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임상영역에서의) 성차의학
(임상영역에서의) 성차의학 / 김나영 대표저자
내용보기
(임상영역에서의) 성차의학
자료유형  
 단행본
 
0016614383
ISBN  
9791155902363 93510
KDC  
512-5
DDC  
616-22
청구기호  
512 김551성
서명/저자  
(임상영역에서의) 성차의학 / 김나영 대표저자
발행사항  
서울 : 대한의학, 2022
형태사항  
xxi, 489 p : 천연색삽화, 초상, 표 ; 29 cm
주기사항  
공저자: 강영애, 강은하, 공성혜, 권혁상, 김미나, 김원, 김유진, 남기병, 문송미, 박문석, 박선미, 박성미, 박인자, 박혜연, 서정원, 신은석, 안창호, 양혜란, 오현정, 윤성혜, 이일옥, 이지영, 이태임, 이해국, 이효정, 조은주, 조진아, 주세경, 최성희, 한아람, 한지원, 황지혜
주기사항  
감수: 최용훈
주기사항  
이 도서는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선정한 2023년도 우수학술도서로 교육부의 지원으로 구입 배부한 것임
서지주기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p. 470-489) 수록
기금정보  
2022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임
일반주제명  
의학 임상의학 일반
기타저자  
김나영
기타저자  
강영애
기타저자  
강은하
기타저자  
공성혜
기타저자  
권혁상
기타저자  
김미나
기타저자  
김원
기타저자  
김유진
기타저자  
남기병
기타저자  
문송미
기타저자  
박문석
기타저자  
박선미
기타저자  
박성미
기타저자  
박인자
기타저자  
박혜연
기타저자  
서정원
기타저자  
신은석
기타저자  
안창호
기타저자  
양혜란
기타저자  
오현정
기타저자  
윤성혜
기타저자  
이일옥
기타저자  
이지영
기타저자  
이태임
기타저자  
이해국
기타저자  
이효정
기타저자  
조은주
기타저자  
조진아
기타저자  
주세경
기타저자  
최성희
기타저자  
한아람
기타저자  
한지원
기타저자  
황지혜
Control Number  
yscl:173495
책소개  
‘편향성을 지양하는 의학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남녀 모두의 건강에 도움이 되게 하자는 성차의학’과 조우하게 된 것은 2014년 8월의 더운 여름날 스탠포드대학-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한국여성과총)의 Gendered Innovation (GI, 젠더혁신) Workshop에서였다. 젠더혁신의 기수인 스탠포드대학 Londa Schiebinger 석좌교수님, 한국여성과총 백희영 회장님, 그리고 WISET Director 이혜숙 교수님(현재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소장님) 등 미국, 한국 교수들이 참여했는데 여기서 다룬 대장암 임상 측면에 대한 발표 준비를 하면서 성차의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에 반영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후 2016년 한국여성과총 산하에 설립된 젠더혁신연구센터에서 ‘젠더혁신을 통한 과학기술연구의 수월성 및 실용성 증진’ 제목의 3+2년 연구과제에 참여하면서 남성보다 여성에 호발하는 ‘기능성 위장관장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기존에 연구하던 위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소화성궤양 연구 주제와는 다른 방향이었지만 하다 보니 재미가 있었다. 또한 2016년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연구비 공모에서 “AOM/DSS 모델에서 대장염 및 대장암 발생의 성별 차이 및 에스트로젠에 의한 Nrf2 발현 조절” 과제가 채택되면서 임상과 기초에 걸쳐 성차의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느낀 것은 성차의학이란 결국 질환 발현에 있어 남녀의 호르몬, 유전적, 환경적 차이가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는 것이고 치료 또한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인데 기존 논문이나 학설, 연구 방법 등 연구 환경 조성이 아직 안 되어 있고 학문으로 체계화되려면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선후배 및 동료, 제자들과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성차의학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이 깊어가고 있던 2020년 초에 코로나19 감염이 시작되었다. 외래 환자 수나 내시경이 줄고 외부 모임이 적어진 2021년의 『소화기질환에서의 성차의학』 책 발간은 그동안 동료, 제자들과 발표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서 흩어져 있던 지식을 체계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다행히 반응도 좋았다. 2022년에는 국문책 내용을 조금 더 심화하여 『Sex/Gender-Specific Medicine in the Gastroenterological diseases』라는 Springer 영문 책으로 발간함으로써 이 분야의 주목을 끌었다. 보통 성차의학이라고 하면 일반인은 물론 의사들도 어색한 표정을 지으면서 성(sex)을 연구하는 학문이냐고 질문을 하여 놀라게 했는데 이제는 Sex/Gender-Specific Medicine이라고 이해하는 분들이 점점 많아진 것은 나름 큰 보람이었다.
지금의 성차의학으로 개념이 정립되기 전의 세계적 흐름을 보면 초반에는 여성에서 빈번한 질환을 치료하려는 여성클리닉으로 시작하여 여성 건강에 관련된 진료와 연구를 주로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산부인과를 중심으로 여성의학연구소, 여성클리닉이 운영되면서 대부분 산부인과 내지 내분비 계통의 문제를 좀 더 특화하는 양상이었다, 한데 탈리도마이드를 비롯한 그간의 약제 개발에 필요한 임상연구에서 성(sex)의 치우침에 대한 우려가 198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기 시작했고, 1987년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에서 임상연구 대상자에 여성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원칙이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NIH의 정책은 1993년에 모든 인간 대상 연구에 여성과 소수인종을 포함하라는 법으로 발의되었고, 특히 3상 임상연구에서는 치료 효과의 검증 과정에 여성과 소수인종에 대한 하위분석이 가능할 만큼 충분한 수의 참여가 권고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캐나다 보건연구소(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CIHR)는 2010년부터, 유럽위원회(The European Commission)에서는 2014년부터, 그리고 미국 NIH에서는 2015년부터 연구비 지원서에 성 혹은 젠더를 고려하고 있는지 명시하도록 하고, 연구 설계부터 분석 및 보고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성을 하나의 생물학적 요인으로(sex as a biologic variable) 사용하도록 규정하면서 성에 대한 고려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분위기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3월 24일 ‘성별특성을 반영한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기본 틀은 만들어졌지만 현실은 그다지 녹록지 않은 듯하다. 즉 성차의학 연구 확산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인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성차의학 연구의 도입과 확산을 위해 새로운 연구방법론 개발 등 전문가들의 적극적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의학 전 분야에 성차의학이라는 패러다임 전환을 알리기 위한 교과과정에의 반영 등 큰 숙제들이 놓여 있는 것이다.
사실 2014년부터 관심을 가지고 8년 연구를 지속하고 있는 ‘성차의학’이지만 솔직히 말하면 호르몬, 유전체, 사회문화적 관계 요소 등 확실한 개념으로 잡히지 않은 근본적인 문제가 많이 얽혀 있는 상황 속에서 숨겨져 있는 진실을 규명해 나가는 것은 많이 어려운 듯하다. 의대 학생들이나 대학원생 교육을 하는 과정에서 강의 내용이 공허해지고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다가왔다가 멀어지는 연구자들이 많은 이유일 것이다. 즉 Blue ocean임에 분명한 성차의학 연구가 수월성이 떨어지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이런 와중에 젠더혁신센터에서 “성별특성 반영을 통한 의·생명 분야 연구개발 수월성 증진전략 기획연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임상 전 영역의 여러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책 발간에 대해 제안해 주셨다. 이후 대한민국 의학 발전에 영향력이 큰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함께 『임상영역에서의 성차의학』을 발간하게 된 것은 큰 걸음을 내딛는 것이어서 매우 기쁘다. 사실 본 책 발간을 기획하면서 이 분야의 전문가들께 기획 의도를 설명 드렸을 때 반신반의하면서도 이들 질환에 있어서의 성차에 대해 고민하고 그 기전이 무엇인지 규명해 보려는 노력을 기꺼이 해주신 여러 교수님들께 무한한 감사를 보낸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08491 512 김551성 2층 대출자료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