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 홍찬숙 지음
내용보기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66840807 93330 : \17000
KDC  
331.54-5
청구기호  
331.54 홍229ㅎ
저자명  
홍찬숙
서명/저자  
한국 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문화변동 : 세대 및 젠더 갈등의 사회적 맥락 / 홍찬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세창, 2022
형태사항  
263 p : 삽화 ; 23 cm
주기사항  
권말부록: 홍찬숙·한정숙·오현미·김보명(2019)의 조사방법 ; 비공개 공동연구의 조사방법(질적 연구)
주기사항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기증한 도서입니다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4-258
키워드  
한국사회 개인화 문화변동 사회학 사회학이론
가격  
\17000
Control Number  
yscl:167430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는 ‘사회변동’ 관점에 기초하여, 한국 사회에서 관찰되는 문화변동과 정치변동을 압축적 개인화라는 한국 사회 특유의 근대화 경로를 통해 설명했다. 서구의 순차적 개인화와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의 가장 큰 차이는, 전근대적 가부장제의 지배에서 해방을 꾀하는 근대적 ‘자유’의 주체가 서구에서는 시민계급 남성이었으나, 한국에서는 현재 청년여성들로 수렴되고 있다는 것이다. 청년여성은 서구의 페미니즘 담론을 들여와 의지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의 청년남성은 자신들의 문제를 표현하고 분석하며 규범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담론을 스스로 생산해야만 한다.

‘극우화’는 ‘근대성의 야만’, 즉 ‘이성’의 이름으로 집단적 이해를 정당화해서 타 집단을 ‘생물학(=과학)’적으로 타자화하고 또 그 과정에서 권력이나 헤게모니적 지배뿐만 아니라 폭력의 사용까지 정당화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에서 극우화는 과거 권위주의 정권으로의 퇴보와 같은 이념적 성향 및 그와 발맞추는 온라인 청년문화로 이해된다. 이것은 사회적 소통의 중요성을 말해 준다. 새로운 규범을 출현시킬 담론화의 과정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사회적 갈등과 욕구가 어떻게 한순간 근대성의 야만으로 창발하는지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불평등의 현실을 가감 없이 인지하고, 복잡하더라도 제반 문제에 맞는 적절한 해결법을 찾는 사회적 소통을 이루어 가기를 요청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06453 331.54 홍229ㅎ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