연택/27쪽). 자신의 다리가 잘려나가는 동안 너무도 평온하게 헤드폰 속 ‘When I Dream’ 선율에 취해 있던 노인을 보며 결국은 훼손되고 소멸할 수밖에 벗는 우리 삶의 본질을 너무 일찍 깨닫고 만 응급의학과 전문의(남궁인/136쪽). 강남 대형병원에서 의사로 일하다 죽음조차 불평등하게 만드는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를 충격적으로 목도한 뒤 진로를 바꿔 전 세계 건강 불평등을 연구하게 된 경제학자(김현철/276쪽)….
의료현장에서 숱하게 만나고 떠나보낸 환자들 중 자신의 삶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사람, 오감을 흔들어 자신을 성장시키고 가치관까지 바뀌게 해준 환자와 얽힌 이야기를 솔직하고 담담하게 풀어놓는 글들은 여러모로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독자들에게 두고두고 숙고할 생각과 위로를 선물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환자의 상처를 치료하는 의료진,

의료진의 삶에 깊은 흔적을 남기는 환자들,

그 아슬아슬한 긴장 속에서 피어난 아주 특별한 이야기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는 살아가면서 적잖은 의료인을 만난다. 때로는 환자로서, 때로는 환자 가족으로서 그들 앞에 설 수밖에 없다. 이렇듯 우리 곁에 머물며 삶의 최후 보루를 지켜주는 고마운 존재들이되 우리는 그들을 잘 모른다. 직업인으로서 환자와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특별하게 교육받은 사람들이므로 그들이 주관적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것이 한 요인이다. 이로 인해 일반인의 눈에 비치는 그들은 얼핏 싸늘하고 무미건조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우리가 미처 모르는 사실이 있다. 매일매일 살얼음판 같은 상황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의료진이야말로 심리적·정신적 충격에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들이라는 점이다. 고통이 일상처럼 펼쳐지는 현장에서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냉철한 판단 및 대처는 필수조건이지만, 삶과 죽음의 극적인 순간을 매일 마주하는 그들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게 아파하고 흔들린다.



이 책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는 의료종사자들이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에 관해 털어놓는 특별한 산문집이다. 지난 2021년 봄부터 〈한국일보〉에는 ‘내가 살린 환자, 나를 깨운 환자’라는 제목으로 의료인들이 직접 쓴 글이 연재되었다. 이 책은 그 기획물 가운데 54편을 추려내 묶은 것이다. 갓 의사가운을 입은 신출내기부터 원로 전문의까지, 지방 보건소의 간호사부터 119구급대원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곳에서 일하는 그들이 털어놓는 이야기는 때로 충격적이고, 때로 눈물겹고, 때로 가슴 먹먹한 감동을 준다.

코로나 격리병동에서 홀로 쓸쓸하게 죽음을 맞은 뒤 최종 음성으로 판정된 한 남자의 시신을 수습한 뒤 도망치듯 뛰쳐나와 펑펑 울어버린 애송이 의사(오연택/27쪽). 자신의 다리가 잘려나가는 동안 너무도 평온하게 헤드폰 속 ‘When I Dream’ 선율에 취해 있던 노인을 보며 결국은 훼손되고 소멸할 수밖에 벗는 우리 삶의 본질을 너무 일찍 깨닫고 만 응급의학과 전문의(남궁인/136쪽). 강남 대형병원에서 의사로 일하다 죽음조차 불평등하게 만드는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를 충격적으로 목도한 뒤 진로를 바꿔 전 세계 건강 불평등을 연구하게 된 경제학자(김현철/276쪽)….

의료현장에서 숱하게 만나고 떠나보낸 환자들 중 자신의 삶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사람, 오감을 흔들어 자신을 성장시키고 가치관까지 바뀌게 해준 환자와 얽힌 이야기를 솔직하고 담담하게 풀어놓는 글들은 여러모로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독자들에게 두고두고 숙고할 생각과 위로를 선물한다.



저자 소개



강병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도서출판 ‘꿈꿀자유’ 대표

곽문환 응급의학과 전문의 · 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과장

안정신 외과 전문의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목동병원 교수

오연택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국립공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이낙준 이비인후과 전문의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홍보위원

한언철 외과 전문의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외과 주임과장

정재화 내과 전문의 · 성남요양병원 병원장

이효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백암정신병원 진료원장

김종필 피부과 전문의 · 한국한센복지협회 연구원장

김경중 공중보건의 · 순천시 공중보건의사

문윤수 외과 전문의 · 대전을지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 교수

임재만 소방위 · 대전소방본부 119종합상황실 구급상황관리사

김결희 성형외과 전문의 · 국경없는의사회 활동가 · 강동성심병원 성형외과 임상조교수

윤혁 내과 전문의 ·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부교수

박창범 내과 전문의 ·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양은주 암재활의학과 전문의

김영웅 흉부외과 전문의 · 국경없는의사회 활동가 · 강남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교수

권해진 한의사 · 래소한의원장 · 《우리동네 한의사》 저자

양성관 가정의학과 전문의 · 의정부백병원 진료과장 · 《너의 아픔이 나의 슬픔》 저자

신재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강남푸른정신건강의학과의원 대표원장

노경한 정형외과 전문의 · 강남본정형외과 대표원장

양창모 가정의학과 전문의 · 강원도 왕진의사

여한솔 응급의학과 전공의 ·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 대한전공의협의회장

이동환 가정의학과 전문의 · 대한 만성피로학회 명예회장

남궁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임상조교수

이상현 가정의학과 전문의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건강증진센터장

오승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 서울의대 가정의학교실 교수

안형준 침구과 전문의 · 건강과나눔 대표 · 청천한의원 원장

강현석 내과 전문의 ·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프란시스코의대(UCSF) 종양내과 부교수

김기준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교수

최상태 내과 전문의 · 중앙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장석창 비뇨의학과 전문의 · 부산탑비뇨의학과의원 원장

홍문기 내과 전문의 · 대구가톨릭대 칠곡가톨릭병원 내과과장

허윤정 외상외과 전문의 · 단국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임상조교수

오흥권 외과 전문의 · 분당서울대병원 대장암센터 교수

김경화 간호사 · 중앙보훈병원 간호본부 외과계 부장

박지욱 신경과 전문의 · 박지욱신경과의원 원장

이수영 외과 전문의 · 화순전남대병원 외과 부교수

허대석 내과 전문의 · 전 서울대병원 암센터소장

정문기 비뇨기과 전문의 · 전 부산대의대 비뇨기과 교수

심소현 간호사 · 서울성모병원 내과중환자실 수석간호사

좌승주 신경과 전문의 · 제주의료원 신경과장

김정환 가정의학과 전문의 ·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조교수

이윤경 간호사 · 가천대길병원 정형외과 외래 수간호사

송태준 소화기내과 전문의 ·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최연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백종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영훈 신경외과 전문의 · 부천21세기병원 원장

서원준 외과 전문의 · 고려대구로병원 위장관외과 임상조교수

부경아 간호사 · 제주의료원 간호과 간호사

이지훈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홍영한 외과 전문의 · 전 메디움강남요양병원 원장

김현철 경제학자 · 의사 · 홍콩과기대 경제학과 및 공공정책학과 교수

최성철 소방위 · 대구강서소방서 119구급대 주임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세상 모든 의료진에게는 저마다 가슴에 묻어둔 이야기가 있다 ㆍ 4

PART 1
강병철 흐느끼는 다운증후군 아기 산모 앞에서 난 한마디도 하지 못했다 ㆍ 14
곽문환 “곧 가실 텐데 왜 살리세요?” 그 가족 건너편에는 아버지의 죽음을 믿지 못하는 아들이…, ㆍ 19
안정신 삶의 믿음 준 신참 의사에게 노인이 보내온 갓 캔 ‘감자 한 박스’ ㆍ 23
오연택 코로나 격리병동 노인의 쓸쓸한 죽음, 사망 후 통보된 ‘음성’ 판정 ㆍ 27
이낙준 “딸 결혼식만 마치고 수술 받을게요.” 나는 왜 그를 말리지 못했을까? ㆍ 31
한언철 순서 기다리던 응급환자의 갑작스러운 사망, 다 내 탓처럼 느껴졌다 ㆍ 36
정재화 병원비 없어 치료 못 받던 15세 소년, 의사와 간호사들은 기꺼이 피를 뽑았다 ㆍ 41
이효근 물난리 통에서도 꺼내온 약봉지, 할머니에겐 그 약이 전부였다 ㆍ 46

PART 2
김종필 “남편은 한센병 환자입니다.” 죽음 앞둔 아내가 눈물로 쓴 편지 ㆍ 52
김경중 코로나 검사받던 노인은 욕설을 쏟아냈고, 난 폭발하고 말았다 ㆍ 57
문윤수 뼈와 살이 으스러진 외상, 마음속 사망진단서 썼던 그가 살아왔다 ㆍ 62
임재만 ‘어떻게 살렸는데, 절대 못 보내.’ 구급대원들 마음의 소리 ㆍ 67
김결희 얼굴재건수술 받은 나이지리아 소녀의 첫마디 “저 이제 결혼할 수 있어요.” ㆍ 72
윤혁 아들 이어 딸도 같은 난치병 진단, 어머니 심정은 오죽했을까? ㆍ 77
박창범 “이 도둑놈아!” 약값을 확인한 노인은 의사를 향해 고함쳤다 ㆍ 82
양은주 의사도 환자에게 배운다, 씩씩한 그 환자는 깜짝 놀랄 재활법을 혼자서 찾아냈다 ㆍ 87

PART 3
김영웅 총상 소년, 화상 소녀…, 아프리카 아이들은 울지 않는다 ㆍ 94
권해진 봄 되면 같이 오겠다던 70대 노부부, 하지만…, 아내 혼자였다 ㆍ 99
양성관 간경화 말기 완월동 그녀, 술만이 유일한 위안이었던가 ㆍ 104
신재현 그의 저장강박증 뒤엔 친구 잃은 대구지하철 참사의 아픔이…, ㆍ 109
노경한 외할머니의 고통을 놓친 ‘주치의’ 손주는 펑펑 울었다 ㆍ 114
양창모 낙태를 거부한 그가 마지막 힘을 다해 쓴 두 글자는 ‘아기’였다 ㆍ 119
여한솔 심장마사지로 살려낸 트럭운전사, 두 다리 잃었지만 ㆍ 124
이동환 두 달을 버티던 전신화상 청년이 떠나던 날, 우리는 함께 울었다 ㆍ 129

PART 4
남궁인 다리 절단하는데 평온하던 치매노인…, 모든 것은 소멸한다 ㆍ 136
이상현 30년 전 편지가 준 울림, 의사는 손부터 잡아주는 사람 ㆍ 141
오승원 “급성백혈병 왜 빨리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원망 섞인 질문에 마음이 무거워졌다 ㆍ 146
안형준 손목 잃은 이주노동자 나비드는 언제쯤 ‘코리안 드림’을 이룰 수 있을까 ㆍ 151
강현석 암 재발 후 살았지만 다 잃고 노숙자 생활, 치료가 늘 최선일까? ㆍ 156
김기준 산모가 준 뜻밖의 선물, 그날 나는 다시 시인이 됐다 ㆍ 161
최상태 긴 병에 효자 없다지만, 루푸스 환자 아내와 딸은 10년을 한결같았다 ㆍ 166

PART 5T 5
장석창 만남, 그리고 운명 ㆍ 172
홍문기 수술 거부했던 말기암 노인은 고통 속에서도 행복해 보였다 ㆍ 177
허윤정 친구의 추락사, 지금 같은 외상센터가 있었다면 ㆍ 182
오흥권 사라진 외과 중환자, 알고 보니 특실에… 의료진도 ‘부담’스럽다 ㆍ 187
김경화 장애 얻고 20년, 말기암까지 마지막 평온을 준 호스피스 ㆍ 192
박지욱 북녘 외동딸 상봉 끝내 무산, 깊은 상실감 속에 어르신은 눈을 감았다 ㆍ 197
이수영 할머니 배 속 암덩어리, ‘세 아들 뭐했나’ 원망했지만 ㆍ 202
허대석 “산모와 태아 누구를 먼저…,” 임신 암환자 치료는 언제나 고통스런 선택 ㆍ 207
정문기 “의사면 다냐?” 망자의 아들은 욕설을 퍼부었다 ㆍ 212

PART 6
심소현 ‘심폐소생은 보호자 욕심’이라 여겼지만, 엄마를 이대로 보낼 순 없었다 ㆍ 218
좌승주 할머니는 요양원 학대 피해자였다, 난 왜 그걸 눈치채지 못했을까 ㆍ 223
김정환 “산타 선물 뭐 받고 싶어?” “엄마가 울지 않는 거요.” ㆍ 228
이윤경 코로나 봉쇄 속 손목 골절 아이 위한 ‘특별치료 작전’ ㆍ 232
송태준 폐렴으로 죽을 뻔했던 아들, 아버지에 간 이식할 사람은 아들뿐이었지만…, ㆍ 236
최연호 겁에 질린 엄마 “혹시 난치병인가요?” 검색이 낳은 ‘두려움병’ ㆍ 240
백종우 유명연예인의 극단적 선택, ‘베르테르 효과’로 그 우울증 환자는 끝내…, ㆍ 245

PART 7
전영훈 “배… 고… 파….” 의식불명 다섯 살 꼬마는 힘겨운 사투를 이겨냈다 ㆍ 252
서원준 ‘수술을 말렸어야 했는데,’ 환자 배 속에 들러붙은 장을 보는 순간 후회가 밀려왔다 ㆍ 257
부경아 “완전 벌레 취급하네.” 코로나 격리병동 입원 첫날, 그는 화부터 냈다 ㆍ 262
이지훈 감당 안 되는 약값, 질환 진단 잘 하는 의사만으론 역부족입니다 ㆍ 267
홍영한 “막내 결혼만은 꼭 보고…,” 6개월 시한부 엄마는 그 꿈으로 6년을 버텨냈다 ㆍ 272
김현철 ‘죽음조차 불평등한 세상’ 나는 의사 가운을 벗고 경제학자가 되었다 ㆍ 276
최성철 같은 사람을 두 번이나 심폐소생으로 살려내다 ㆍ 28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