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연극으로 사유하는)한국신화
(연극으로 사유하는)한국신화 / 김성희 지음
내용보기
(연극으로 사유하는)한국신화
자료유형  
 단행본
 
0015942845
ISBN  
9788957867891 93680 : \22,000
KDC  
680.1219.11-4
DDC  
792.01201.3-23
청구기호  
684.011 김699ㅎ
서명/저자  
(연극으로 사유하는)한국신화 / 김성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연극과인간, 2021
형태사항  
499 p. ; 23 cm
주기사항  
이 도서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선정한 2022년도 우수학술도서로 교육부의 지원으로 구입 배부한 것임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기금정보  
이 저서는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됨
기타저자  
김성희
기타서명  
한국신화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링크정보보기
Control Number  
yscl:167878
책소개  
이 책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정서의 원형질을 이루는 한국신화를 깊이 있게 읽어보고, 또 그 신화가 오늘날 어떻게 해석되고, 무대 위에서 어떤 이야기로 새롭게 변형되고 재창조되었는지, ‘이야기’의 연속성과 차이를 비교해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신화의 의미와 은유성, 그리고 신화가 시대적 간극을 넘어 현대의 우리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어떻게 이 시대를 함축한 새로운 이야기를 파생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문화의 원형적 상상력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한국신화가 이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로 새롭게 재해석되고 재창조되었는지를 ‘상상력’과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 읽어보려는 것이다. 하나의 이야기가 새로운 이야기들을 파생시키며 끊임없이 다양한 이야기들로 만들어지듯이, 신화 또한 세계 여러 나라의 신화들과 그 주제나 스토리텔링이 연결된다. 그래서 한국신화만이 아니라 비슷한 주제로 묶이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신화들이나 이야기도 함께 읽어보려 한다. 또, 한국신화의 보고로 일컬어지는 삼국유사에 기술된 신화적/역사적 서사, 문화적 기억이 오늘의 연극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새롭게 재창조 되었는지를 읽어볼 것이다. ‘현재와 과거의 대화’를 통해 신화의 원형적 삶과 오늘의 삶의 연속성과 차이, 인생의 여정과 통과 의례적 의미를 사유해 보고자 한다.
신화는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오래된 이야기이자 신성성을 가진 이야기이다. 김열규에 따르면 한국신화의 주요한 특성은 인본주의적이고 인간을 중심으로 삼는 것이다. 인간 사고의 두 극인 ‘나를 향한 내적인 성찰’과 ‘세계를 향한 외적인 관찰’이 담겨 있는 것이 한국신화이다. 신화가 세계와 인간의 기원부터 죽음, 죽음 이후까지 사유하고 있는 상상체계를 가진 것이라 했을 때, 이를 우리 인생 여정의 주요한 단계들과 인간이 추구하는 주요 주제, 한국인의 본질이란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06633 684.011 김699ㅎ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