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電子商去來의 逆機能 改善을 위한 웹 基盤 ERP 시스템 模型에 관한 硏究 = (A)study on the model of web-based ERP system to reduce the dysfunctions of electronic commerce
電子商去來의 逆機能 改善을 위한 웹 基盤 ERP 시스템 模型에 관한 硏究  = (A)study on the mod...
電子商去來의 逆機能 改善을 위한 웹 基盤 ERP 시스템 模型에 관한 硏究 = (A)study on the model of web-based ERP system to reduce the dysfunctions of electronic commerce
자료유형  
 학위논문
청구기호  
326.165 노263ㅈ
저자명  
노미현
서명/저자  
電子商去來의 逆機能 改善을 위한 웹 基盤 ERP 시스템 模型에 관한 硏究 = (A)study on the model of web-based ERP system to reduce the dysfunctions of electronic commerce / 노미현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1998.
형태사항  
164 p. ; 26 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회계학과, 1998
초록/해제  
초록 :인터넷의 활발한 보급으로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성장이 예견되는 현 시점에서, 향후 발생 가능한 전자상거래의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이에 대비하는 것은 전자상거래의 성공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첫째,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역기능 요인을 파악하고 둘째, 이들 역기능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 웹기반 ERP시스템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정보시스템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는 경영정보시스템의 주요 성공요인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역기능(실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인터넷 정보, 전문학술지, 일간지 등의 다양한 문헌정보를 통해 모든 가능한 역기능 요소들을 추출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다음 설문자료를 기초로 전자상거래에 장애가 되는 역기능 요소들에 대해 요인분석을 수행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즉,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역기능 요인들 중 만족도, 활용도, 유용성 등의 전자상거래의 성과(활성화) 변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역기능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자료보안미비요인, 시스템불안 요인, 이용불편성 요인, 불안전한 구매요인, 사회적 혼란요인들이 주요 역기능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들 요인 중 신문, 방송 등 매스컴의 영향으로 간접경험의 가능성이 높은 자료보안 미비요인과 시스템 불안요인은 특히 전자상거래의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상거래의 활용을 증대하려면 전자상거래의 완벽한 보안 및 시스템 안전이 전자상거래의 주요 향후 과제가 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실생활 속에서 그 영향을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는 이용불편성 요인과 불안전한 구매요인은 특히 전자상거래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합리적인 대안이 요청됨을 시사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역기능 요인들 중 기업차원의 노력으로 개선가능한 요인을 '이용불편성 요인'과 불안전한 구매요인'으로 보고, 이 요인들에 대한 효율적인 대안으로 웹기능 ERP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에 관한 모형(KEME 모형)을 프로토타입으로 연구하였다. 즉, '이용불편성 요인'과 '불안전한 구매요인'은 전자상거래의 이용편의를 고려한 웹페이지의 작성, 기업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대한 신속한 응답, 효율적인 고객대응 등 기업차원에서 고객에게 전자상거래의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개선이 가능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ERP시스템이 이러한 효율적인 환경을 고객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ERP시스템은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기업내부의 모든 업무 프로세스를 단절없이 신속하게 수행하게 함으로써, 보다 증대된 고객만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재정적 또는 정보화 기반이 약한 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한국형 ERP 시스템은 거의 웹과 연계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형ERP시스템을 웹과 연계함으로써 기업차원에서 가능한 전자상거래의 주요 역기능 요인을 개선하고, 아울러 우리의 중소기업들이 CALS 및 EC 등 급변하는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영전략적인 정보화 도구로, 웹기반 ERP 시스템 모형(KEME 모형)을 제안하게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은 시간적, 재정적,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본 논문에서 기대하는 기능의 일부 만을 보여준 프로토타입 연구이다. 따라서 본 모형이 전자상거래의 역기능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모형으로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국형 ERP 시스템 개발업체들과 같은 기업차원의 보다 완전한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전자 역기능 개선 위한 기반 ERP 시스템 모형 연구
Control Number  
yscl:31674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T000607 B  326.165 노263ㅈ 제적(폐기) 제적자료 제적자료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