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불멸의 자각 2 (깨달음을 통해 드러나는 삶과 죽음의 실체)
불멸의 자각 2 (깨달음을 통해 드러나는 삶과 죽음의 실체)
저자 : 진경
출판사 : 솔커뮤니케이션
출판년 : 2018
ISBN : 9791195856268

책소개

깨달음에 대한 기존의 관념은 잊어라!

동서고금을 통틀어서, 지금까지 인문학서와 철학서 및 종교서를 망라하여 신과 진리, 삶과 죽음(사후세계)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상관관계를 이렇게 명쾌하게 접근한 책은 없었다!

저자는 700여 가지의 다양한 질문에 대하여, 질문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기모순을 자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상식적이면서 동시에 파격적인 답변을 제시한다.이를 통해, 상식과 이성적 논리, 그리고 진정성이 가미된 통찰만으로 누구든지 자기 자신과 신과 진리와 삶과 죽음에 대해 지금까지 가졌던 통념적 믿음의 허구성을 스스로 밝히고 자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성현들이 가리킨 그 ‘깨달음―깨어남―깨어 있음’이 결코 특정인의 전유물이나 권위적 상징이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이고 당연한 상식임을 밝혀주고 있다.

최종적으로 저자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단 하나의 의문을 가지고, 자신에 대해 바로 알고자 하는 그 진정성에서 출발한다면, 누구나 자기 오류를 스스로 자각하고, 그 무지의 속박에서 자유로운 제정신으로 거듭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1권은 자기 자신과 깨달음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2권은 신과 진리 그리고 삶과 죽음(사후세계)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주제로 한 문답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류의 근원적 질문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금세기 최고의 대담록!

“통찰! 천문천답으로 이어지는 놀라운 지성의 파노라마!”



조건 없이 ‘사랑’할 수만 있다면

이미 바로 ‘그것’입니다



왜냐하면 무조건적인 ‘사랑’은

진리만의 성품이기 때문입니다



>



동서고금을 통틀어서, 지금까지 인문학서와 철학서 및 종교서를 망라하여 신과 진리, 삶과 죽음(사후세계)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상관관계를 이렇게 명쾌하게 접근한 책은 없었다!



저자는 700여 가지의 다양한 질문에 대하여, 질문자 스스로 자연스럽게 자기모순을 자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상식적이면서 동시에 파격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상식과 이성적 논리, 그리고 진정성이 가미된 통찰만으로 누구든지 자기 자신과 신과 진리와 삶과 죽음에 대해 지금까지 가졌던 통념적 믿음의 허구성을 스스로 밝히고 자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성현들이 가리킨 그 ‘깨달음―깨어남―깨어 있음’이 결코 특정인의 전유물이나 권위적 상징이 아니라 인류의 보편적이고 당연한 상식임을 밝혀주고 있다.



최종적으로 저자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단 하나의 의문을 가지고, 자신에 대해 바로 알고자 하는 그 진정성에서 출발한다면, 누구나 자기 오류를 스스로 자각하고, 그 무지의 속박에서 자유로운 제정신으로 거듭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



1권은 자기 자신과 깨달음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2권은 신과 진리 그리고 삶과 죽음(사후세계)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주제로 한 문답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프롤로그



통찰! 천문천답(天問天答) ― 지성적 이해(理解)를 통해 무지(無知)의 실체를 밝힌다.



인간에게는 역사를 이어 오는 동안에 수없이 많은 고난과 역경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매번 인간들은 그러한 고난과 역경 앞에서 ‘스스로’의 비정상적 한계를 실감하면서, 그러한 한계를 타파해 줄 ‘무언가’에 의지하고 의존하며, 그러한 기대감을 충족시켜 줄 ‘무언가’를 찾아서, 인류문명과 문화와 종교가 발전을 해 왔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에서 때로는 오해와 갈등으로 인한 대립이 극으로 치달았고, 그로 인해 “인간의 존엄성”이 물질가치보다, 이념 가치보다, 사상 가치보다, 종교와 철학적 가치보다 경시되어왔습니다. 비록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라 할지라도 말입니다.



저와 함께 많은 분들이 지성적 이해를 통해 무지의 실체를 알고 밝혀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일깨우고 깨우침으로 해서, ‘인간 정신의 위대함’을 일깨워 나가 보고자 합니다. 이것은 저 자신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모든 지성 인류의 이야기가 될 것이며, 자산이 될 것입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인가?



무엇이 되든지, 무엇을 이루든지, 무엇을 믿고 의지하고 의존하고 따르든지, 어떠한 ‘삶’을 살아가든지, 그러기 이전에 ‘자기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인지를 먼저 알고 깨우치는 것이 상식 중의 상식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자기 자신’에 대한 상식적 ‘깨달음’과 인간 정신과 더불어서 ‘보편진리’와의 거부할 수 없는 상관관계를 밝혀 나가 보고자 합니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이 의문으로 남는 것이 아니라 ‘나’는 누구인가? 그 자체로 자유롭다



구도자와 수행자들은 ‘나는 누구이며 무엇이다’를 기본적 자기 정의로 전제하고서 ‘나는 누구이며 무엇인가?’라는 ‘존재’적인 측면의 의문을 해결하려고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문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육신과의 동일성으로 비추어진 ‘지금의 나’ 즉 ‘나는 누구이며 무엇이다’라고 전제로서 여기고 있는, 그 믿음을 먼저 해체시켜야 한다.



정말 ‘나’는 누구이기는 한 걸까? 정말 ‘나’는 무엇이기나 한 걸까? 지금까지 당연시 여기고 있던 이것이 정말 ‘나’일까?



저자는 ‘지금의 나’에 대한 믿음을 먼저 해체하는 것이 진정으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믿음을 해체하고 나면, 남는 것은 오직 “나는 누구인가?”밖에 없고, 그 측면에서 “나는 누구인가?”는 지극히 상식적이며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한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주제로 700여 가지 질문과 대답을 통해, ‘인간 정신의 위대함’과 신과 진리, 삶과 죽음(사후세계), 그리고 자기 자신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렇게까지 구체적으로 접근한 책은 없었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어떤 방법과 어떤 상태가 아닌, 상식적인 통찰과 자각만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자기 자신’을 오해했던 점에 대해서,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에필로그



한 사람으로 태어났으며, 살아가고 있다고 여기고 있는 동안은, 누구든지 예외 없이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은 너무나 명백합니다. 왜냐하면 태어나고 살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련의 모든 일들이, 자기 자신의 뜻이자 의지이자 ‘마음먹기’라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즉 알지 못한다는 것은 무의식상태이며, 무의식상태 속에서 능동적 주체라고 여기는 경험의 주체는 단지 꿈속의 배역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자기 자신의 뜻이자 의지이자 마음먹기라는 것을 ‘자각’하지 못한다면, 지각되어지고 인식되어지는 모든 일과 경험과 더 나아가서는 지각과 인식의 주체조차 자기 자신의 무의식이 그려내는 꿈에 불과하다는 것은 너무나 명백합니다. 왜냐하면 지각과 인식은 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경험은 육신의 감각기관에 의존을 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육신을 자기 자신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육신의 감각기관에 의존하여 경험하고, 그 경험을 토대로 지각과 인식을 하는 일련의 모든 일들을 ‘사실’적으로 받아들이며 다양하고 수많은 ‘의미’를 부여한다면, 그 어떤 ‘삶’이라 할지라도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드시 ‘끝’이 날 것이며, 그에 따라서 ‘삶’은 무의식이 그려내는 무의미한 ‘꿈’에 불과할 것입니다.



세상에는 부를 얻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있으며, 다양한 명예가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선택의 여지가 있으며, 행복 또한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육신과의 동일시로 인한 ‘지금의 나’와 ‘자기 자신’이라고 하는 분명한 사실관계가 있기 때문에, ‘깨달음―깨어남―깨어 있음’은 선택의 여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너무나 자연스러운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니 누구든지 비록 살아가고 있다고 여기고 있는 동안이라 할지라도 해야 할 최우선 순위는 부를 얻고 명예를 얻고 행복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바로 알고 깨어나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깨어남’은 상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생각을 하고 있으며, 누구나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존재의 의미와 이유를 찾아야 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존재의 원인’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존재의 의미와 이유는 ‘존재’에게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원인’으로부터 비롯되어지며 찾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누구든지 동일시로 인한 오해 즉 ‘지금의 나’에게는, 거부할 수 없는 ‘존재의 원인’으로서의 ‘더 사실적인 나’가 있으며, 더 사실적인 ‘나’로 자각하며 제정신을 차려야 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점이 생각을 하며 ‘의문’할 수가 있는 오직 인간 정신만의 유일한 ‘숙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살고 조금 더 가지고 조금 더 누림을 추구하는 삶은 반드시 육신의 죽음과 함께 깨어질 것이며, ‘죽음’이라는 가상의 현상에 의해 깨어질 삶은 어떤 의미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거듭 말하지만 단지 꿈에 불과할 뿐입니다.



수천수만 년 동안 인류는 자유와 정의와 평화와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왔고 살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도 그렇게 추구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왜냐하면 언제 어느 때고 자유와 정의와 평화와 행복이 온전하게 실현되었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온전히 실현될 수가 없었던 이유는 단언컨대 구속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여겼기 때문이며, 불의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여겼기 때문이며, 분쟁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여겼기 때문이며, 불행의 실체를 사실적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무의식상태에서, 즉 무지의 상태에서 추구하는 그 어떤 것 그 어떤 ‘이상향’이라 할지라도, 비록 명분이 분명하고 뚜렷하여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는다 할지라도, 단언컨대 완전을 지향하는 영원한 미완성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꿈은 반드시 깨어나야 하며 자유와 정의와 평화와 행복은, 구속이 사라지고 불의가 사라지고 분쟁이 사라지고 불행이 사라져야 성취되는, 조건적 상황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아니라 ‘내적 자각’을 통해서 그 실체를 바로 알 때 무조건적으로 성취된다는 것을, 보다 많은 분들에게 알려주고 싶습니다.



단언컨대 자기 자신에게 보다 깊은 관심을 기울일 때, 비로소 신에 대한 이해와 진리에 대한 이해와 삶에 대한 이해가 일어날 것입니다. 왜냐하면 스스로인 ‘나’는 일체로서 ‘하나’이며 가장 보편적이며, 무엇보다도 항상 ‘자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인가? ? (질문1~10)

‘나 자신’에 대한 의문과 통찰!



Ⅱ ‘깨달음’은 무엇인가? ? (질문11~40)

‘나는 무엇이며, 누구이다’의 ‘깨달음’은 상상에 불과!



Ⅲ 모든 작용의 유일한 원인은 ‘나’ ? (질문41~70)

존재의 시작과 끝!



Ⅳ 모든 지성이 우주의 중심! ? (질문71~100)

모든 지성 인류는 ‘신’의 인격화!



Ⅴ 사후세계 ? (질문101~130)

무지로 인한 두려움을 달래기 위한 상상과 추측!



Ⅵ 죽음이란 무엇인가? ? (질문131~160)

육체는 스스로 살아 있었던 적이 없다



Ⅶ 드러나지 않는 역동성! ? (질문161~190)

더 사실적인 역동성은 드러나지 않으며, 알려지지 않는다



Ⅷ 인간 정신의 실체와 초탈 ? (질문191~220)

‘나’는 모든 원리의 근본이며 바탕



Ⅸ 의식적 죽음과 거듭남 ? (질문221~250)

통찰의 심화



Ⅹ ‘신’은 존재하는가? ? (질문251~280)

‘한계’가 없다면 ‘신’은 존재할 수 없으며, 한계가 있다면 ‘신’이라 할 수 없다



? ‘진리’에 대한 포괄적이며 보편적 이해! ? (질문280~327)

‘자기 자신’에 대한 공부는 필연이자 숙명이며 상식!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