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나다니엘 호오손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 = Women's selfhood in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나다니엘 호오손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 Women's selfhood in the works of nathaniel hawt...
나다니엘 호오손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 = Women's selfhood in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자료유형  
 학위논문
DDC  
813.3-19
청구기호  
843 이824ㄴ
저자명  
이은숙
서명/저자  
나다니엘 호오손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 Womens selfhood in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이은숙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1997
형태사항  
vi,106장 ;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영문학전공, 1997
초록/해제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and to re-evaluate the works of Nathaniel Hawthorne, a representative of prose in the 19th century America, from a feministic view. Hawthorne has been regarded as the first writer of psychological novels in America since he takes sin and redemption as his topics more seriously than almost anybody else and understands them as a personal experience through human heart and conscience rather than a religious or a social experience. Many critics, however, explained his themes through male protagonists and, accordingly, excluded female characters or degraded them into supporting roles to emphasize male characters and their conflicts. This study, therefore, is to find out why female characters end their lives in a tragic way and what Hawthorne intended to show through his works such as "Young Goodman Brown", "The Birthmark", "Rappaccini's Daughter", The Scarlet Letter, and The Blithedale Romance. Hawthorne uses a pink ribbon, a bloody birthmark, and a purple flower as symbols for femininity in "Young Goodman Brown", "The Birthmark", and "Rappaccini's Daughter", respectively, Male reactions toward these symbols reflect their feelings about and their attitudes toward women. The Western society has founded its order on Christianity. At the heart of Christian doctrine are the questions of sin and redemption. It is believed that the first sin committed by man is recorded in'Genesis'of old Testament; 'Original Sin' of disobedience to God in the garden of Eden has made man suffer; Eve is the worse sinner than Adam. This belief affects the view on women even today and fortifies Sexism by help of Patriarchy: this is reflected on the works of Hawthorne. Most male characters in Hawthorne's short works are frightened when they found their own sexuality awakened by women; they want to accuse, control, and eliminate women blaming them for their fear; because of these male handicaps they give up opportunities to live a perfect life uniting body and soul: they use religion and science to rationalize this procedure. The Scarlet Letter is the story of a woman who succeeds in transforming the meaning of the letter A, which was given as a symbol for her sin, to self-assertion. The narrator says her unhappy life was started when she forsook her duty as a wife but another duty as a mother saved her from a miserable death of a prophetess. The narrator, therefore, demonstrates his contradicting attitude through the novel, by recording her proud and undaunted life and yet insinuating she can only be saved by her duty as a wife and mother, which is a totally patriarchal belief. The Blithedale Romance is the only novel written in the first person narration and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narrator is essential. The narrator, like Theodore of 'Zenobia's Legend', stands for the man who fears what is under the veil and loses it forever. Both the narrator and Theodore show men's distorted view of women and fear for them as well. Hawthorne uses New England in The Scarlet Letter and Blithedale in The Blithedale Romance as symbolic places for the patriarchal society. He displays not only women's lives in them but the self-contradicting attitude of narrators toward female characters in his works. He lets the narrators admit Hester's and Zenobia's merits and efforts but add negative comments on them. He, therefore, may be the writer predicting the feministic movement which tries to point out unjust attitude toward women in the 20th century.
초록/해제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인 나다니엘 호오손(Nathaniel Hawthorne)의 작품들을 여성론적 관점에서 탐색하고 그의 작가적위치를 재조명하였다. 이제까지 호오손은 인간의 죄와 구원의 문제를 어느 작가보다 깊이 있게 다루고 있으며, 죄 와 속죄라는 문제를 단순히 종교적 차원이나 사회적인 차원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개인의 마 음과 양심이라는 기준에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심리주의 소설의 방향을 제시한 작가로 손꼽 히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많은 비평가들은 남자 주인공들의 고통과 그들의 삶을 중심으 로만 그의 작품을 분석하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여자 주인공들은 작품의 핵심에서 제외되거 나 또는 남자 주인공들의 갈등을 부각시키는 부수적인 인물로 머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단편 「젊은 굳맨 브라운」 ("Young Goodman Brown"), 「모 반」 ("The Birthmark"), 「라파치니의 딸」 ("Rappaccini's Daughter") 그리고 장편 「주흥 글씨」 (The Scarlet Letter)와 「블라이스데일 로맨스」 (The Blithedale Romance)를 중심 으로, 여성들의 삶은 왜 비극적으로 끌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작가의 생각은 어떤 것이었는지 알아보았다. 서구 사회는 기독교라는 큰 줄기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고 하겠다 기독교에서 믿음의 핵심 은 죄와 구원의 문제에 있으며, 죄의 시작은 성서의 '창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간의 원 죄로 불리는 사건, 즉 에덴동산에서의 신에 대한 불복종은 그 이후 인류를 고통 속에 사는 존재로 만들었으며, 아담(Adam)과 이브(Eve)중 더 큰 잘못을 저지른 죄인은 이브라는 생각 이 오늘날까지 여성에 대한 시각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종교적인 믿음은 남성중심의 가 부장적 사회제도와 맞물려 서구사회의 뿌리깊은 여성차별주의를 더욱 견고하게 다져왔으며, 이는 호오손의 작품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젊은 굳맨 브라운」, 「모반」, 「라파치니의 딸」 에서 호오손은 상징주의 작가답게 작품 마다 각각 분흥빛 리본, 붉은 모반 그리고 진보라색을 띤 꽃을 상징적인 이미지로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것들을 젊은 청년이나 갓 결혼한 남편들이 사랑하는 여인이나 아내에게 서 발견하게 되는 여성적 특성의 상징물로 설정함으로써, 리본과 모반 그리고 꽃에 대한 남 자 주인공들의 반응은 곧 여성을 보는 그들의 시각과 여성에 대해 취하는 태도를 반영한다. 남성들은 사랑하는 여성에 의해 눈뜨게 되는 자신들의 육체적 특성에 겁먹고 있으며, 이런 경험에 대한 책임을 여성 특히 여성의 육체적인 본성에 돌리고 또 그것을 통제하거나 말살 시키려 하고 있다. 그리고 남성들은 자신들의 이런 행동을 한결같이 종교나 과학이라는 이 름으로 정당화시키고 있으며, 여성들을 거부함으로써 정신과 육체가 합져진 완전한 삶으로 이르게 되는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 「주흥 글씨」는 죄의 대가로 받은 A자의 의미를 자신의 노려으로 변화시켰던 한 여성의 이야기이다. 그녀가 겪어야 했던 불행은 아내로서의 의무를 저버린 것에서 시작되었지만, 여 성의 또 다른 의무라고 할 수 있는 어머니로서의 의무는 그녀로 하여금 예언자들이 맞이하 는 비참한 죽음을 면하게 했다고 화자는 말한다. 화자는 헤스터(Hester)의 삶을 통해 자신의 의지와 노력으로 주어진 운명에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살았던 여성의 이야기를 전하면서도, 여성이란 아내이자 어머니라는 역할 즉 남성들이 여성에게 요구하는 본분을 충실히 지킴으 로써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가부장적 사회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 다. 호오손의 장편 중 유일하게 일인칭 서술로 쓰여진 「블라이스데일 로맨스에서도 화자인 커 버데일(Coverdale)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작품을 이해하는데 관건이 된다고 본다. 왜냐하면 그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이야기인 '제노비아 (Zenobia)의 전설'에 나오는 시어도어 (Theodore)처럼 베일아래 있는 존재에 대한 열망과 두려움 때문에 오히려 베일을 쓴 여인 을 영원히 잃게 되는 남성으로 설정됨으로써, 제노비아에 대한 커버데일의 태도를 통해 여 성을 보는 남성의 시각과 두려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을 호오손은 택하고 있기 때문이 다 「주홍글씨」의 무대인 뉴 잉글랜드와 「블라이스데일 로맨스」의 블라이스데일 마을은 모 두 남성 중심적 가부장 사회를 상징적으로 암시함으로써, 그 사회 안에서의 여성들의 삶은 물론이고 그런 여성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화자들의 모순적인 태도를 통해 여성을 보는 시각 이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지를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호오손은 화자로 하여금 헤스터와 제 노비아에 대한 인간적인 장점은 인정하면서도 결국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도록 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이런 그룻된 인식을 밝히려는 20세기 페미니즘 운동을 예견한 작가로 재평가될 수 있겠다
키워드  
나다니엘 호오손 여성 자아 WOMENS SELFHOOD WORKS NATHANIEL HAWTHORNE
Control Number  
yscl:31760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高级搜索信息

材料
注册编号 呼叫号码. 收藏 状态 借信息.
T000664 B  843 이824ㄴ 제적(폐기) 제적자료 제적자료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保留在借用的书可用。预订,请点击预订按钮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도서위치