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2023 콘텐츠가 전부다 (광고 품은 OTT부터 K-예능과 웹툰, 소셜 메타버스의 세계까지 최신 콘텐츠 트렌드 완전정복)
2023 콘텐츠가 전부다 (광고 품은 OTT부터 K-예능과 웹툰, 소셜 메타버스의 세계까지 최신 콘텐츠 트렌드 완전정복)
저자 : 노가영^김봉제^이상협
출판사 : 미래의창
출판년 : 2022
ISBN : 9791192519180

책소개

이제 콘텐츠는 ‘권력’이다
K-컨버전스의 2023, 콘텐츠 판을 읽어라!

국내 최초의 시즌제 미디어 트렌드북이자 콘텐츠 산업의 바이블이 된 〈콘텐츠가 전부다〉가 돌아왔다. 74년 에미상의 역사를 뒤집은 〈오징어 게임〉에 이어 〈지우학〉, 〈우영우〉, 〈수리남〉까지 K-드라마의 글로벌 성공이 계속되고, 〈스우파〉, 〈솔로지옥〉과 같은 K-예능마저 그 존재감을 뽐내며 K-콘텐츠의 상한가를 이어가는 지금,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될 최신 콘텐츠 트렌드는 무엇일까? 콘텐츠 산업 전반의 최신 트렌드와 미래 전망을 담은 《2023 콘텐츠가 전부다》에서는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가 광고 상품을 출시하고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앞다퉈 블록버스터를 선보이는 등 글로벌 OTT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커다란 변화부터 일본의 망가와 미국 코믹스가 주름잡던 글로벌 만화 시장을 점령한 웹툰의 비결, K-게임만의 오리지널리티를 통해 새로운 비상을 꿈꾸는 게임 산업, 그리고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실현되는 소셜 메타버스 세계의 이야기까지, 더 넓고 더 깊어진 시각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콘텐츠·미디어 판을 샅샅이 살펴본다.
특히 이번 시즌에는 저자들이 고심해 선정한 ‘2023 콘텐츠 트렌드 키워드’와 〈소년심판〉, 〈솔로지옥〉 등 K-콘텐츠를 대표하는 전문가 9인과의 ‘스페셜 인터뷰’를 선보인다. 이를 통해 지금 콘텐츠 산업의 화두는 무엇이고 관련 비즈니스는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비즈니스는 콘텐츠를 빼고는 논할 수 없고, 그 중심에는 단연 한국이 있다. 이제는 ‘권력’이 된 콘텐츠를 우리가 계속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제 한국을 언급하지 않고는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논할 수 없다”
- 넷플릭스 CEO 리드 헤이스팅스
2022년 7월, 서울 명동에서 열린 ‘넷플릭스 한국 예능 상견례’ 행사 자리에서 넷플릭스의 CEO인 리드 헤이스팅스는 위와 같이 언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K-콘텐츠가 차지하는 위상을 단번에 확인시켜줬다. 지난해 가히 신드롬급의 인기를 구사하며 비영어권 작품 최초로 에미상을 수상한 〈오징어 게임〉에 이어 〈지옥〉, 〈지우학〉, 〈수리남〉 등 K-드라마의 글로벌 바이럴은 올해도 계속됐으며, 좀비나 크리처물 같은 강렬한 장르물 일색에서 〈소년심판〉, 〈우영우〉 등 정통 스타일의 드라마가 크게 성공하며 K-드라마의 새로운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더 이상 할리우드의 하위 장르를 가성비 좋게 뽑아내는 스튜디오가 아닌, 우리만의 오리지널리티로 전 세계를 사로잡는 콘텐츠 경쟁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게다가 그 관심은 이제 예능으로까지 확장됐다. 사실 그동안 예능은 훨훨 나는 K-콘텐츠 사이에서 그 영향력이 약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유튜브 누적 조회 수 4억 뷰를 돌파한 〈스우파〉와 넷플릭스 비영어권 TV쇼 순위 4위에 오르며 글로벌 성공을 거둔 〈솔로지옥〉을 시작으로 당당히 ‘K-예능’이라는 칭호를 얻게 됐다. ‘K-콘텐츠 르네상스’의 주축인 드라마와 영화는 물론, 이제 막 그 울타리에 들어선 예능 콘텐츠의 흥미진진한 이야기까지 한 번에 만나보자.

콘텐츠와 플랫폼, 두 가지 모두 잡은 ‘웹툰’
K-콘텐츠가 나아갈 건강한 생태계의 모습을 제시하다
오늘날 미디어 비즈니스에서 ‘콘텐츠’와 ‘플랫폼’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글로벌 머니가 모여드는 콘텐츠 판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이 중 어느 하나라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 현재 우리의 상황은 어떤가? 공개와 동시에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독보적인 콘텐츠 역량은 이제 두말하면 입 아프겠으나, 콘텐츠가 유통되고 사용자가 모여드는 플랫폼 측면에서 보자면 여전히 찝찝한 구석이 있다.
그런 측면에서 K-콘텐츠 산업에서 가장 건강한 생태계는 단연 웹툰이다. 미국과 일본, 프랑스 등에서 플랫폼과 콘텐츠가 동시에 진입하며, 미국의 코믹스와 일본의 망가가 장악했던 글로벌 만화 시장에서 1~2위 사업자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콘텐츠와 플랫폼 모두에서 사업 주권을 갖고 ‘웹툰’이라는 생경한 장르를 전 세계에 전파한 점은 지극히 추앙받을 만하며 여타의 K-콘텐츠 산업들이 참고해볼 지점이다.

‘콘텐츠 트렌드 키워드’와 전문가 9인과의 ‘스페셜 인터뷰’까지!
더욱 강력해져 돌아온 《2023 콘텐츠가 전부다》
〈콘텐츠가 전부다〉 시리즈의 독보적인 장점 중 한 가지는 콘텐츠·미디어 산업 전문가인 저자들의 치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콘텐츠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성장에 제동 걸린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치열한 경쟁 구도와 광고 상품 도입 및 동서양의 플랫폼 결탁이 시작된 ‘OTT’부터 점차 동영상 플랫폼이 돼가는 ‘SNS’의 양상과 그 중심을 차지하는 숏폼 트렌드, 글로벌을 뒤흔들며 K-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을 제시하는 ‘웹툰’, 그리고 서브컬처와 콘솔, 이스포츠라는 키워드로 살펴보는 최신 ‘게임’ 산업과 소셜 플랫폼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메타버스’ 가이드까지 오늘날 콘텐츠 산업에서 주목받는 이슈들을 총망라했다.
한편 분야별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하면서도, 산업 전체적인 맥락에서 2023년의 콘텐츠 트렌드를 짚을 수 있도록 이번 시즌에는 특별히 12개의 키워드를 선정해 제시했다. 키워드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콘텐츠 산업의 최신 흐름과 2023년의 변화를 전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K-콘텐츠를 대표하는 전문가 9인과의 스페셜 인터뷰도 담았다. 올 한 해 큰 사랑을 받은 K-콘텐츠인 〈소년심판〉과 〈솔로지옥〉의 제작진, 전 세계 243개국, 6천여 개 팬덤이 활동하는 K-팝 플랫폼인 케이타운포유 대표, 코믹 숏무비라는 장르를 개척하며 단숨에 유튜브 스타로 등극한 너덜트 등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통해 평소 궁금했지만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콘텐츠 산업 이면의 생생한 이야기는 물론 실전 경험에서 나오는 노하우와 비즈니스 인사이트까지 만나볼 수 있다.
이제 콘텐츠는 ‘권력’이 됐다. 이는 우리 역시 단순한 콘텐츠 소비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함을 의미한다. 그 시작은 누가 뭐래도 콘텐츠 판의 변화와 최신 트렌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다. 이 또한 새로운 콘텐츠이자 치열한 비즈니스 전쟁에서 승기를 잡는 권력일 테니 말이다.


〈2023 콘텐츠 트렌드 키워드 12〉
K-콘텐츠 ┃ 광고 품은 OTT ┃ K-예능 ┃ 유튜브 예능 천국
숏폼 전성시대 ┃ 코믹숏무비 ┃ K-웹툰 ┃ K-스토리
콘솔 대란과 이스포츠 ┃ 서브컬처 ┃ 소셜 메타버스 ┃ 버추얼 인플루언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___4
2023년 콘텐츠 트렌드 키워드 12 ___14

Chapter.1 K-콘텐츠를 넘어 진짜 한국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OTT 주가 쇼크부터 디즈니의 마블 피로도까지 ___23
넷플릭스의 선택과 집중은 아시아와 K-콘텐츠 ___31
이제 OTT에서도 광고를? ___41
동서양 OTT가 결탁한 사정 ___53
한국과 한국인, 한국의 ‘Something’까지 궁금해! ___60
ㆍ 박민엽|길픽쳐스 대표, 드라마 PD / K-드라마, ‘이야기 자체의 힘’만으로 글로벌에 통하다 ___68
ㆍ 한정훈|JTBC 미디어 전문 기자 / 플랫폼은 죽고 콘텐츠는 사는 시대 ___27

Chapter.2 런닝맨-복면가왕-너목보를 지나 OTT 날개 단 K-예능
전 세계는 지금 ‘K-데이팅 리얼리티 쇼’ 앓이 중 ___79
K-예능의 레전드 포맷 변천사 ___83
솔로지옥으로 본 K-예능의 OTT 성공 법칙 ___98
TV 스타들, 유튜브 신대륙으로 대거 이동 ___106
ㆍ 지현숙|예능 작가 / K-예능의 탄생, 새로운 소재가 아닌 새로운 인물의 발굴 ___116

Chapter.3 어느 날 인스타에서 내 지인들이 사라졌다
동영상 플랫폼이 돼가는 소셜 네트워크 ___121
스낵형 미디어에서 비즈니스의 중심이 된 숏폼 ___134
스케치 코미디, 숏폼의 최강자는 바로 나 ___140
인생샷은 이제 그만, ‘리얼’을 향해가는 SNS ___148
크리에이터의 두 가지 무기: 커뮤니티와 찐팬 ___153
#HowtoMakeMoney, 이번엔 마이크로 실전 팁! ___162
ㆍ 너덜트|유튜브 크리에이터 / 유튜브 코믹 숏무비의 시작, ‘코믹+숏+공감’ ___171
ㆍ 최원준|케타포 대표 / K-팝 콘텐츠란 팬들과 연결되는 모든 것 ___174

Chapter.4 원작의 출발지에서 콘텐츠의 종착지가 된 K-웹툰
K-웹툰, 글로벌을 뒤흔들다 ___181
IP 확보, 총성 없는 전쟁이 시작되다 ___191
국내 웹툰 시장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 ___204
미디어의 경계를 넘나드는 웹툰의 콘텐츠 확장 ___213
ㆍ 한산이가|웹소설 작가 / 나와 내 직업의 이야기가 ‘대중의 콘텐츠’가 되는 순간 ___225
ㆍ 비자|인스타툰 작가 / 결국 콘텐츠의 본질은 그 안에 담기는 이야기 ___228

Chapter.5 K-게임, 제2의 비상을 준비하다
게임 한류, 부활에 성공할 수 있을까? ___235
한국에선 콘솔이 안 된다고 누가 그랬나 ___253
마이크로소프트가 블리자드를 원했던 이유 ___261
LoL, LCK, 롤드컵, 트위치, ‘ㅁㅍ’를 아시나요? ___269
ㆍ 변지훈|111% 블록체인 게임 계열사 대표 / 심플함과 스피드로 글로벌 유저를 잡아라 ___280

Chapter.6 가장 현실적인 가상현실, 메타버스
메타버스 프롤로그 ___287
#HowtoMakeMoney @메타버스 1. ‘이것’ 해서 돈 번다 ___295
#HowtoMakeMoney @메타버스 2. 초기 플랫폼 선점 ___302
메타버스에 사는 또 다른 이들, 버추얼 인플루언서 ___310
메타버스 문화의 꽃, NFT ___323
ㆍ 오제욱|디오비스튜디오 대표 / 버추얼 휴먼의 경쟁력은 외면이 아닌 내면의 스토리텔링 ___330

감사의 말 ___334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