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 이봉범 지음
내용보기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자료유형  
 단행본
 
0016767018
ISBN  
9791155505861 93810 : \40000
ISBN  
9788979862751 (세트)
국립중앙청구기호  
810.9062-23-8
KDC  
810.9062-6
DDC  
895.709-23
청구기호  
810.9062 이717전
서명/저자  
전향, 순수, 전후, 참여 : 대한민국 문학의 형성과 매체 / 이봉범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3
형태사항  
757 p. : 삽화 ; 23 cm
총서명  
대동문화연구총서 ; 34
주기사항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기증한 도서입니다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한국 근대 문학사[韓國近代文學史]
일반주제명  
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기타저자  
이봉범 , 1966-
통일총서명  
대동문화연구총서 ; 34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링크정보보기
Control Number  
yscl:175587
책소개  
해방 후 한국문학을 거시적으로 규정한 요소이자 문학텍스트 안팎을 규율한
핵심 기제로 검열, 매체, 냉전을 꼽은 저자의 연구 성과가 오롯이 담긴 연구서

여기에 수록한 글은 필자가 지금까지 계속 연구해 오고 있는 문학의 역사적·사회적 존재방식에 깊숙이 관여한 매체, 검열, 전향, 번역, 등단, 문예기구, 법제 등 해방 후 문학제도사 연구 중 문학텍스트의 생산-유통-수용 체계의 드러나지 않았던 지점들에 대한 보고로서 최소한의 가치는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모은 것이다. 비록 수록된 논문들이 발표 당시에는 해방 후 문학제도사 연구가 막 시작 단계였기에 그래도 좀 쓸모가 있었으나 지금 시점에서 보면 낡은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만 문학텍스트를 가로세로로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맥락들, 즉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빙산(氷山)의 여러 지층에 대한 이해는 문학 연구의 외연이 확장되는 추세와 부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책의 전체적 구성은 해방~1960년대 매체와 문학의 관계를 중심에 놓고 전향, 순수, 전후, 참여 등 문단·문학 장의 거듭된 재편과 유관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을 결합시켜 배치했다. 제1부는 해방기 정치적 해방과 경제적 파탄의 모순 속에서 문학 장의 재편이 이루어지는 역동적 과정과 이로부터 파생된 한국현대문학의 제도적 시원을 고찰했다. 제2부는 열전(한국전쟁)과 혁명(4·19혁명) 사이, 전후의 문화(학)적 구조 변동의 몇 가지 중요한 지층을 탐사해 열전과 혁명의 계기적 연속을 구명해보려 했다. 제3부는 4·19혁명과 5·16쿠데타가 교차하며 등장한 권위주의 통치시대 문학의 존재를 다른 제도적 장치와의 연관 속에서 살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09168 810.9062 이717전 사무실 정리중 정리중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