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 이정란 ; 지현숙 ; 백승주 ; 황선영 지음
Contents Info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Material Type  
 단행본
 
0016258974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20713095219
ISBN  
9791158666835 93710 : \14000
Korea National Library Callnumber  
331.63-22-5
KDC  
331.63-6
DDC  
302.224-23
Callnumber  
331.63 이846한
Title/Author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 이정란 ; 지현숙 ; 백승주 ; 황선영 지음
Publish Info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Material Info  
239 p. : 삽화, 도표 ; 23 cm
General Note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기증한 도서입니다
기금정보  
2019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및중점연구 공동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임(AKSR2019-C14)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언어 커뮤니케이션[言語--]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한국 사회[韓國社會]
Added Entry-Personal Name  
이정란 , 1976- , 李貞蘭
Added Entry-Personal Name  
지현숙 , 1965- , 池賢淑
Added Entry-Personal Name  
백승주 , 1976- , 白承周
Added Entry-Personal Name  
황선영
Control Number  
yscl:175474
책소개  
한국은 다문화, 다중언어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200만 명 이상이며, 이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 근로자,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인과의 접촉에서 혹은 한국에 살고 있는 다른 언어권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서 한국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한편, 국제어인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적 자원을 활용하여 의사소통한다. 다중언어 사회의 언어 능력은 발음ㆍ어휘ㆍ문법의 정확성만으로는 측정할 수 없으며, 다양한 전략과 방법들이 의사소통에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동원된다. 이 책은 이러한 횡단적 언어 수행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다중언어 의사소통 양상을 고찰한다. 한국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국적의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이 한국이라는 공간에서 의사소통을 위해 어떠한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는지, 대화를 어떠한 구조로 전개하는지, 한국의 공간들은 어떠한 다중언어 경관을 보이는지, 외국인의 발화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는 어떠하며, 한국어가 모어(母語)가 아닌 이들의 한국어 사용을 우리 사회는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는지 등의 문제를 다룬다. 더불어 다중언어주의의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의 목표는 ‘정확한 언어 지식의 습득‘보다는 ‘유창한 언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0109055 331.63 이846한 사무실 정리중 정리중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