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채정호 지음
내용보기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86118726 03180: : \18000
KDC  
513.8521-6
청구기호  
513.8521 채135고
저자명  
채정호
서명/저자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채정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생각속의집, 2023
형태사항  
328 p : 삽화 ; 21 cm
키워드  
인문에세이 고통 재난 트라우마 사회문제 사회학
가격  
\18,000
Control Number  
yscl:170310
책소개  
코로나19, 이태원 참사, 재난 …
고통은 우리를 어떻게 바꿔놓는가
“트라우마는 일상의 모든 연결을 끊어놓는다.”

최근 이태원 참사를 겪으며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트라우마는 어원이 ‘뚫다’ ‘뚫리다’의 의미로 마음에 구멍이 뚫릴 만큼 극심한 고통을 말한다. 흔히 죽음이나 죽을 뻔한 위협, 심한 부상, 성폭행 등을 겪으며 트라우마를 경험한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창립회장인 채정호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스트레스는 힘들어도 원래 자기 모습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많지만, 트라우마는 여기에 너무 압도되기 때문에 사건 이후 다른 삶을 살게 된다”고 말한다. 정신건강 분야의 유명한 역학연구 미국공존질환조사에 따르면, 미국 남성의 60.7%, 여성의 51.2%가 살면서 한 번 이상의 트라우마를 겪는다. 이제는 누구라도 트라우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의미다.
채정호 교수는 지난 37년간 성수대교 붕괴, 천안함 피격, 삼풍백화점 붕괴, 세월호 침몰 등 숱한 사회적 재난을 지켜보며 트라우마의 고통이 우리사회에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기에도 많은 사람들이 트라우마에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심리방역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그는 연구를 통해 감염병이 정신적 문제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이야기한다.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 63명을 2년간 관찰한 연구에 따르면, 이 병을 앓고 나서 만성피로를 느꼈던 사람은 자살에 대해 더 많이 생각했다.
채정호 교수는 코로나19가 트라우마로 다가온 이유를 ‘안전감의 상실’에서 찾는다. 실제로 코로나19 동안 대부분의 사람은 안전감이 크게 위축되면서 모든 것을 의심하고 주의해야 했다.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긴장 수준을 높이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렸다. 즉, 언제 감염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일상생활을 제한하고, 사람과의 만남도 꺼리면서 사회에서 자신을 고립시켰다. 채정호 교수는 이러한 사회적 고립은 ‘코로나 블루’(코로나 우울증)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확산시키며 개인의 인지, 행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07506 513.8521 채135고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