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엄마의 마른 등을 만질 때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엄마 그리고 나)
엄마의 마른 등을 만질 때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엄마 그리고 나)
저자 : 양정훈
출판사 : 수오서재
출판년 : 2024
ISBN : 9791193238233

책소개

70대 엄마의 암 투병, 그 마지막 3년을 기록한 40대 아들의 이야기. 누구보다 억세고 단단했던, 하지만 이제는 작고 연약해진 엄마를 아들은 기록하기로 했다. 4기 말, 수술을 위해 배를 열었으나 암이 너무 퍼져 다시 배를 닫아야 했던 순간, 암이 잠시 줄어들어 평범한 일상을 되찾았던 시기, 재발을 진단받았던 날, 호스피스에서 천천히 숨을 멈추던 시간, 그리고 엄마가 떠나간 뒤 남겨진 것들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3년에 가까운 엄마의 투병 기간을 책에 담으며 한 가지 깨달은 것이 있다. “엄마는 한 번도 늦은 적이 없었다. 나는 언제나 엄마를 늦게 늦게 발견하고 말았다.” 엄마가 챙겨준 반찬, 엄마의 잔소리, 엄마의 걱정을 너무 늦게 알아차렸음을,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가장 늦게 발견했음을 뒤늦게야 깨닫는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순간 엄마의 말과 표정, 그리고 마음을 모른 척하고 지내왔는지를. 아들은 늙고 야윈 엄마를 보며 생각한다. 더는 늦지 않고 싶다고. 그 간절한 다짐이 책 곳곳에 녹아 있다. 사랑하는 이의 아픔을 함께 견디는 사람들, 누군가의 부재 앞에 오래 혼자였던 사람들이 덜 외롭기를 바라며 엄마와 함께한 마지막 시간을 건넨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가만히 옆에 앉아 마른 등을 만질 때.
당신 엄마가 되어주고 싶다고 생각한 때가 있다.”

아픔에 아픔을 잇고, 슬픔에 슬픔을 포개는 글
엄마의 암 투병, 그 마지막 3년을 기록한 아들의 이야기

“책을 읽으며 눈시울과 목울대가 동시에 뜨거워졌다.
눈물을 참고 울음을 누르며 책장을 넘기는 손끝이 축축했다.
이 축축함은 남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감각이다.”
-오은 시인 추천

매일 밤 아들은 엄마의 배를 마사지한다. 항암 부작용으로 배가 뒤틀리는 복통이 찾아오면 엄마의 배 구석구석을 쓸어내린다. 그러며 나지막하게 자장가를 부른다. 서서히 배가 따뜻해지면 엄마는 잠시 통증을 잊고 잠이 든다. 사람을 살리는 것은 의술이나 과학 같은 원대한 무엇이겠지만, 삶을 살리는 것은 이처럼 아주 작은 손길일지도 모른다. 유방암에 이어 자궁암을 진단받은 70대 엄마와 그 곁을 지키는 40대 아들의 이야기는 사랑의 또 다른 이름으로 다가온다. 누구보다 억세고 단단했던, 하지만 이제는 작고 연약해진 엄마의 마지막을 아들은 기록하기로 했다. 4기 말, 수술을 위해 배를 열었으나 암이 너무 퍼져 다시 배를 닫아야 했던 순간, 암이 잠시 줄어들어 평범한 일상을 되찾았던 시기, 재발을 진단받았던 날, 호스피스에서 천천히 숨을 멈추던 시간, 그리고 엄마가 떠나간 뒤 남겨진 것들을 이야기한다.
삶과 죽음의 위태로운 경계에서도 엄마와 아들은 서로 사랑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한강에서 산책을 하며 춤을 추고, 나란히 병실에 누워 과거와 미래를 그렸다. 가장 불행한 시간은 동시에 가장 행복한 시간이 되기도 했다. 엄마의 보호자가 된 아들은 아픈 엄마의 등을 어루만지며 생각한다. “당신 엄마가 되고 싶다.”고. 암 따위가 멈추지 못한, 통증과 슬픔이 뒤엎지 못한 삶이 여기 있다.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사람, 엄하고 단단했던 사람
그러나 이제는 나보다 작아진
엄마라는 한 사람에 관한 기록

양정훈 작가는 엄마의 암 투병이 시작된 후에야 그의 삶이 보였음을 고백한다. 병원 진료와 수술, 항암을 옆에서 돌보기 위해 20년 만에 엄마와 함께 살게 되며 그동안 보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발견한다. 시골집을 탈출해 서울로 식모살이 가는 게 꿈이었던 소녀, 하루 스무 시간 쉬지 않고 풍선을 불던 여공, 장롱 하나를 마련하지 못해 눈칫밥을 먹던 새댁, 정작 자신의 보험금은 아까워 쓰지 못했던 보험회사 직원. 새로 알게 된 엄마가 선명히 보였다. 딸이자 여자이며, 아내이자 어머니이고, 무엇보다 당신 자신으로 살았던 삶을 대신 기록하고자 했다.
저자는 3년에 가까운 엄마의 투병 기간을 책에 담으며 한 가지 깨달은 것이 있다. “엄마는 한 번도 늦은 적이 없었다. 나는 언제나 엄마를 늦게 늦게 발견하고 말았다.” 엄마가 챙겨준 반찬, 엄마의 잔소리, 엄마의 걱정을 너무 늦게 알아차렸음을,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가장 늦게 발견했음을 뒤늦게야 깨닫는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순간 엄마의 말과 표정, 그리고 마음을 모른 척하고 지내왔는지를. 아들은 늙고 야윈 엄마를 보며 생각한다. 더는 늦지 않고 싶다고. 그 간절한 다짐이 책 곳곳에 녹아 있다.

“우리는 무지하고 사랑할 시간은 많지 않으니까.”
서로의 슬픔을 다정히 만지는 글

“모두가 아프거나 아픈 이 곁에 있었다.” 저자는 엄마를 돌보며 아픈 사람들과 그 곁을 지키는 사람들을 만났다. 항암 주사를 맞는 여덟 살 아이와 그 부모를, 중풍에 걸린 아내의 걸음에 맞춰 산책하는 남편을. 사랑하는 이의 아픔을 함께 견디는 사람들이 보였다. ‘환자’와 ‘보호자’ 오직 그뿐인 차가운 병원 속에서 마주한 위로와 희망의 순간들을 담았다.
누군가 자신의 가장 약하고 아픈 부분을 꺼낼 때, 실은 나도 그렇다고 고백하게 된다. 위암 진단을 받았다는 동료의 이야기에 저자는 엄마의 투병 사실을 꺼낼 수 있었고, 다른 동료 역시 형제가, 친한 친구가 암이나 심각한 질병과 싸우고 있음을 털어놓는다. 서로의 아픔과 슬픔을 공유한 것만으로, 그럼에도 무너지지 않고 일상을 견디고 있음을 알게 된 것만으로 큰 위안이 된다. 저자가 이 책을 전하는 이유도 같다. 가까운 이의 마지막을 지켜보는 사람들, 누군가의 부재 앞에 오래 혼자였던 사람들이 덜 외로웠으면 하는 바람뿐이다. 자신과 비슷한 시기를 지나는 이들이 부디 절반만 슬퍼하기를, 곁에 남은 이들을 더 깊이 사랑하기를 바라며 엄마와의 마지막 시간을 건넨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_ 먼 길을 헤매는 동안 제자리에서 기다리던 사람이 있었다

1부 그럴 수 없는 일
징조 | 소란 | 거짓말 | 진단 | 감 | 집을 나서며 | 붙잡고 싶은 | 이상한 산책 | 병원과 사람들 | 수술


2부 다 이렇게 사는 줄 알았어
침상 | 희소암 | 전국노래자랑 | 요양병원 | 국 | 정거장 | 항암 | 주사실 아이 | 주름 | 밥상 | 고백 | 응급실 | 그곳에서 | 기다린 말

3부 제자리에 있는 것들
그럴 것 같아요 | 장독 | 여행 | 새해 | 소식 | 이름 짓기 | 들풀 | 고딩이 | 혈관 | 발 | 부작용 | 당신이 아픈 건 | 좋은 살림 | 기적 같은

4부 이팝나무 새순으로 돋아날 거라면
계속 | 봄의 경주 | 누군가 물으면 | 농담 | 떠날 때 | 이팝나무 | 추모공원 | 대전과 서울 | 책 | 어죽 | 비슷한 슬픔 | 수선화 | 새댁 | 고양이 | 연명치료거부의향서 | 죄인들 | 미운 엄마 | 불길한 신호

5부 오래 연습한 말
여공 | 종양표지자 | 다시 처음으로 | 구멍 | 어째서 | 팔순 | 변명 | 새로운 복통 | 진료공장 | 자장가와 기도 | 머리카락 | 당부 | 두 번째 삭발 | 모퉁이에서 | 그날

6부 너는 어떻게 나에게 왔을까
말 하나 | 돌아갈 곳 | 연명의료서 도착 | 빼앗긴 소리 | 같고 다른 시간 | 엉망이 되어간다 | 혈전 주사 | 나는 나는 | 절망 | 전이 | 통화 | 그래도 | 선고

7부 정훈아 미안해
이훈이에게 | 무례한 | 쪼깐이 | 반드시 희망이 | 마지막 약 | 세 점 | 변화 | 입원 | 검은 날들 | 남은 시간 | 모과 | 신기루 병실 | 호스피스 | 언젠가는 | 순간들

8부 슬픔이 슬픔에게
봄날 | 투정 | 남은 것 | 미안하다1 | 미안하다2 | 말의 숲 | 둘 | 한강공원 | 하루 | 배신할 수 없는 | 다 아는 바다

에필로그_ 나도 당신처럼 울었고 당신도 나처럼 울지 못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