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공학을 생각한다 :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공학을 생각한다  :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 박중서 옮김
Contents Info
공학을 생각한다 :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자료유형  
 단행본
 
170816081648
ISBN  
9791187980186 03400 : \18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KDC  
530.04-4
청구기호  
530.04 P497공
저자명  
Petroski, Henry
서명/저자  
공학을 생각한다 :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 박중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반니, 2017
형태사항  
399 p : 삽화 ; 22 cm
주기사항  
색인수록
원저자/원서명  
(The)essential engineer : why science alone will not solve our global problems
키워드  
공학 공학이야기
기타저자  
박중서
기타서명  
과학 뒤에 가려진 공학의 재발견
기타저자  
페트로스키, 헨리
가격  
\18,000
Control Number  
yscl:124684
책소개  
과학에 가려진 공학의 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은 바로 공학이다

왜 과학이 공학보다 높게 평가되는 것일까? 과학자들이 공기와 식수에 들은 미생물이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공학자들이 여과 및 소독 기술을 개발하고서야 식수에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미국 내의 장티푸스 발생 빈도는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 이런 환경공학자의 업적 덕분에 삶의 질이 높아졌지만, 사람들은 이것이 과학의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공학자의 작업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나 다른 전문가와 공조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정받는 경우가 드물다. 과학적 추구는 고상하고 공학적 업적은 실용적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과학이 높게 평가되는 것이다. 과학을 위한 과학은 굳이 눈에 보이는 목표나 대상이 필요 없다. 공학은 문제를 해결하지만, 단순히 고장 난 기계를 고치는 것이 아니다. 물건을 고친다는 인식 때문에 사람들은 공학자(engineer)와 기관사(engineer)를 혼동하지만, 후자가 눈앞의 선로에 집중하는 반면, 전자는 주변 시각이 발달하여 미래까지도 예견하고 새로운 기계를 착상하고 설계하고 현실화한다.

공학과 과학은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정말 어렵지만, 공학자는 20세기를 대표한다. 공학자가 없었더라면 우리의 삶은 결코 현재의 표준에 이르지 못했을 것이다. 인류의 진보와 안위에서 공학자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만, 많은 이들의 눈에는 모호해 보이고 그 역할은 온전히 이해받지 못한다. 공학과 과학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뿐 아니라, 비슷한 방식으로 말하고 유사한 수학 방정식을 놓고 고민한다. 과학자의 일이 어디에서 끝나고 공학자의 일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는지 판정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나 공학은 세계를 연구할 뿐 아니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와 환경, 공중보건에 관한 거시적 문제이든, 상수도나 오염, 나노 독소에 관한 미시적 문제이건 간에 공학적 접근법은 문제를 해결하는 필수적인 요소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lle info

Material
número de libro número de llamada Ubicación estado Prestar info
0091902 530.04 P497공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