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기생충
기생충 / 한국미디어문화학회 엮음
내용보기
기생충
자료유형  
 단행본
 
200301115689
ISBN  
9788957867228 04680 : \12000
ISBN  
9788957866078(세트)
KDC  
688.0911-4
청구기호  
688.0911 한155ㄱ
단체저자  
한국미디어문화학회
서명/저자  
기생충 / 한국미디어문화학회 엮음
발행사항  
서울 : 연극과인간, 2020
형태사항  
208 p ; 19 cm
총서명  
〈천만 영화를 해부하다〉 평론 시리즈 ; 5
주기사항  
한국미디어문화학회: 정지욱, 김영아, 박언영, 이경희, 김영상, 조수진, 김형래, 유봉근, 정영희, 신종락, 곽정연
키워드  
기생충 한국영화
기타저자  
정지욱
기타저자  
김영아
기타저자  
박언영
기타저자  
이경희
기타저자  
김영상
기타저자  
조수진
기타저자  
김형래
기타저자  
유봉근
기타저자  
정영희
기타저자  
신종락
기타저자  
곽정연
가격  
\12,000
Control Number  
yscl:155589
책소개  
2019년 〈기생충〉은 한국에서 태어나 바다를 건너 넓은 세상으로 나아갔다. 프랑스의 깐 영화제에서 단번에 하나의 사건이 되더니,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작품상, 각본상, 감독상, 국제장편영화상을 휩쓸었다.
〈기생충〉은 이제 해명이 필요한 하나의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한국영화사에서 수없이 많은 영화가 나왔지만 〈기생충〉만큼 세계적인 관심과 논쟁을 불러일으킨 영화는 흔치 않다. 국내외 영화제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영화가 되면서, 이대로 가면 튼튼하게 세워진 하나의 기념비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기생충〉이 담고 있는 이야기의 많은 부분은 한국인만이 경험했음직한 상황을 담은 특별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고 우려했지만, 외국의 관객들이 각자 자기네 나라의 상황과 치환하여 영화를 받아들인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한국 특유의 상황을 묘사하는 영화임에도 빈부 격차나 사회적 계급의 전치 관계는 전 지구적으로 풀어야 할 공동의 과제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유럽이나 미국과 전통적인 문화의 차이를 경험하지만, 산업화 이후 기술적 표준은 영화라는 호환 가능한 플랫폼을 공유하고 있다고 본다. 디지털 시대의 국제적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보편화하는 것이 열쇠가 될 것이다. 봉준호는 그의 영화 내부에 세계적으로 공유 가능한 미디어 기술의 표준화된 코드를 심어놓았다.
기술적 표준 앞에 동양과 서양의 관객은 구별되지 않는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미국의 케이블 채널 HBO의 TV 드라마로 제작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기생충〉의 여러 한국적 캐릭터들이 유로 아메리칸 문화에 걸맞은 새로운 이야기 상황을 만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 영화가 예술적 사건, 사회적 현상, 역사적 기념비로 변해가는 모습을 목도하면서 우리는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가야 한다. 영화란 무엇이며, 예술성과 흥행성은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이야기는 어떻게 주조하거나 구축되어야 하며, 새로운 천만 영화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자리매김 되어야 하는가 질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영화의 내부로 들어가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작업의 일환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098958 688.0911 한155ㄱ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