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The Vision)과 한국문학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The Vision)과 한국문학 / 한순미 지음
内容资讯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The Vision)과 한국문학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8498800 93800 : \24000
KDC  
810.9062-5
청구기호  
810.9062 한159ㄱ
저자명  
한순미
서명/저자  
격리-낙인-추방의 문화사 :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The Vision)과 한국문학 / 한순미 지음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형태사항  
402 p : 삽화 ; 23 cm
주기사항  
부록: ハンセン病の記錄を分散させる文?の示威
주기사항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기증한 도서입니다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70-392
기금정보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4A01020194)
키워드  
한국문학 한국문학평론 한센병 문화사 격리 낙인 추방
가격  
\24000
Control Number  
yscl:167561
책소개  
한센병 계몽 잡지 《새빛》(The Vision)
잡지 《새빛》은 원래 1963년 《서광》이라는 이름으로 발간하던 잡지를 1964년 8월(제2권 4호)에 개간한 것이다. 《새빛》(The Vision)은 나병 치료/예방/계몽이라는 3대 목표로 설정해 구라 사업을 전개했다. 국내의 나병 치료와 예방, 계몽사업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세계 각국의 요양소 상황을 소개하는 작업을 통해 구라사업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에 기여했다. 나병 계몽 정책을 수립하고 계몽 운동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크게 공헌했다. 그런데 누가 해박한 의학 지식과 대부분 한자어로 적힌 잡지《새빛》을 읽었던/읽을 수 있었던 것일까. 이 잡지는 과연 한센인들의 입장에서 발언할 수 있었을까.
ㆍ한센병 관리 통치정책과 대중감성의 변화: 의학지식의 대중화
잡지 《새빛》의 발행인이자 한센병 권위자 유준(柳駿, LEW Joon) 박사는 1962년에 ?나병(癩病 LEPROSY)?를 출간하였다. 《새빛》은 투병기, 생활수기 등을 비롯해 치료와 예방 등에 관한 의료계 소식, 대중 의학 강좌, 계몽 광고, 문예 작품 등 광범위한 자료들을 수록했다. 한센병 관리 통치 정책과 대중 인식의 변모를 살펴볼 수 있다.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나병의 위험과 안전」 등 계몽 광고들은 주관 기관의 성격에 따라 내용과 형식이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며 게재면의 위치도 달라졌다. 《새빛》 1972년 11월호와 《복지》 1972년 11월호 (사단법인 대한나협회)에는 동일한 제목의 광고 「나병은 낫는다」가 게재되었는데 그 내용은 차이가 있다. 계몽의 일환으로 계몽 영화 「그대옆에 가련다」, 나병 계몽극 「미련한 팔자대감」, 계몽만화, 방송극 등 다양한 문예작품들이 활용되었다. 거기에는 한센인/한센병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동정과 연민의 감정이 동시에 담겨 있다.
ㆍ한국 한센병 문학의 계보와 자전서사
잡지《새빛》에는 다수의 한센인 작가들이 어둠 속에 묻혀 있다. 무명생(無名生)/심숭(沈崧), 윤지영(尹之影), 한하운(韓何雲), 김백(金白), 노석현(盧碩賢), 심전황(沈田潢) 등을 중심으로 한국 한센병 문학 계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하운의 연재글 「세계나문학소사(世界癩文學小史)」 「월평선」, 「소록도의 반세기」 등에서 한센인들이 남긴 실화소설, 수기, 역사 기록, 자전문학 등을 만날 수 있다. 무명생/심숭의 『낙화유수』와 『애생금』, 윤지영의 시집 『축복』(1959), 노석현의 창작집 『몇 개의 고독』(1971)과 『오계』(1982) 등에서 한센인들의 이미지와 감각, 표상과 정체성의 변화를 읽었다. 전라남도 나주호혜원에서 지냈던 김백은 「구라상(救癩像) Pioneer’s Profile貌」에서 포사이트(Forsythe), 얼빈(Ervin), 매캔지(Mackenzie), 윌슨(Wilson) 등 외국 선교사 의사들, 그리고 최흥종(崔興琮), 손양원(孫良源) 목사 등 나병 치료와 퇴치에 헌신한 국내외 구라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했다. 국립소록도병원 문예실에서 근무했던 심전황은 소록도의 역사와 이야기를 토대로 『소록도 반세기(小鹿島 半世紀)』(1979)를 연재, 출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족하게나마 시인 한하운 외에 조명받지 못한 다수의 한센인 작가들을 드러낼 수 있길 바란다. 한센인 작가들이 남긴 문학작품 및 관련 자료들을 발굴, 수집하는 일은 지속해야 할 과제이다.
ㆍ기독교/반공주의, 정착촌사업과 새마을운동
《새빛》에서는 한센병의 발병과 전파에 관한 다양한 가설을 제기하고 있는 글들을 만날 수 있다. 한센병 발생과 전파, 유행 양상에 관해 지리적 조건 및 풍토의 특성에 근거해 설명하거나, “북괴”에 의한 “세균전” 등과 같은 (가)설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견해는 위생 보건 정책을 수립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섬세하게 읽어볼 필요가 있다. 한센병 발생과 전파 경로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은 한국과 일본 한센병 관계자들 및 요양소 환우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던 시기에 나온 것으로 섬세한 분석을 요구한다.
ㆍ한국과 일본 한센병 관계자들의 교류: 재일한센인들의 기록
《새빛》 1965년 6월호에는 ‘일본 장도애생원 한국인동지회’(1965. 4. 22)가 보낸 「재일교포 환우의 호소」라는 글을 게재해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 재일한센인들의 실상을 알렸다. 이어서 일본 요양소 애생원(長島愛生園)과 광명원(邑久光明園) 등지에 거주한 재일교포 한센인들의 생활을 소개했다. 재일교포 환우 수기 「형극(荊棘)의 반생기(半生記)」 「한센 환우의 신앙수기」 등 일본 한센인의 기록을 장기간 연재하였다.
ㆍ곁에서 쓴다는 것: 기록을 분산하는 (문학의) 힘
이 책에서 사용한 ‘곁에서 쓴다는 것’이라는 표현으로, 저자는 근대 이후 일제강점기에서 유신 체제기를 거쳐오는 동안 누적된 한센병 문학 자료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기록/재현하는 주체의 각도를 달리하면서 섬세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기록을 분산하는 문학의 ‘시위’(revelation)라는 표현은 체계적인 역사 기록에 대항한 ‘무질서/혼란/시위’chaos/confusion/demonstration를 연상하기 위해 사용한다. 손길이 아직 닿지 않은 자료들이 많다. 아껴둔 것들도 있다. 이 책은 ‘나병 계몽 잡지’ 《새빛》(1964~1979)을 중심으로 나병 계몽 운동의 흐름과 함께 한국의 한센병 문학 자료를 소개하는 기초 연구이다. 향후 본격적인 한센병 문학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첫걸음에 해당한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高级搜索信息

材料
注册编号 呼叫号码. 收藏 状态 借信息.
0106313 810.9062 한159ㄱ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保留在借用的书可用。预订,请点击预订按钮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